728x90

서울 석촌호수 동호에 위치한 더갤러리호수 새로운 전시회 소식입니다.

한국의 피카로소 불리며 하모니즘을 창시한 김흥수 화백의 전시회 '김흥수: 하모니즘 (Kim Sou: Harmonis)' 관람후기 입니다.

 

김흥수: 하모니즘 

Kim Sou: Harmonism

기간 : 2025. 10. 4. (토) - 11. 21. (금) / 10:00~19:00

장소 : 서울 석촌호수 동호 더 갤러리 호수 / 무료 전시회

 

이번 김흥수 개인전 하모니즘은 1전시실과 2전시실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1부에서는 '구상과 추상, 색채의 하모니', 2부에서는 '형상의 언어' 주제로 전시회가 진행됩니다.

제 1전시실

이번 전시는 송파 지역 예술 생태계의 발굴과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계획되었다. 지역 문화 진흥과 미술 연구 및 출판에 기여하는 한올재단과의 작품 교류 전시를 통해 지역 문화 자원을 새롭게 조명하고 그 가치를 나누고자 한다. 전시 라인업은 한국 미술사에 큰 족적을 남긴 김흥수(1919–2014)의 작품들로, 재단 소장품 중에서도 하모니즘(Harmonism)에 중점을 두어 주요 작품과 관련 자료를 함께 선보인다. 덕분에 관람객은 그의 예술 세계를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다.


김흥수(1919–2014)는 1977년 워싱턴에서 ‘하모니즘’을 선언하며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하였다. 구상과 추상, 동양과 서양, 인간과 자연이라는 상반된 이질적 요소를 한 데 아우르는 작품 세계를 완성했다. 전시에 전시된 작품들은 하모니즘 내에서도 다양한 색채와 형식을 선보이며, 하모니즘은 단순한 표현 기법을 넘어서 화합을 핵심 가치로 삼은 철학적 선언이자 김흥수의 인생관을 담은 예술 철학이다.


이번 회고전은 평생에 걸쳐 끊임없이 창작 활동을 이어오며 세속적 흐름이나 유행에 타협하지 않고 고유한 예술 길을 걸어온 김흥수의 예술적 사명과 정신을 깊이 체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그의 방대한 작품 세계와 철학적 깊이를 통해 한국 근현대미술의 한 축을 살피고자 한다.

 

김흥수 화백은 한국의 피카소로 불리는 작가입니다.

'한국의 피카소'라고 불리는 이유는 몇 가지 중요한 점에서 비롯된다. 그는 1977년 '하모니즘'이라는 독자적인 조형주의를 창시하여 구상과 추상의 경계를 허물고 여성 누드와 기하학적 도형 등 이질적인 요소들을 조화롭게 융합하는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했고, 이는 피카소가 입체파로 미술의 새로운 지평을 연 것처럼, 김흥수 역시 한국 근현대미술에 새로운 표현 방식을 제시한 이유입니다만...

또 다른 이유는 3번의 결혼과 마지막 결혼은 노년에 43살 나이차의 제자와 결혼, 사망후 그의 작품을 둘러싼 분쟁까지...

 

자화상(회화 /사진), 1997

116.5x145cm, 혼합매체.
김흥수 본인의 사진을 구상 화면에 배치한 작품으로, 기법뿐 아니라 매체적 결합을 시도한 작품이다.

 

1부: 구상과 추상, 색채의 하모니

김흥수 하모니즘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더 갤러리호수 1부: 구상과 추상, 색채의 하모니 전시장 모습

 

전쟁과 평화, 1986

197x440cm, 캔버스에 유채, 혼합매체.


김흥수 작가는 6.25 전쟁을 겪으며 재헌만으로는 이 참극을 표현할 수 없다고 느껴 구상과 추상을 한 화면에 그리 는 하모니즘 개념을 창안합니다. '전쟁과 평화'는 평화로운 품경과피난민, 군인들의 그림자를 대조적으로 그린 구상 화면의 액자식 구성과 강렬한 붉은 색채가 특징적인 작품입니다.

 

군무, 1966

176x331cm, 캔버스에 유채, 혼합매체.

 

군무는 우유갑을 오려 붙인 뒤 위에 색을 칠하는 콜라주적 기법을 사용한 작품입니다. 작품 속 여인들의 얼굴 형태 가 큐비즘(입체주의)과의 유사성을 가지는데 , 이는 1955년 도불(한 작가가 프랑스 화단에서 다양한 화풍을 접 하며 하모니즘 개념을 구축해 나가는 과정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가을, 1974

187x346cm, 캔버스에 유채, 혼합매체.

 

흰 장삼을 입고 춤추는 여승은 김흥수의 여러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모티프입니다. 예리한 윤곽선으로 그려진 여승은 동 양적인 생김새를 지니고 있으며, 현대적인 분위기를 자아낸다. 후기의 추상 화면은 비교적 심플한 반면, '가을'의 추상은 김흥수가 앵포르멜 영향을 받은 듯 비정형적이고 격정적인 정서가 느껴집니다,

 

승무도, 1979

127x134cm, 캔버스에 유채, 혼합매체.


'가을' 속 여승이 다시 등장하는 작품으로, 밟은 노란색배경이 황금빛과 비슷해 성스러움을 더하고 있습니다. 또한 양옆의 화 면이 문을 열어젖힌 듯한 느낌을 주는데, 이러한 배치는 김흥수 작가가 종교적 주제를 그린 작품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전쟁과 평화, 1970-80, 

63.2x151.5cm, 캔버스에 유채, 훈합매체.


오른쪽 화면 전체에 촘촘하게 꽃힌 못과 단도, 쓰고 난 탄창은 전쟁의 참혹함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전쟁의 승패 를 '가르는' 단도는 한낱 도마 위에 올라가 있어 초라해 보이는데요. 왼쪽에 그려진 옆모습은 평화를 상징하는 여신이지만, 그 모습은 평화가 아닌 고뇌로 가득해 보입니다.

 

바위고개 아침의 마을, 1975, 

128x193, 캔버스에 유채


'바위고개'는 단단한 바위들 품은 산길로, 넘어야만 일상을 회복할 수 있는 경계를 의미합니다. 또한, 작가가 직접 겪은 일제강점 기시절 우리 민족의 한과 설움을 표현하는 상징적지형이기도 한데요. 다만 아침을 맞은 마을은 그 고개를 넘은 뒤, 다시 살아가는 사람들의 시간으로 읽을 수 있다. 작가는 이와 같은 정서를 추상과 반추상으로 표현하였습니다.

 

 

 

2부: 형상의 언어

더 갤러리 호수 아래층에서 김흥수 회고전 하모니즘이 2부가 이어집니다.

입구에서는 누드 작품이 다수 있어 청소년 관람 경고문?이 있는데, 전혀 걱정할 수위, 표현의 작품은 없습니다. 이 작품들을 보고 다른생각 한다면 변태라고 해도 무방한...

반응형

 

 

인생은 어디서 와 어디로 가는가, 1988,

170x457.50m, 캔버스에 유채. 혼합매체.

 

폴 고갱(1848-1903)의 작품에서 따온 근원적이고 철학적인 제목을 가진 작품입니다. 맨 오른쪽 여성은 다른 공간에 놓인 듯 홀로 음물하고 차가운 색감으로 그려져 있고, 희로애락이 튀영켜 있는 인생을 은유적으로 드러내는 듯한 여 성들의 모습은 인간이 예술의 모체"라고 밝힌 작가의 철학을 담고 있습니다.

 

모, 1987

145.5x226cm, 캔버스에 유채, 혼합매체.
모자이크 기법으로 그려진 화사한 두 명의 여성과 달리, 피를 바른 듯 검붉고 거칠게 마무리된 추상이/ 대조적인 작품입니다. 구상에는 표피들, 추상에는 내면을 그려번다고 한 작가의 말에 따르면, 이 어두운 추상 화면은 여성들이 내면에 지 니고 있을 "허무와끝없는 욕망"을 담은 색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더갤러리호수 김흥수 하노니즘 전시회 도슨트는 매일 오전 11시와 15시에 열린다고 해서 허겁지겁 주차하고 왔지만 도슨트는 열리지 않았네요. 아

 

콤포지션, 1957, 

194x256.5cm, 캔버스에 유채.


김흥수가 파리 살롱 도톤느의 정회원이 되는데 매우 중요한 계기가 된 초기작입니다. 김흥수는 파리 화단의 작품들 사이자신의 작품이 초라하고 촌스러워 실망감을 느끼고, 이후 작가는 처음부터 배우는 마음으로 다양한 화풍을 적 극적으로 받아들였으며, '콤포지션'은 그 영향이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후기의 사실적인 비밀과 달리 인체를 왜곡하여 그렸으며, 강렬한 붉은색과 거친 마띠에르는 당시 유럽을 중심으로 퍼져나갔던 앵포르멜의 영향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

 

모린의 나상, 1977, 

129x78cm +66.5x97cm, 캔버스에 유채, 혼합매체.


김흥수 화백이 미국에서 드로잉 강의를 진행하던 충 인연이 된 여성 모린은 작가가 하모니좀 개념을 발표하기까지 작품 다 수에 등장합니다. 구상이 먼저 그려진 뒤에 추상과 합쳐지며 비로소 하모니즘 작품으로 완성되어 세로-가로로 합쳐진 독특한 형태의 캔버스가 특징입니다.

 

광상곡, 1973, 

168x366.5cm, 캔버스에 유채

금강산의 인상, 1973,

182x300cm, 캔버스에 유채

 

작가가 금강산을 보고 받은 느낌을 오방색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작품을 부분적으로 보면 그저 추상적인 표현에 지 나지 않지만, 멀리서 볼 때는 거대한 생명체의 구상처럼 느껴진다. 이는 작가가 추구해온 하모니즘을 다른 방식으로 구현해 낸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고민, 1960

195x260cm, 캔버스에 유채.

 

매우 거칠고 표현주의적인 마띠에르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깊은 고뇌에빠진 인물의 내면세계가 고스란히 드러나는 김흥수 화백 작품입니다. 작가의 그림에서는 이렇듯 하나의 정서를 표현할 때에도 두 명이상의 인물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구상과 추상 을 함께 그림으로써 주제를 부각하는 하모니즘과 같이 각 인물이 서로 다른 묘사로 정서를 극대화하여 드러내고 있습니다.

728x90

이번 더갤러리호수에서 열리고 있는 김흥수 하모니즘 전시회 2부 별도의 공간입니다. 

 

커튼 안쪽으로 작품들과 의자가 보이는데요. 또한 어느 사찰의 종소리도 같이 들리고 있습니다.

 

오, 1977

172x274cm, 캔버스에 유채, 훈합매체


보다가 깨달음을 업으며밝은 광명을 받는 순간을 그린 그림으로, 김흥수 본인은 무교였으나 성스러움의 극치인 종 교적 순간을 잘 그려낼 경우 예술가로서의 능력이 증명된다고 생각하였다고 합니다. 마치 곰팡이가 낀 듯한 추상화면과, 빛이 뿜어져 나오는 듯한 평안한 얼굴의 붓다가 대조를 이루며 감상자들 그 순간으로 인도하는 듯. 

 

이번 하모니즘 전시에서는 '오'만을 위한 공간을 조성하여 관람객들이 작품을 더욱 공감각적으로 느끼고, 깊이 몰입하는 경험을 가지도록 구성했습니다.

 

이번 김흥수 하모니즘은 11월 21일까지 더 갤러리 호수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작품도 감상하고 석촌호수의 가을도 느껴보고, 커피 한 잔도 마시는 여유를...

728x90
728x90

우리에게는 개그맨으로 잘 알려진 임하룡 작가의 전시회 관람후기입니다.

칠순이 넘은 나이에 이렇게 열정적인 작품활동을 할 수 있는 이제는 임하룡 화백이 부럽네요.

 

| 임하룡 그림파티 2 정보

back Lim Ha-Ryong's GRIM PARTY2

전시기간 : 2025년 09월 19일 ~ 10월 14일 / 월~일 11시~19시 / 무료전시회

 

이번 '임하룡 그림파티2'는

유쾌하고 해학적인 임하룡 자각 신작 35점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2019년 첫 개인전 이후 매년 전시를 이어온 그는 제7회 개인전 《임하룡의 그림파티2》에서 한층 깊어진 예술 세계를 보여줍니다. 눈, 숫자, 한글 등 다양한 오브제로 자신만의 화풍을 만들었고, 이번 전시에선 가족, 인생, 사람 이야기를 ‘유쾌함’이라는 메시지로 풀어냈습니다.


가끔 매너리즘에 빠졌나 고민했지만, 결국 자신이 원하는 건 웃음과 즐거움이라고 말합니다. 작품을 통해 관람객에게 따뜻한 위로와 밝은 에너지를 전하고 싶다는 뜻을 전합니다.

내 나이 이제 일흔넷, 하지만 그림 앞에서는 늘 청년 같은 마음이다. 돌아보면 내 인생은 늘 꿈으로 이어져 왔다. 어린 시절에는 대통령을, 조금 더 크면서는 장군을, 초등학교를 졸업할 즈음에는 화가를 꿈꾸었다.

그러나 중·고등학교 시절에는 놀기에 바빴고, 그 시절의 꿈은 영화배우였다.군 제대 후 연극으로 무대에 섰을 때, 어쩌면 배우로서의 꿈이 이뤄지는가 싶었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았다. 삼십을 앞두고는 그저 집 한 채, 차 한 대를 가지는 것이 소박한 꿈이 되었다. 하지만 삶은 언제나 예상치 못한 방향으로 흘러갔다. 밥벌이로 시작한 밤무대 MC가 계기가 되어 전혀 상상하지 못했던 길, 개그맨으로 나아가게 된 것이다. 그 길에서 나는 인정받았고, 영화배우로도 활동하며 또 다른 꿈을 맛보았다.

그리고 지금, 다시 처음의 자리로 돌아왔다. 어릴 적 마음 깊이 품었던 그림을 그리고 있다. 늦은 나이에 꿈을 이룬다는 것, 그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지 새삼 느낀다. 코미디언으로, 영화배우로, 그리고 화가로 걸어온 시간들이 모여 오늘의 나로 살고 있다.이 감사한 마음을 담아, 나는 이제 작품을 더욱 유쾌하게 하고 싶다. 이름을 내기 위한 치열함보다는 편안한 마음으로, 보는 이에게도 웃음과 따뜻함을 전하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내게 주어진 이 시간과 행복을 온전히 나누고 싶다.

임하룡 그림파티 2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열정갤러리

 

 

열정갤러리 입구 정면에 보이는 9점의 인물화가 보이는데요.

별도의 작품 설명이 없어도 쉽게 작품의 제목을 알 수 있습니다. 위 오른쪽 석가모니 작품 매력있네요. 임하룡 그림 한 점 소장한다면 저는 이 작품으로...

 

숫자와 한글

임하룡 그림의 특징이 보이시나요?

그림속 인물의 얼굴들이 숫자로 이어저 있습니다. 코는 4, 입은 5, 턱은 6... 0부터 숫자를 하나하나 찾아보는...

 

 

Prisoners of war

POW 전쟁포로, 포로와 굴비... 느낌 좋았던 임하룡 그림중 하나.

 

임하룡 그림 파티2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올림픽공원 열정갤러리 안쪽

 

반응형

 

사랑의 가족, 집시가족, 집시여인, 열애...

이번 전시회에서는 지난 개인전의 주제 ‘그리움’과 더불어 인생과 가족 그리고 사람에 대한 이야기와 함께 ‘유쾌함’을 작품 전반에 녹여있습니다.

 

이번 임하룡 작가의 7번째 전시회인 그림파티2년 10월 14일 (화)까지 열릴 예정입니다.

 

728x90
728x90

예술의 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 전관에서 열리고 있는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 세잔, 르누아르'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 결론부터 말하지면 추천 드리지 어려운 실망 가득한 전시회 였네요.

얼리버드 티켓팅 할 때 제목과 포스터에서 싸~ 한 느낌이 있었는데, 역시나 너무 기대가 컸나 봅니다.

 

#이번 전시회 제목은 다소 낚시성

#미술관의 대표작은 없음

#세잔과 르누와르를 정말로 좋아한다면 강추하는 전시회

 

| 전시회 정보, 티켓할인, 얼리버드 50%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 세잔, 르누아르

Exhibition of the Musée de l'Orangerie and the Musée d'Orsay : Cézanne and Renoir

전시기간 : 9월 20일(토) ~ 26년 1월 25일(일) 

관람시간 : 오전 10시 ~ 오후 7시  [입장마감] 오후 6시  [휴관] 매주 월요일

장소 : 한가람디자인미술관 전관

 

 

 

오랑주리-오르세미술관 특별전 티켓 할인

이번 전시회 가격은 성인 22,000원, 청소년 18,000원 입니다.

저는 1차 얼리버드 티켓을 구입해서 50% 할인된 11,000원에 관람했는데요. 요즘은 문화지원금 등이 주단위로 나오고 있어 해당 프로모션을 이용하면 오랑주리 오르세미술관 특별전 할인된 가격으로 관람 가능합니다.

| 도슨트 & 오디오 가이드

오랑주리-오르세미술관 특별전 도슨트는 평일일 화수목금 오전 11시와 오후 1시 하루 2회 진행됩니다. 아쉽게도 토요일과 일요일 공휴일, 추석연휴에는 도슨트는 진행되지 않습니다. 

점점 전시회 도슨트는 평일 여유있는 사람들의 전유물이 되어가네요. 

 

현대 H.Point 앱에서 오디오가이드 이용이 가능한데요. 무료는 아니고 유료로 오랑주리-오르세미술관 특별전 오디오가이드 이용이 가능합니다. 총 13점의 작품에 대한 해설이 제공되는데요. 유료 오디오가이드 고려하면 다소 부실한 전시정보와 분량이 제공됩니다.

 

| 전시회 관람 소요시간은 한 시간 미만

이번 전시회는 총 6개 섹션 51점의 작품과 70여점의 사진자료가 전시되고 있습니다.

즉 오랑주리 오르세 미술관에서 물건너온 작품은 딱 51점이라는 이야기, 사실 포스터에 나오는 작품들이 끝... 정말로 이렇게 빠르게 관람한 유료 전시회는 오랜만... 감동이 없음...

 

| 세잔과 르누아르 좋아한다면 초강추

만약 당신이 세잔과 르누아르의 작품을 너무나도 좋아한다면 꼭 방문해서 관람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전시회 구성이 세잔과 르누아르의 작품세계와 함께 동시대를 살아간 두 작가의 작품을 비교 전시하는 상당히 매력적인 전시회로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 세잔, 르누아르' 추천 드립니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Pierre-Auguste Renoir 광대 옷을 입은 클로드 르누아르 Claude Renoir in Clown Costume 1909, 캔버스에 유채, 120 x 77 cm Musée de l'Orangerie, Paris, inv. RF 1960 17

| 오르세와 오랑주리에 비중을 둔다면 왕실망

이번 전시회 관람 목적인 두 작가 보다는 프랑스 파리에 있는 대표적인 미술관인 오랑주리 미술관과 오르세 미술관의 이름을 기대하고 방문한다면 매우 큰 실망하실 것입니다.

두 미술관의 핵심은 몽땅 빠진 전시회가 바로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전시회 입니다.

 

이번 예술의전당 한가람디자인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 세잔, 르누아르은 사진촬영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예전에 파리 여행에서 방문했던 두 미술관에서 찍은 사진 중심으로 이번 전시회 후기 진행합니다.

| 알맹이 빠진 오랑주리 미술관

사실 오랑주리 미술관은 모네의 모네을 위한 모네의 미술관입니다.

이곳 1층에 전시된 모네의 대형 수련 8점이 바로 오랑주리라는 생각인데요. 이번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 세잔, 르누아르' 전시회에는 단 한점의 모네 작품도 만나볼 수 없습니다.

728x90

모네의 수련이 없다. 한 점도

모네의 수련 한 점도 없는데, 전시회에 오랑주리라는 이름을 사용한 것은 사기라는 생각!!!

전시회 제목의 순서를 바꿨어야!

 

아메데오 모딜리아니, 앙리 루소, 드랭, 마리 로랑생, 위트릴로, 챠임 수틴 등의 작품 중 한 점도 오지 않았다면 이게 무슨 오랑주리 미술관 전시회라고 할 수 있는지?

 

 

폴 기윰과 모딜리아니

이번 전시회에서는 동시대를 살았던 컬렉터이자 미술품 거래상인 폴 기욤의 섹션과 초상이 전시되어 잇습니다. 저는 오르세 미술관에 전시된 폴 기윰의 초상은 모딜리아니의 작품이 왔어햔 다는 생각...

이에는 아래 키스 반 동겐의 폴 기윰의 초상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Portrait de Paul Guillaume), Kees van Dongen

 

오랑주리의 대표 작품을 만나볼 수 없었다는 슬픔

 

Section 6. 두 거장과 피카소-20세기에 남긴 유산

이번 전시회 마지막 섹션은 피카소와 두 작가의 공간입니다.

세잔과 르누아르는 19세기 후반 미술사의 흐름을 이끌며 새로운 시대의 예술적 토대를 마련했고 세잔의 분석적 회화는 입체주의의 등장을 견인했습니다.선과 색채에 대한 르누아르의 표현 방식은 피카소의 고전주의 회귀에 영향을 주었다. 두 거장은 인상주의를 넘어 현대미술의 기반을 닦은 이정표로 자리매김했습니다.

 

피카소의 천을 두른 누드 작품은 만나볼 수 있음

이 거대한 여성 인물화는 여러 거장들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신체의 비틀린 움직임은 미켈란젤로, 왜곡된 형태는 장 오귀스트 도미니크 앵그르, 목욕하는 여인의 자세는 르누아르에게서 영감을 받았습니다. 

특히 피카소는 르누아르의 후기 누드화에 매료되어 그의 작품 7점을 소장하며, 이를 자신의 작품 창작에 직접적인 모티프로 활용했습니다. 이 작품의 도식적인 얼굴 표현과 육중한 형태는 1906년부터 1907년까지 분홍빛 색조가 주를 이룬 '장미 시기' 피카소의 인물들을 연상시킵니다.

 

이 피카소의 누드와 르누와르의 누드 작품을 한 공간에서 만나볼 수 있는 부분은 이번 예술의전단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 세잔, 르누아르 전시회의 매력 중 하나

 

그리고 사과와 비스킷과 세잔의 정물과 나란히 전시된 공간은 참좋았음

 

피아노 치는 소녀들 

이번 오랑주리 -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대표작품인 바로 르누아르의 피아노 치는 소녀들 가운데 작품을 이번 전시회에 만나볼 수 있는데, 이와 유사한 작품은 오르세 미술관에도 있다. 두 작품이 동시에 전시되었으면 좋았을...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 Pierre-Auguste Renoir 피아노 치는 소녀들 Girls at the Piano 1892년경, 캔버스에 유채, 116 x 81 cm Musée de l'Orangerie, Paris, inv. RF 1960 16

 

르누아르는 1890년대에 소녀들이 함께하는 장면을 반복적으로 그렸는데, 그 중 하나가 피아노 치는 소녀들입니다. 이 작품은 50대에 접어든 르누아르가 여러 습작과 버전으로 정성껏 준비한 결과로, 파스텔 한 점과 유화 다섯 점 등 총 여섯 점의 대형 작품으로 완성되었습니다. 이 작품들은 의상, 배경, 소녀들의 머리와 손 위치 등 미세한 차이가 있으며, 동일한 구도에서 색채와 세부 묘사에 변화를 준 깊이 있는 작업이었습니다. 이는 르누아르의 완벽주의적 성격과 의뢰에 대한 진지한 태도를 반영한 결과로 보입니다

 

감히 오르세 미술관 이름을

오르세 미술관은 루브르 박물관과 퐁피두 센터 사이에서 19세기 미술을 다루며, 회화뿐 아니라 조각과 장식, 건축, 풍속 등 다양한 예술 양식을 함께 전시하고 있는 곳인데요. 이곳의 대표작품은 사실상 이번 전시회에서 만나볼 수 없습니다. 겨우 세잔의 작품만 가지고 오다니...

 

르누아르의 피아노치는 소녀들 오르세미술관 버전입니다. 이번 예술의 전당 랑주리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에서는 만나볼 수 없습니다.

 

정확히 어떤 작품인지 기억나지는 않지만 폴세잔의 목욕하는 다섯며의 사람들 정물화 풍경화는 이번 전시회에서 만나볼 수 있다. 세잔의 작품을 좋아하면 추천하는 전시회

 

 

이번 오랑주리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에서는 오르세 미술관의 고흐의 작품이나 모네의 루앙 대성당 등의 걸작 한 점도 오지 않았다.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진짜 대표작 중 하나 물랭 드 라 갈레트의 무도회는 이번 전시회에 빠진...

엄선된 50여점의 작품이 맞는지...

 

혹시나가 역시나, 이번 전시회는 정말로 추천하기 힘들다. 이런 걸작은 하나도 없다.

 

오랑주리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아트샵

아트샵도 약한...

 

오랑주리 오르세 미술관 특별전 : 세잔, 르누아르 한정판 공식도록 가격은 20,000원

가격이 저렴하다 생각하지만 가벼운 가격만큼 도록도 얇다.

 

 

아트샵 상품은 우리가 생각하는 일반적인 상품 수준, 독특한 제품은 크게 없다.

 

728x90
728x90

최근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하고 있는 배우이자 화가인 박기웅 작가의 전시회  솔로이스트(SOLOIST) 관람후기입니다. 최종병기 활, 각시탈 등에서 악역을 담당하면서 저에게는 연기력과 함께 악당의 이미지가 강한 배우인데요.

이번 넥스트뮤지엄 솔로이스트 전시회에서는 영웅 (슈퍼히어로)과 악당 (빌런)의 고정관념에 대해 의문을 던지는 전시회입니다.

박기웅 전시회

전시 기간: 2025.09.19 - 11.02 Mon-Sun 10:30 ~ 22:00
전시 장소: 넥스트뮤지엄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 300, 롯데월드몰 2층)
작가 : 박기웅 작품 약 30여점

 

박기웅 전시회 전시 서문

<SOLOIST>
오케스트라 속에서 독주자이자 협연자로 서는 이 단어는, 전체의 흐름 속에서도 고유한 목소리를 내는 존재를 뜻한다. 이번 전시에서 박기웅은 바로 그 'SOLOIST' 로서, 배우로서 쌓아온 감정을 회화라는 언어로 풀어낸다. 그의 그림은 대사 없는 연기이 자, 교감 속에서 피어나는 독창적 선율이다.

그의 작업은 얼굴과 표정을 따라 감정을 포착하는 데서 출발했으나, 점차 묘사를 넘어 언어와 구조로 확장되었다. 감정을 해석하고 기록 하는 과정 속에서 그는 자신만의 회화적 방법론을 확립했다.

이번 전시는 초기작부터 최근작까지 아우르며, 변화와 실험의 궤적을 한 자리에서 보여준다. 감정과 형식의 흔적을 따라가다 보면, 그가 어떻게 자신만의 회화 언어를 형성해왔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무대는 달라졌지만, 그의 연기는 멈추지 않는다.
이번에는 'SOLOIST' 로서, 회화의 목소리로.

 

 

이번 넥스트뮤지엄갤러리 박기웅 전시회는 1관과 2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각각의 소주제를 가지고 전시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Villains

빌런/악당 영화속 10명의 악당들이 모여 있습니다. 

박기웅 그림속에서는 슈퍼히어로와 빌런이 주된 소재로 작업되고 있는데요. 영화를 사랑하는 사람이라면 모두 다 맞출 수 있으실 듯...

 

영화속 빌런 중 최고는 역시 호아킨 피닉스가 연기한 조커가 아닐지... R.I.P

JOAQUIN PHOENIX AS ARTHUR FLECK/ 

JOKER (JOKER, 2019) 72.7 x 60.6cm (20F) Oil on linen 2021

 

나홀로 집에 두 악당. 빌런이라고 할 수 있을까?

DANIEL STERN AS MARV 

(HOME ALONE, 1990) 72.7 x 60.6cm (20F) Oil on linen 2022

JOE PESCI AS HARRY 

(HOME ALONE, 1990) 72.7 x 60.6cm (20F) Oil on linen 2022

 

Distortion

디스토션, 솔직히 작가의 의도를 잘 모르겠음

 

 

DISTORTION_001 162.2 x 130.3cm (100F) Oil on canvas 2024

 

DISTORTION_002 

162.2 x 130.3cm (100F) Oil on canvas 2024

그렇다고 나에게 작품이 매력적으로 다가오지도 않는 다는...

 

DISTORTION_004 

162.2 x 130.3cm (100F) Oil on canvas 2024

 

ICON, ICONIC

아이콘, 아이코닉, 

 

아인슈타인과 쌰넬, 미켈란젤로 피에타의 성모마리아와 롤렉스...

 

ICON, ICONIC_EC

90.9 x 72.7cm (30F) Oil on linen 2025

 

ICON, ICONIC_MR 

90.9 x 72.7cm (30F) Oil on linen 2025

 

 

MONTAGE

‘몽타쥬: 모든 동화에는 근사한 악당이 필요해’

시그니처 표정을 지은 악당 캐릭터 위에
작가만의 추상을 더한 <Dissolve> 시리즈는
온도와 투명도에 따라 달라진 초록색 물감으로 매력을 더 했습니다

”주연과 조연.
히어로와 빌런.
빛날 것들과 잊혀질 것들.
.
(중략)
.
동등하게 같은 사이즈와 재료로 작업했다.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작업이다.“

《몽타쥬》 작가 노트 중 발췌

 

MONTAGE_CRUELLA 

116.8 x 91cm (50F) Oil on canvas 2024

 

왜 크루엘라가 빌런이지?

 

MONTAGE_PILAF

116.8 x 91cm (50F) Oil on canvas 2024

 

MONTAGE_GARGAMEL 

116.8 x 91cm (50F) Oil on canvas 2024

 

박기웅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넥스트 뮤지엄 갤러리, 요런 공간은 작품 보기 다소 민망한...

DISSOLVE

DISSOLVE_SCAR 

72.7 x 60.6cm (20F) Oil on canvas

라이온킹’의 스카를 글레이징 기법으로 그린 작품과 함께...

 

DISSOLVE_CAT WOMAN 

72.7 x 60.6cm (20F) Oil on canvas 2024

 

DISSOLVE_URSULA 

72.7 x 60.6cm (20F) Oil on canvas 2024 

 

박 기 웅 PARK KI WOONG

박기웅은 배우이자 화가로서, 인간 내면의 복잡한 감정과 기억을 회화 언어로 탐구하는 작가다. 시각 디자인을 전공한 그는 배우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삶의 감정을 체득했고, 이를 회화라는 매 체로 확장하며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해왔다. 연기를 통해 타인의 내면을 살아낸 경험은 화면 위 에서 색채와 붓질로 다시 태어나며, 그는 이를 통해 기억과 정서, 존재의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의 작업은 초기에는 명작 속 인물을 재해석한 ‘빌런’ 시리즈로 대중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48 Villains〉 시리즈는 선과 악의 경계를 오가는 인간적 긴장을 예술적으로 드러내며 화제를 모았다. 이후 그는 ‘몽타주’, ‘디졸브’, ‘슈퍼히어로’ 등으로 작업을 확장하며, 색채의 중첩과 질감의 층위를 통 해 기억과 감정의 다층성을 탐구해왔다. 최근에는 어린 시절의 믿음과 열망, 그리고 ‘영웅’이라는 개념을 탐구하며 작업의 방향을 넓히고 있 다. 그는 단순히 ‘악역과 영웅’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인간 내면에 깃든 다양한 가능성과 서사의 힘을 화면 위에 펼쳐내며 예술적 서사를 이어가고 있다. 박기웅에게 회화는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또 하나의 ‘연기’다. 직접 조색하고 붓의 제스처를 드러내는 그의 방식은 감정의 밀도를 화면에 남기며, 배우의 감정선처럼 시각적 울림을 만들어낸다. 대중예술 과 순수미술의 경계를 넘나드는 그의 작업은 익숙하면서도 낯선 감각을 불러일으키며, 인간 존재의 복합성과 예술을 통한 공감의 가능성을 질문한다.

 

박기웅 그림 전시회는 건너편 넥스트뮤지엄 2관에서 이어집니다.

 

작가노트

박기웅 / Future Superhero

문장은 가끔 방향을 바꾼다.
처음엔 나를 향해 있던 말이
어느 순간, 조용히 다른 누군가를 향해 열린다.

“난 미래에 분명 슈퍼히어로가 되어 있을 거야.”
그리 믿었던 시절이 있었고,
그 말을 다시 꺼내는 지금,
그 오래된 확신이 누군가에겐 시작이 되기를 바랐다.

처음엔 문장을 흔들고 해체하는 일이었다.
조각난 말들 속에서
하나의 목소리를 다시 찾아내는 일.

텍스트는 흩어지고 번지다가,
이따금 겹쳐지기도 한다.
명확하게 읽히지 않아도 괜찮다.
흐릿할 때 오래 남는 말도 있으니까.

반응형

디지털 어딘가에 남겨졌던 이미지들,
잊힌 장면들,
쓸모를 다한 픽셀들.
그 편린들을 다시 불러내
감정의 결 안으로 엮었다.

다시 쓰는 편지처럼,
이번 작업은 회화이면서도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하나의 대답이었다.

Future Superhero는
완결된 문장이 아니다.
흐르며 남는 다짐,
지워지며 떠오르는 가능성.

이미 지나온 이들에게는
아직 닫히지 않은 문 하나로,
이제 막 시작하는 이들에게는
첫 문장의 울림으로.

+나의 영웅, 아버지께 바칩니다.

DECLARATION

작가가 말하는 슈퍼히어로는 초월적인 존재가 아니다. 희미한 믿음 속에서도 끝내 방향을 잃지 않으려는 개인의 내면을 향한다. 이는 다양한 인물을 연기해온 배우로서의 삶을 바탕으로 예술가로서 던지는 또 하나의 질문이기도 하다.

 

Future Super hero, 난 틀렸어...

 

DECLARATION_15 

72.7 x 60.6cm (20F) Oil on panel & silkscreen 2025 *

 

DECLARATION_14 

72.7 x 60.6cm (20F) Oil on panel & silkscreen 2025 

 

어릴 적엔 그냥 그랬어. 
난 분명 히어로가 되어 있을 거라고, 
그게 너무 당연한 줄 알았거든. 

그런데 나이를 먹고, 
세상을 하나씩 살아가다 보니까 
그때의 가능성이나, 반짝이던 마음들이 
어느새 좁아지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들었어. 

하지만, 이건 결핍에 관한 이야기가 아니야. 
포기한 것도, 끝난 것도 아니고. 

여전히 늦지 않았어.
나를 포함한, 이 순간에도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진심으로 박수 쳐주고 싶어. 

모두에게 영웅일 필요는 없어. 
우린 각자의 인생에
찬란한 주인공이잖아.

 

- 작가 인스타그램에서 -

Superhero

 

FOCUSED 

162.2 x 130.3 cm (100F) Oil on canvas 2025

 

EPITOME 

162.2 x 130.3cm (100F) Oil on canvas 2025

 

노 빌런! 노 히어로! 

 

ACTING NUT

별도 설명이 없다면 정말로 이해하기 힘든 메시지...

 

ACTING NUT_TDKR 

90.9 x 72.7cm (30F) Oil on canvas 2025

 

배트맨 캣우먼 시나리오 일부인 것 같은데...

 

ACTING NUT_WHP 

90.9 x 72.7cm (30F) Oil on canvas 2025 

 

 

기원×기웅 콜라보레이션 에디션 

요즘은 미술작품과 주류 콜라보가 상당히 많은데, 여기에 연예인 인지도가 더해진...

 

53.3도 위스키라고 한다.

 

 

 

 

728x90
728x9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열리고 있는 김창열 전시회 마지막 공간 '무슈 구뜨 도, 김창열' 8전시실 소개입니다.

해당공간은 이번 전시회의 별책부록 같은 곳이라고 하는데요. 작가의 작품과 함께 김창열 기록을 만나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6 > 7 > 8전시관

이번 국립현대미술관 김창열 전시회는 지하 1층 6전시관 > 7 전시관에 이어 지상 1층 8전시실로 이어집니다. 가능하다면 8전시관은 6전시관과 7전시관 관람 후 방문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마지막 전시관은 별도 티켓 확인없이 입장이 가능합니다. 

 

작가의 방 '무슈 구뜨 도, 김창열' 

김창열 작가가 팔레조의 마구간을 떠나 아파트로 이사하면서 문패 대신 물방울 그림을 달았습니다. 파리에서 그는 ‘미스터 물방울(Monsieur Gouttes)’로 불리며, 작업실은 예술가와 사회 인사들이 모이는 사랑방 같은 공간이 되었습니다. 긴 세월 생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그는 작업을 멈추지 않았고, 도움받은 이들을 잊지 않고 작업실을 예술적 담론과 인간 교류의 장으로 내주었습니다.

그는 ‘도인’이라는 별명도 갖고 있었으며, 파리 작업실에는 그의 인간적인 면모를 보여주는 수많은 일화가 남아 있습니다. 8전시실은 그의 삶과 예술 단편을 담아 ‘물방울’ 이미지에 가려진 인간 김창열을 조용히 만나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전시 공간은 관람객 동선에 따라 프롤로그 또는 에필로그, 전시의 시작이자 마지막이 될 수 있습니다. 전쟁과 분단 속에서 살아남은 김창열에게 삶은 끈질기면서도 덧없는 것이었고, 아내 마르틴 질롱은 그가 평생 책임감과 죄책감 속에서 살았다고 전합니다. 그래서 물방울은 끝없이 그려도 다 담을 수 없는 애도의 일기였을지 모릅니다. 이 공간에서 거장 김창열이 짊어졌던 것과 그의 뒷모습을 천천히 들여다불 수 있는 기회입니다.

 

김창열 작가가 팔레조의 마구간을 떠나 아파트로 이사하면서 문패 대신 물방울 그림을 달았습니다. 파리에서 그는 ‘미스터 물방울(Monsieur Gouttes)’로 불리며, 작업실은 예술가와 사회 인사들이 모이는 사랑방 같은 공간이 되었습니다. 긴 세월 생계의 어려움 속에서도 그는 작업을 멈추지 않았고, 도움받은 이들을 잊지 않고 작업실을 예술적 담론과 인간 교류의 장으로 내주었습니다.

김창열의 물방울

국립현대미술관 김창열 전시회 마지막 공간 작가의 방 '무슈 구뜨 도, 김창열' 공간에 전시된 작품의 대부분 제목은 '물방울'입니다.

 

4점의 물방울 연작으로 1975/78년 작품

크래프트지에 수채 물감 작업한 작품 (73x60xm / 개인소장)

 

 

물방울 (2003)

달력에 아크릴릭 물감 작업

 

'물방울' 1984, 캔버스에 아크릴릭 물감, 유화 물감, 라커, 195×162cm, 개인 소장
Waterdrops, 1984, Acrylic paint, oil paint and lacquer on canvas, 195×162cm, Private collection

 

다른 물방울 연작과는 느낌이 다소 다르다.

미술 작품들이 다 그렇지만 사진으로 이 김창열 물방울 작품을 설명하기 어렵다는...

키 작으면 잘 보이지도 않는다.

 

작가의 방 '무슈 구뜨 도, 김창열' 

이번 공간은 김창열 물방울 작품들과 함께 드로잉 작품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아래는 실크스크린 제작용 툴인데 소장처가 종로구청 입니다. 다소 신기..

반응형

이 물방울 작품은 작가의 방 '무슈 구뜨 도, 김창열' 전시회 공간에서 노란색 배경의 물방울과 함께 느낌이 너무 좋았던 작품.

언 뜻 보면 작품속에 물방울이 보이지 않는데...

 

마치 숨은그림찾기 하듯 작품에 다가가면... 1983년 작품

 

 

전시장 끝 공간은 영상과 함께 작가의 편지를 만나볼 수 있는데. 서신의 내용에 대해서는 평가하기 어렵다.

 

뉴욕에서 보낸 편지. 내용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는...

 

 

김창열의 편지 (2003)

편지속 주인공인 두아이의 부모는 누구일까?

 

단순하게 물방울 작가로 알고 있던 김창열...

작가의 고뇌와 사유의 깊이를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는 것에 행복하다.

728x90
728x90

생로병사 희노애락...

처음 접하면 상당히 당황스럽지만, 한참 서서 작품을 보고 있으면 정도 들고 이별도 생각하게 되는 매우 흥미로운 전시회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마치 반려작품과 함께하는 것 같은 같은 미술 전시회

 

| 지하 1층 서울박스

오늘 소개하는 추수 작가의 전시회는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지하 1층 서울박스에서 열리고 있습니다. 특히 해당 공간은 1층에서 아래를 내려다볼 수 있는 개방된 상당히 알짜자리네요.

 

인큐베이터

이곳에는 두 개의 거대한 OLED 패널과 중앙에는 인큐베이터로 불리는 거대한 구조물이 설치되어 있습니다. 이번 추수작가의 '아가몬 대백과: 외부 유출본' 전시회는 지난 8월 1일부터 내년인 2026년 2월 1일까지 6개월간 진행됩니다.

전시기간에 아가몬 조기 소멸되지 않고 무럭무럭 잘 자라길...

| 추수(TZUSOO, 1992년 서울 출생)

추수는 1992년 서울 출생으로, 홍익대 판화과와 예술학과 학사, 독일 슈투트가르트 국립조형예술대학에서 석사 과정을 마친 미디어 아티스트입니다. 베를린과 서울을 오가며 활동하는 추수는 ‘혼종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한국인 여성으로서 겪는 차별과 부조리, 여성성, 퀴어, 디지털, 페미니즘 등 다양한 주제를 작품에 담습니다.


그의 작업은 영상, 디지털 프린트, 설치, 조각 등을 아우르며, 인공 지능 음악 회사와 협업한 버추얼 인플루언서 ‘에이미’와, 인간의 본능적 욕구가 물리적 에너지로 전환된 ‘아가몬’ 같은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추수는 디지털과 현실, 물질성과 페르소나의 교차점에서 다양한 형식과 매체를 넘나들며 창작 활동을 펼칩니다.

 

| 추수 전시회 오디오가이드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추수 전시회 아가몬 대백과 외부 유출본 전시회는 오디오가이드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어폰 챙겨서 방문하세요. (이외에도 김창열 전 등 주요 전시회는 대부분 무료 오디오가이드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특히 'MMCA X LG OLED 시리즈'의 첫 번째 작가 추수 전시회는 작가의 목소리로 오디오가이드가 제공됩니다.

 

| 아가몬 (Agarmon)

'아가몬 대백과 : 외부유출본'은 2023년에 시작된 추수 작가의 아가몬 시리즈 다섯 번째 전시로, 조각 설치 아가몬과 두 채널 영상·음악 작품 ‘살의 여덟 정령’으로 구성됩니다. 아가몬은 해조류인 우뭇가사리와 이끼로 만들어졌으며, 이끼 전문가 ‘독립정원’과 함께 아가몬이 잘 자랄 수 있는 생태 환경을 마련했습니다.

 

 

이 작업은 현대사회에서 출산이 선택이 된 상황과, 번식을 하지 않을 때 인간 욕망과 성적 에너지가 어디로 향하는지를 질문하는데서 출발합니다. 아가몬은 이러한 에너지들이 뭉쳐 탄생한 몬스터이며, 성적 엔트로피의 증가로 팽창하는 아가몬 세계 일부가 지구로 유출되어 전시되고 있습니다. 2025년 8월 1일, 국립현대미술관에 등장한 아가몬은 지구에서 발견된 다섯 번째 개체입니다.

 

이 연못 둘레에 있는 장식은 피어싱이라 부르네요.

이번 추수 전시회 아가몬 대백과 외부 유출본 전시회 추수 작가 인스타그램에 접속하시면 이번 작품제작과정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연못은 아가몬을 위한 인큐베이터로서, 물과 빛, 습도를 조절하며 이끼가 자라기 적합한 조건을 유지합니다. 아가몬은 생명력을 지니고 있어 시간이 지나며 나이 들고, 변화하며, 부패합니다. 태어났을 때 뽀얗고 건강했던 모습은 사람 피부처럼 마르고 주름지며 변해갑니다. 반면 이끼는 완전히 말라도 다시 살아납니다.

 

 

우선 이끼가 살기위한 조건, 수분...

반응형

 

 

그리고 빛...

 

소멸과 재생을 반복하는 아가몬 생태계 속에서 이번 개체가 얼마나 오래 살아남고 어떤 진화 과정을 밟을지 관람객이 함께 지켜보도록 초대합니다. 이 전시는 2025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박스에서 약 6개월간 열리는데요. 과연 전시가 끝날때까지 작가의 다섯번째 아가몬은 아프지 않고 잘 살 수 있을지... (이미 무지개 다리 건넌 아가몬들은...)

 

살의 여덟 정령 - ‹간› / ‹태›

추수 작가는 아가몬 세계에는 여덟 정령이 존재하며, 각각 건, 태, 리, 진, 손, 감, 간, 곤이라고 불립니다. 이들은 성적 정체성의 다양한 측면을 상징하며, 8방위를 지키며 무질서한 성적 에너지에 나름의 질서를 부여합니다. 여덟 정령은 동아시아 백괘에서 이름을 따왔고, 우주와 음양, 남성성과 여성성 등의 균형을 담아내는 상징 체계입니다.

 

 

서울 박스의 두 스크린은 남쪽을 수호하는 ‘간’과 북동쪽을 지키는 ‘태’ 정령을 불러들이는 포털 역할을 합니다. ‘간’은 세 개 머리를 가졌으며, 규범적 정상성, 퀴어, 여성성을 상징하지만, 두 머리는 잘려나가 억눌린 욕망과 모순을 드러냅니다. ‘태’는 두려움과 상처, 호기심을 품은 질병의 정령이며, 몸에 상처와 피어싱이 있어 여성 성의 취약성과 부서짐을 표현합니다.

 

두 정령과 함께 아가몬 세계의 사운드 음악도 흐르며, 정령들이 스크린을 넘나들며 보여주는 모습은 질서와 혼돈, 억압과 욕망, 디지털과 현실의 교차하는 감각을 경험하게 하는데요. 아.. 화면 정말로 선명하다.

왜 추수 작가가 'MMCA X LG OLED 시리즈'의 첫 번째 작가로 선정되었는지 일부는 이 이유가 컸을 듯...

 

이번 추수작가 아가몬 대백과 외부 유출본 전시회는 방문할 때마다 달라진 아가몬의 모습을 만나볼 수 있는데요. 과연 성장할지, 쇠퇴할지... 전시회 종료 전까지 꼭 한 번은 다시 방문해보고 싶네요,

 

 

728x90
728x90

삼성동 마이아트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전시회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19세기 컬렉션 : 나폴리를 거닐다 관람후기 마지막 입니다. (19th Century Collection from the Capodimonte Museu)

특히 추석 연휴 서울에 있으시다면 이번 추석연휴 가볼만한곳으로 추천 드리는 전시회 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전시회는 미술에 큰 관심이 없어도 누구나 편하게 감상이 가능한 작품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어 가족 또는 친구들과 함께 부담없이 관람이 가능합니다.

 

 

[도슨트, 아트샵, 할인, 포토존]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컬렉션 전시회 후기

8월 1일부터 강남구 삼성동 마이아트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19세기 컬렉션 : 나폴리를 거닐다'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마이아트뮤지엄에서 열린 전시회는

www.a4b4.co.kr

 

3장. 토마의 시선 

이번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전시회 전시에서는 조아키노 토마의 작품 세계에 특히 주목하고 있습니다. 유일하게 작가의 이름으로 구성된 섹션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는 음울한 국내 공간을 주요 회화 소재로 삼았으며, 어머니, 할머니, 병든 아이, 청소년기 여성 고아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웠습니다. 토마는 이탈리아 통일운동에 참여했던 인물이기도 합니다.
강한 명암 대비와 극적인 구도를 통해 “실존적 불안(existential anxiety)”을 섬세하게 포착해냈습니다.
또한 빛의 효과와 그 변화에도 깊은 관심을 보였으며, 베수비오 산기슭에 모여 자연 풍경에 드리우는 빛을 연구하던 레시나 학파(Scuola di Resina)의 예술가들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습니다.

3

조아키노 토마 (갈라티나, 1836 - 나폴리, 1891)

조아키노 토마는 19세기 이탈리아 나폴리 화단을 대표하는 화가이자 이탈리아 통일운동에 참여하신 지식인이었습니다. 역사의 사건과 서민의 일상을 주제로 한 회화들을 통해 사실성과 서정성을 아우르는 독자적인 화풍을 확립했습니다.
어린 시절 여섯 살에 부모님을 모두 잃고, 곧이어 양어머니와 고아원을 전전하는 불우한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이러한 개인적인 경험은 훗날 작가님의 작품 세계 깊숙이 스며들어 종교 공간, 고아원, 병든 자 등 서정적이고 내밀한 주제를 자주 형상화했습니다. 고관의 집에서 하인으로 일하시면서도 화가가 되기를 꿈꾸고, 때때로 러블라 건너기나 공장 정식회의 조수로 임시로 일한 경험도 쌓았다고 합니다.

조아키노 토마 갈라티나, Gioacchino Toma Galatina

1836 - 나폴리, 1891 (1836 - Naples, 1891)

자화상 / Self-portrait around 1880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47.5 × 39 cm

 

아래 두 작품 중 위에 있는 작품은 쌍둥이로 작가의 진짜 아들들을 그린 그림이라고 합니다. 이중 한 아아가 병으로 사망했다고 하는데요. 그 아이가 죽어가는 장면을 그린 그림이 아래 그림이라고합니다.

 

조아키노 토마 갈라티나, 1836 - 나폴리, 1891 Gioacchino Toma Galatina, 1836 - Naples, 1891 

죽어가는 아들 / The dying son around 1882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27 × 34 cm

 

이렇게라도 사랑하는 아이의 흔적을 남기고 싶은 것이었을까요?

 

그는 또한 정물과 풍경화에도 능했는데요. 그의 정물화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조아키노 토마 갈라티나, 1836 - 나폴리, 1891
Gioacchino Toma Galatina, 1836 - Naples, 1891

가지와 피망이 있는 정물화 / Still life with aubergines and peppers 1861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 51 × 65 cm

 

조아키노 토마 갈라티나, 1836 - 나폴리, 1891
Gioacchino Toma Galatina, 1836 - Naples, 1891

빌라 가르조니의 안뜰 / The courtyard of Villa Garzoni 1884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36 × 51 cm

4장. 빛이 있었고 삶이 있었던 곳 

19세기 초의 풍경화는 18세기 양식을 계승한 것이었다. 18세기에는 풍경화 장르가 더욱 널리 확산되었으며, 자연의 아름다움에 인간의 유산과 과거의 위대한 흔적이 더해진 장소를 찾고자 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이러한 장소들은 유럽 상류층이 떠나는 문화 탐방 여행, 즉 ‘그랜드 투어(Grand Tour)’의 주요 목적지였고, 그에 따라 당대의 걸출한 풍경화가들이 이곳에 모여들었다. 

 

특히 나폴리 만을 따라 이어지는 장대한 풍경 – 케이프 미세노(Cape Miseno)에서 판타 캄파넬라(Punta Campanella), 바이아(Baia)와 에르클라네움(Herculaneum), 폼페이(Pompeii), 플레그레의 평야(Campi Flegrei), 베수비오 산(Vesuvius), 이스키아(Ischia), 카프리 섬(Capri)에 이르는 자연의 향연 – 은 미와 학문을 탐구하는 이들이 모여드는 감성과 지성이 교차하는 공간이었다. 

 

이처럼 자연과 고대 유적이 어우러진 나폴리 만 일대는 야외에서 직접 풍경을 그리는 ‘앙플레네르(en plein air)’ 기법이 확산되는 네덜도 이장적인 환경이었다. 이 기법은 19세기 전반의 풍경화에 중요한 전환점을 가져왔으며, 그로 인해 화면에는 생생한 대기감과 밝은 색채, 미스톤한 햇빛 효과 등의 자연스러움이 표현되었다.

 

결국 예술이라는 것이 좋은 환경과 자본이 결합되지 않으면 발전할 수 없다는 것을 반증하는...

그리고 이번 마이아트뮤지엄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전시회를 추석 연휴 가볼만한 곳 전시회로 추천하는 이유

믿어주세요, 저는 그 분위기를 누구보다 잘 압니다.
수없이 그것을 그려왔으니까요.
공기와 하늘의 모든 비밀, 그 속 깊은 본질까지도요.

believe me, I know the atmosphere well;
and I have painted it many times.
I know all the secrets of the air and the sky in their intimate nature

 

주세페 데 니티스 Giuseppe De Nittis

4-1. 지중해

포실리포의 화가들은 현실에 기반하여 광활한 지중해의 풍경과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힘에 이끌렸다.
그들은 이를 통해 아름다움과 위험, 불확실성이 공존하는 숭고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러한 태도는 해변의 밧줄공이나 바닷가의 아이들과 같은 일상적 장면을 그린 작품에서도 자연스럽게 드러난다.

 

조아키노 토마 갈라티나, 1836 - 나폴리, 1891
Gioacchino Toma Galatina, 1836 - Naples, 1891

토레 멜 그레코의 밧줄공들 The rope-makers of Torre del Greco. 1882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74 × 133 cm

728x90

조아키노 토마는 1880년 이후 생애 마지막 시기에 레시나 학파의 영향을 받아, 명암 중심의 회화에서 벗어나 강한 채광과 대담한 붓질, 간결한 구성으로 특징되는 새로운 화풍을 선보였다. 〈토레 델 그레코의 밧줄공들〉은 이러한 변화가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빈첸초 카프릴레 나폴리, 1856 - 1936
Vincenzo Caprile Naples, 1856 - 1936

해변에서 / On the beach 

19th - 20th century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48 × 66 cm

 

빈첸초 카프릴레는 레시나 학파와 나폴리 자연주의 화풍의 영향을 받았으며, 나폴리·카프리·아말피 해안을 배경으로 한 일상적 장면과 해안 풍경을 따뜻한 시선으로 담아내며 국내외 여러 전시에서 호평을 받았다. 〈해변에서〉는 바닷가 일상에 대한 그의 애정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마사로운 햇살이 내리쬐는 해변에 어린이 등을 보인 채 모래 위에 앉아 있고 밝은 옷차림의 남성이 익살스러운 몸짓으로 다가오는 모습이 정적인 풍경에 유머와 생기를 더한다.

 

빈첸초 카프릴레 나폴리 해변에서는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전시회 대표 작품 중 하나...

그냥 평온하고 자연스러운 이 느낌이 너무나도 좋더라는...

 

4-2 / 4-3. 전원풍경 & 도시풍경

 

살바토레 페르골라 나폴리, 1796 - 1874
Salvatore Fergola Naples, 1796 - 1874

칼로레 강의 다리 / The bridge on the Calore / 1835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72 × 112 cm

 

베니아미노 데 프란체스코 바를레타, 1815 - 디나르, 1908
Beniamino De Francesco, Barletta, 1815 - Dinard, 1908

오트사부아의 전원주택 / Country cottage in Haute-Savoie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7 × 85 cm

 

마르코 데 그레고리오,  레시나, 1829 - 나폴리, 1876
Marco De Gregorio. Resina, 1829 - Naples, 1876

카사칼렌다의 풍경, View of Casacalenda, around 1867

캔버스에 유채 Oil on canvas 67 × 84 cm

 

마르코 데 그레고리오는 젊은 시절 공화주의자 및 급진주의자들과 뜻을 함께하며, 가리발디 부대의 일원으로 전투에 참전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통일 이후에는 친구 페데리코 로사노와 함께 레시나 학파를 창립했다. 이 작품은 한적한 시골 마을인 카사칼렌다의 중심 거리를 담고 있다. 작가는 간결한 건축 형태와 사실적인 묘사를 통해 공간의 구성에 집중하였으며, 이는 레시나 학파 미학과 맞닿아 있다.

 

빈첸초 밀리아로. 나폴리, 1858 - 1938
Vincenzo Migliaro. Naples, 1858 - 1938

야외 트라토리아. Outdoor trattoria. 19th-20th century

판넬에 유채 Oil on panel 18 × 24 cm

 

빈첸초 밀리아로는 1882년 콜레라 이후 도시 재개발로 급변하던 나폴리의 민중과 골목, 시장, 광장의 풍경을 기록한 화가다. 그의 작품은 당대 나폴리의 삶을 생생하게 증언하는 시각적 기록으로 평가된다.

 

 

아주아주 작은 사이즈의 풍경화들...

오히려 화려한 액자로 인해 가분수 작품으로 보이는데, 사이즈가 작은 이런 그림들은 돈이 없은 서민들에게 판매한 그림이라고 한다. 당시 서민들에게 잘 팔리는 그림 주제도 풍경화

 

이렇게 오늘 서울 추석연휴 가볼만한 전시회로 추천드리는 마이아트뮤지엄 전시회 '이탈리아 국립 카포디몬테 미술관' 특별전 전시공간 소개였습니다.

 

5. 에필로그 공간

마지막 공간은 영상과 사진으로 구성된 에필로그 공간으로 꾸며 있는데요.

 

영화의 아버지 뤼미에르 형제의 다큐멘터리 영상과...

반응형

 

작품당시 이탈리아 지방의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어쩌면 작품과 싱크로융 100%

 

728x90
728x90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 위치한 롯데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MZ세대가 주목하는 아티스트 옥승철 작가 전시회 프로토타입 관람후기입니다. 1988년생 MZ 작가로 일본의 투톤 애니메이션이 생각나게하는 작가의 작품들이 눈길을 끄는 전시회입니다. 

 

롯데뮤지엄 400여평의 공간에서 초대형 옥승철 작가 초대형 작품과 함께 약 80여점의 다양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 프로토타입 (prototype)

옥승철 작가는 복제와 확산이 일상화된 디지털 시대에 이미지의 '원본성'에 대한 의문을 던지는 작가입니다. 이번 롯데뮤지엄 전시회에서도 반복되는 유사한 작품들을 감상하면서 조금은 색다른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의 작품중 완성작과 프로토타입, 복제품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지...

 

전시회명 ‘프로토타입’은 본래 대량 생산 전 단계의 시제품을 뜻하지만,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이를 하나의 고정된 원형이 아닌, 계속해서 호출·변형될 수 있는 유동적 데이터베이스로 해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전시회 작품 중심으로 소개합니다.

이번 옥승철 프로토타입 전시회 도슨트, 오디오가이드, 주차장, 아트샵 등 전시회 관련 정보는 지난 포스팅 참고하세요.

 

'프로토타입' 옥승철 전시회 후기 도슨트, 주차장, 아트샵, 할인 정보

오늘 소개하는 전시회는 디지털 이미지 환경에서 감각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회화와 입체 작업을 통해 탐색해 온 옥승철 작가의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 지난 15일부터 잠실롯데월드타워 롯

www.a4b4.co.kr

 

 

이번 롯데뮤지엄 전시장 입구는 독특하게도 가상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치 영화촬영시 특수효과에 사용되는 초록색의 크로마키가 생각나는 복도와 십자 통로로 구성된 3개의 전시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전시장을 방문하기 위해서는 해당 중앙 공간에서 모이고 시작해야 한다는... 마치 매 번 리로딩되는...

 

PROTOTYPE 1

이번 전시회 첫 공간이자 가장 큰 공간입니다. 

각각의 공간에 대한 소개와 작품명을 제외하고는 상세한 캡션을 없습니다. 제목을 보고 관람객이 유추해야 하는... 

물론 도슨트 시간에 맞춰 방문하시면 조금더 옥승철 작가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PROTOTYPE 1-1

이번 옥승철 프로토타입 전시회의 첫 공간이자 대표 작품이 전시된 공간입니다. 작가의 인스타그램에 방문하면 해당 작품의 제작과정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2.8미터의 대형 조각상이 보입니다. 

아직은 미완의 프로토타입 작품으로 보이는데요. 이 3점의 거대한 조각상은 우리가 지금부터 감상할 옥승철 작가의 작품의 프로토타입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이 얼굴을 기반으로 파생되는 다양한 작품들...

 

해당 조형물은 (월드컵) 트로피의 모양을 취하고 있는데요.

트로피는 고대 그리스어 '트로파이온(tropaion)'에서 유래했으며, 원래 전쟁에서 승리한 쪽이 패자의 진영에서 빼앗은 무기나 갑옷 등을 전리품으로 나무나 기둥에 걸어 기념하던 것이 시초입니다. 이처럼 트로피는 본질적으로 승자의 상징이며, 승리한 자가 패자를 이겼다는 증표로서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

 

시간이 지나면서 트로피는 스포츠와 다양한 경쟁 분야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18세기 영국의 앤 여왕 시절 승마대회에서 우승자에게 술을 따라 마실 수 있는 컵 모양의 트로피를 수여한 것이 현대 트로피의 형태가 되었습니다. 이 컵은 승자를 위한 축배를 상징하며, 명확한 승자와 패자가 갈리는 경쟁의 결과를 기념하는 중요한 상징물로 자리잡았습니다. 따라서 트로피는 승자가 패자를 이겼다는 역사적 의미와 승리의 영광을 기념하는 상징으로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롯데뮤지엄 옥승철작가 전시회 프로토타입 첫 공간은 이러합니다.

 

PROTOTYPE 1-2

증명사진과 초상, 어느 작품이 원본이고 변조 복사본인지...

현 디지털 시대에 원본이라는 개념이 의미가 있는지에 대한 작가의 물음...

 

 

'Portrait', 2022. Acrylic on canvas, 100 × 8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Portrait', 2022. Acrylic on canvas, 100 × 8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작가의 평면회화 대부분은 캔버스에 아크릴 작업으로 제작되었다.

추측컨데 컴퓨터 작업을 통한 시안 작업이 먼저 되었을 것 같은...

 

'ID picture', 2021. Acrylic on canvas, 220 × 18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ID picture', 2021. Acrylic on canvas, 220 × 18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그리고 실사 출력이 있었을 것...

 

 

'Outline', 2022. Stainless steel, 136.9 × 118 cm, Private collection, Korea
'Outline', 2022. Stainless steel, 127.2 × 107.7 cm, Private collection, Korea

 

PROTOTYPE 1-3

어찌보면 미완의 작품들 화룡점정(畵龍點睛) 이라고 할까?

이번 롯데뮤지엄 옥승철 프로토타입 전시회의 작품에는 눈이 다 안그려진 작품들이 상당수 전시되어 있다.

 

'Head', 2022. Acrylic on canvas, 200 × 15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Head', 2022. Acrylic on canvas, 200 × 15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Canon', 2024. Oil on canvas, 150 × 150 cm
'Canon', 2024. Oil on canvas, 150 × 150 cm

 

'Canon', 2024. Oil on canvas, 150 × 15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Canon', 2024. Oil on canvas, 150 × 150 cm

728x90

 

'Plaster Statue', 2020. Stainless steel, urethane paint, (H)14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석고상 작품 같지만 재질은 스텐인레스 스틸이라고 한다...

 

 

'Head Statue', 2022. Resin, (H)40 cm
'Head Statue', 2022. Resin, (H)40 cm

청동재질 같지만 레진이라고 한다. 뭣이 중한디...

 


이어지는 다소 묘한 공간...

임산부 노약자 관람 주의 !!!

 

‘Head statue’, 2022. FRP, urethane paint, (H)122.5 × 110.4 × 113 cm

 

옥승철 작가의 ‘잘린 머리’ 작품은 인물의 목 부분이 잘려 있어 불완전하고 불편한 인상을 주며, 도굴당한 불상이나 잘린 메두사 얼굴을 연상시킵니다. 이 작품은 원본성과 복제, 실재와 가상, 평면성과 입체성의 문제를 탐구하며, 특히 디지털 시대 이미지가 잘리고 편집되어 원래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워진 상황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Behead’, 2020. Acrylic on canvas, 60 × 5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Behead’, 2020. Acrylic on canvas, 60 × 50 c

 

 

또한 인간이 자신을 온전히 인식할 수 없다는 점과 이미지 사용 및 소유 방식에 대한 질문을 던지며, 평면 위에 입체감을 주는 그림으로 만화나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특징을 차용해 현대적이고 독특한 미적 감각을 드러냅니다.

 

‘Head statue’, 2022. Bronze, (H)40 cm


‘Apeach’, 2020. Acrylic on canvas, ø 12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PROTOTYPE 2

옥승철 프로토타입 전시회 두 번 째 공간입니다. 다시 전시장 중앙에서 2번 공간으로 이동...

 

PROTOTYPE 2-1

이번 공간은 옥승철 작가의 대표적이고 메시지 강한 회화 작품이 전시된 공간입니다.

 

아라리오 갤러리 등에서도 옥승철 작가 작품을 소장하고 있네요.

 

 

옥승철, ‘Helmet’, 2018. Acrylic on canvas, 120 × 12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Helmet’, 2018. Acrylic on canvas, 90 × 9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Broken Lens’, 2021. Acrylic on canvas, 150 × 15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Player’, 2022. Acrylic on canvas, 150 × 20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Deadlock’, 2018. Acrylic on canvas, 170 × 17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Helmet’, 2022. Acrylic on canvas, 120 × 15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Deadlock’, 2025. Acrylic on canvas, 150 × 150 cm

 

옥승철, ‘Broken Lens’, 2020. Acrylic on canvas, 150 × 150 cm, Collection of Jung Jiyun, Korea

 

PROTOTYPE 2-2

다른그림 찾기의 공간... Reflection, mimic

 

‘Reflection’, 2019. Acrylic on canvas, 150 × 20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Mimic’, 2021. Acrylic on canvas, 140 × 17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Mimic’, 2017. Acrylic on canvas, 170 × 14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PROTOTYPE 3

 롯데월드타워 롯데뮤지엄 전시회 옥승철 프로토타입 마지막 공간입니다.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매력적인 작품들이 있는 곳이 지금 소개하는 프로토타입 3으로 생각되네요

PROTOTYPE 3-1

경험이 계속될수록 반응은 점차 흐려진다.

 

 

이러한 변화와 피로감에 대한... 

작품과 제목, 그리고 작가 메시지가 가장 잘 매치되는 작품

‘Tylenol’, 2025. Acrylic on canvas, 80 × 160 cm3


옥승철 작가의 작품 '타이레놀(Tylenol)'은 반복되는 이미지에 익숙해지는 감각을 약물 내성에 비유하여 시각화한 회화 신작입니다. 이 작품은 디지털 이미지가 끊임없이 복제되고 변형되며 소비되는 현대 사회에서 원본의 의미와 이미지에 대한 감각의 변화를 탐구합니다. 작가는 반복으로 인해 감각이 무뎌지고 익숙함이 오히려 불편함으로 전환되는 과정을 표현하면서, 디지털 시대에 변화하는 원본의 개념과 경험에 대해 질문을 던집니다. '타이레놀'은 롯데뮤지엄에서 열린 '프로토타입' 전시의 주요 작품 중 하나로, 원본과 복제, 경험과 감각 간의 긴장과 모순을 드러내는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옥승철, ‘Under the same moon’, 2023. Acrylic on canvas, 80 × 10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Under the same moon’, 2023. Acrylic on canvas, 80 × 10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Under the same moon’, 2023. Acrylic on canvas, 80 × 10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이번 옥승철 전시회 마지막 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

 

작가의 대표적인 남여 두 아이콘 한 방향은 점점 진해지고, 다른 한 방향은 희미해진다.

 

PROTOTYPE 3-2

1

 

 

옥승철, <Face>, 2023. Resin, (H)112 × 19.5 × 120 cm, Base: 60 × × 75 cm

옥승철 작가의 페이스 작품을 한 바퀴 빙 돌아서 감상한다.

 

옥승철 작가의 작품 <Face>(2023)는 대리석 조각이나 석고상의 표면처럼 매끈한 질감을 가진 3차원 양면 부조 작품으로, 2D와 3D 경계를 흐릿하게 만듭니다. 이 작품은 얼굴의 전면이 아닌 뒷모습만을 보여주며, 현실과 가상의 경계, 원본성과 복제의 순환 구조를 탐구합니다. 작가는 <Face>를 통해 기술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실과 구별할 수 없는 가상현실조차도 결국 물리적 실재를 만드는 데에는 한계가 있음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옥승철, <Spike>, 2024. Acrylic on canvas, 120 × 12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Never again>, 2018. Acrylic on canvas, 120 × 15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Tylenol>, 2022. Acrylic on canvas, 140 × 170 cm, Private collection, Korea

 

옥승철, <Never again>, 2021. Acrylic on canvas, 180 × 220 cm, Collection of Jung Jiyun, Korea

 

다시 전시장 안쪽 마지막 구역으로 입장합니다.

 

 

 

Rashomon (2023): Acrylic on canvas, two works listed, each 200 × 150 cm, private collection in Korea.
Rashomon (2023): Acrylic on canvas, two works listed, each 200 × 150 cm, private collection in Korea.

이 용어는 일본 영화 <라쇼몽>(1950,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에서 유래한 작품입니다.

영화 속에서는 한 살인사건을 두고 네 명의 증인이 모두 다른 증언을 하며, 진실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어렵다는 상황을 보여준다. 이 효과는 관찰자나 당사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는 일종의 인식의 주관성을 설명한다

 

 

Never Again (2022): Acrylic on canvas, 120 × 120 cm, private collection in Korea.
Taste of green tea (2022): Acrylic on canvas, 200 × 150 cm, private collection in Korea.

 

Prototype (2025): Acrylic on canvas, 210 × 240 cm.

이번 전시회 제목이자 단독 전시된 대형작품입니다. 전시장 공간 벽 뒤에 있어 잘못하면 지나치게 되는 작품...

 

 

이번 옥승철 전시회 출구 마지막 작품...

 

옥승철, <Trophy>, 2023

Gold-plated bronze
Sculpture: (H)45 × 22 × 25cm, Base: 28.5 × 28.5 × 8cm

옥승철 작가의 작품 <Trophy>는 2023년 개인전 "트로피"에서 선보인 신작 조각입니다. 이 작품은 전시 제목이자 상징적 모티브로, 원본이 만들어지고 확장되는 과정보다는 도상 그 자체에 집중한 특징이 있습니다. 작가는 하나의 대상(원본)이 바라보는 관점 차이에 따라 다르게 해석되고 의미 지어지는 점에 주목하며, 작품 내 얼굴 도상들은 고정되지 않고 무한히 열려 있는 상태로 제시됩니다.

 

오늘 소개한 옥승철 작가 개인전 프로토 타입은 다음달인 10월 26일 까지 잠실 롯데월드타워 롯데뮤지엄에서 전시예정입니다. 신선한느낌의 전시회을 생각하신다면 추천 드리는...

 

 

728x90
728x90

삼성동 S2A 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는 '수집 취향의 지형도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

이번 전시회는 특정 작가, 특정 화풍 등 미술 주제를 중심으로 구성된 전시회가 아닌 에스투에이와 4명의 컬렉터의 작품을 한 공간에서 만나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다섯 소장가의 다양한 작품, 나의 취향과 얼마나 매칭되는지 확인도 해보고

내가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을 소장한 컬렉터에게 질투할 수 있는 기회

 

수집 취향의 지형도 전시회

이번 전시회는 9월 20일까지 삼성동 에스투에이에서 열립니다. 매주 일요일과 월요일은 휴관. 관람료 무료

S2A 갤러리 휴무일이 토요일과 일요일로 변경되면서 저와는 거리가 생긴 삼성동 미술관중 하나가 되었는데요. 언제인지는 모르겠지만 다시 토요일에 오픈했네요.

 

다만 이렇게 닫혀있는 문은 항상 거리감이 느껴지는...

아래 쿠사마 야요이 작품은 몇년 전 S2A 개관 전시회에서 만났었던 그 작품인 것 같네요. 당시에는 전시장 중앙에 전시되었던 것 같은데요. (요즘 세상에 정신이 온전치 못한 사람들이 많아서 이렇게 노출해도 될지 모르겠네요.)

 

개인의 수집은 단순한 소유를 넘어, 미적 감각과 세계관, 시대적 맥락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문화적 제스처이며 자기 서사의 방식이다. 작품을 선택하는 개인의 감각은 작가와의 관계, 시대와의 접점, 삶의 경험과 정체성을 담아내며, 그 궤적은 미술사적 흐름과 교차하게 된다.

이번 전시에 참여한 다섯 컬렉션은 각기 다른 감수성과 관점을 바탕으로, 수집의 다양성과 고유성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프랑스인 필립 티로는 외부자의 시선으로 한국 고미술을 꾸준히 수집해왔으며, 한국 미술의 연속성과 고유한 미학에 대한 깊은 성찰을 드러낸다. 김남규는 국내외 젊은 작가들의 독창성에 주목하며, 동시대 시각예술의 감각적 흐름을 반영하는 수집을 실천해왔다. 정승우는 회화, 설치, 조각을 아우르는 폭넓은 관심을 바탕으로, 유중문화재단을 통한 작가 지원과 문화공헌을 병행하며 수집을 공적 실천의 연장선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준혁은 ‘날것의 정서’와 ‘사실의 잔혹성’을 중심 키워드로, 내밀한 감수성이 담긴 작품들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컬렉션을 구성해왔다. 마지막으로 S2A는 한국 근현대미술을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수집을 통해, 미술사의 흐름을 기록하고 보존하며 동시대 미술사적 지형을 구성해가는 기록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수집, 취향의 지형도는 이 다섯 컬렉션이 보여주는 미적 감각과 시대적 감수성을 따라, 동시대 예술의 방향성과 수집의 내면적 동기를 함께 조망하는 전시다. 특히 개인 컬렉터부터 문화재단, 갤러리 기관까지 다양한 주체의 컬렉션을 한자리에 소개함으로써, 수집이라는 행위가 어떻게 사적 취향을 넘어 공적 가치로 확장될 수 있는지를 함께 성찰하고자 한다. 이 전시는 예술을 향한 헌신과 시대에 대한 응답, 그리고 ‘무엇을 남길 것인가’에 대한 사적·사회적 질문을 동시대 미술 안에서 던지는 자리이기도 하다.

 


전시 공간은 두부 자르듯 반듯하게 다섯 공간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공간에서 다섯 컬렉터의 개성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01. S2A

S2A는 글로벌세아그룹 계열사이자 세계적인 의류제조수출기업인 세아상역(주)이 운영하는 문화사업 공간이다. 2022년 개관 이후
‘아름다움’이라는 본질적 가치를 인간의 삶과 예술의 영역으로 확장하고자 꾸준히 노력해왔다. 삶의 아름다움을 다루어 온 의류산업의 경험을 바탕 삼아, S2A는 예술을 통해 보다 깊이 있는 문화적 가치를 탐구하고, 다채로운 미학적 지평을 넓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번 전시회는 각각의 작품에 캡션은 없습니다. 전시장 입구에 비치된 안내지의 지도와 넘버를 비교하면서 작품의 작가와 작품명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저는 다소 불편한 방식

그리고 QR 코드를 통해 다섯 컬렉터의 이야기를 들어 읽어 볼 수 있습니다. (PDF 파일)

 

김환기, 귀로, 1950’s, oil on canvas, 100x80.3cm

한국을 대표하는 추상화가이자 현대미술의 선구자 김환기 화백의 작품. 대략 초기작품이네요. 초기 고향과 자연을 모티브로 작업한...

 

이성자, 샘물의 신비, 1963, oil on canvas, 162.2x130.3cm

류경채, 초파일 76-9, 1976, oil on canvas, 162.2x130.3cm

 

 

김창열, Water Drop No.2M, 1978, oil on canvas, 181.8x228cm

1950년대 앵포르멜 운동을 주도하며 서구 현대미술의 어법을 한국적 정서와 접목하는 데 앞장섰고, 1965년 뉴욕에서의 활동을 거쳐 1969년 파리에 정착하기까지 자신만의 예술에 도달하기 위한 실험과 도전의 여정을 멈추지 않았다. 1970년대 초, 물방울 회화의 여정이 시작되면서 자신만의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하였고, 평생에 걸쳐 탐구한 물방울은 곧 김창열을 상징하는 예술적 기호가 된 대한민국의 대표작가 중 한명인데요.

 

현재 서울국립현미술관에서도 김창열 특별전이 열리고 있습니다. (추수 작가와 김창열 작가 작품보러 가야 하는데, 시간이...)

 

정상화, 무제 07-1-3, 2007, acrylic on canvas; 162.2x130.3cm

정상화 작가는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단색화 1세대 작가 중 한 명으로, 한국 추상미술의 세계적 위상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한 인물입니다.

 

특히 캔버스에 물감을 칠한 뒤 긁어내는 ‘제거(dé-collage)’ 방식으로 유명한...

 

02. 정승우 

두 번째 공간은 상당히 독특한 취향의 작품들로 구성된 공간입니다. 

단순 회화나 조각이 아닌, 공간과 시청각을 자극하는 작품들...

 

고려대학교 법학과(학사), 동 대학원(법학 석사, 법학 박사) 졸업 후 2011년 공익재단법인 유중문화재단과 복합문화공간인 유중아트센터를 설립하여 이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2022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문화재단 이사도 겸직하고 있다. 예술품 국제거래, 경매, 통관 분야를 지속적으로 연구중이라고 합니다.

 

양혜규, Sonic Rotating Geometry Type D –

Brass Plated #28, 2014, steel sheet, powder coating, ball bearings, metal grid, brass plated bells, nickel plated bells, metal rings, 100x78x7cm

 

다소 난해하다!!!

 

양혜규 작가의 작품은 블라인드, 세탁 건조대, 인공 식물 등 일상적 사물을 활용하여 새로운 감각적 경험을 창출하는 데 특징이 있습니다. 단순한 시각적 감상을 넘어 빛, 소리, 냄새와 같은 다감각적 요소를 결합하여 관람자가 공간을 직접 체험하도록 유도합니다. 또한 경계, 정체성, 정치적 억압 등 사회·역사적 맥락을 탐구하며, 특정 인물이나 사건을 모티브로 한 연작을 통해 사회와 개인의 관계를 질문합니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양혜규는 국제 미술계에서 독창적인 설치미술 작가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728x90

올라퍼 엘리아슨, Your Orbit Stabiliser,

 2015, stainless steel, colour-effect filter glass, aluminium and paint, 104x104x27cm

 

올라퍼 엘리아슨의 작품은 자연 현상과 과학적 원리를 예술적으로 재구성하여 관람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몰입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는 빛, 물, 안개, 거울과 같은 요소를 활용해 태양, 무지개, 안개 등의 자연을 재현하고, 이를 통해 인간의 지각과 환경에 대한 인식을 환기시키십니다.

 

또한 그의 작업은 단순한 조형적 표현을 넘어 환경 문제와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며, 지속가능성과 공동체적 가치를 예술 안으로 확장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습니다.

그런데 작품 제목이 궤도 안정장지? 다른 뜻이 있나?

 

에르빈 부름, Salatgurken Modernistisch, 

2016, bronze, patina, 50x151x104cm

 

조디 커윅, Untitled, 

2021, oil, acrylic, spray paint and charcoal on canvas, 235x199.4cm

호주 작가라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03. 필립 티로 Philippe Tirault

북촌의 한옥에서 40여 년째 거주 중인 외국인 수집가 필립 티로는 한국을 진심으로 사랑하는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2주에 한
번씩 국립현대미술관을 찾는 것을 꾸준히 이어오고 있으며, 이를 자신의 주말 일과 중 가장 행복한 시간이라고 말한다. 한국에 대한
깊은 애정만큼이나, 그는 진정성 있는 한국 작품을 누구보다 아끼고 사랑하는 열정적인 수집가이다.

 

헤드헌팅 회사 대표님?

S2A 갤러리 '수집 취향의 지형도 전시회' 유일한 외국인 컬렉터

직업과 취미가 통하시는 것 같다는... 무언가 옥석을 계속 찾아야 하는...

 

작자 미상, 목조나한상, 조선 19 세기, wood, 24x21.2x41.2cm
작자 미상, 목조상, 조선, wood, 15.5x20x34.5cm
작자 미상, 금동아사여래입상, 신라, gilt bronze, 9.7x4x22.7cm

 

 

작자 미상, 목각 호상, 조선, wood, 17x14x23.3cm

요즘 최고 인기일 듯...

 

여러 가야 신라시대 토기들...

 

(전)겸재 정선, 매작도, 연도미상, 

ink and color on paper, 15.5x19cm

 

수운 유덕장, 목죽도, ink and color on paper, 31.4x63.3cm
석연 양기훈, 노안도, 1904, ink on fabric, 179x32cm(ea) 10폭

 

목죽도는 먹의 농담이 상당히 묘한 느낌을 주는

수운 유덕장이 뉘신지는 잘...

 

작자 미상, 쌍호도, 

조선, ink and color on paper, 36.5x50cm

 

04. 이준혁 Joonhyuck Lee.

디스플레이 공정과 시황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엔지니어로, 현재 엘지디스플레이 예측 AI팀 팀장으로 일하고 있다. 수집에 대한 관심이 미술 수집으로 옮아간 이후 20여 년간 예술의 세계 속을 거닐고 있다.
시간이 날 때면, 작품 감상과 리서치, 수집에 집중한다. 자신만의 수집 철학을 작품 속에 오롯이 반영한다.

 

다소 현대 실험적 작가의 작품들을 선호하시는 듯...

취향은 나랑 비슷한, 물론 나는 한 점도 없지만...

 

안지산, 마른 꽃을 꼭 쥐고서, 2024, oil on canvas, 145.5x112.1cm
안창홍, Arirang 2012’10, 2012, oil, drawing ink, mixed media on canvas, 116.4x74.5cm

 

안창홍은 한국 현대미술에서 비판적 리얼리즘과 사회참여적 예술을 대표하는 화가로, 단순히 시대를 증언하는 것을 넘어 인간 존재의 본질적 고통과 사회 구조적 문제를 예술로 드러내며 독자적 작품세계를 구축하였습니다.

 

맨디 엘-사예, Net-Grid Study (of bread and life), 2021, oil and mixed media on silkscreened linen, 150x152cm

키키 스미스, Untitled, 2000, colored pencil, ink and lithographic crayon on nepal paper, 157x163cm

 

키키 스미스는 제작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처음으로 접하고 상당히 충격받았던 작가.

 

 

키키스미스 자유 낙하 관람기 @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본관에서 다음달인 3월 12일까지 열릴 예정인 키키스미스의 국내 첫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 독인 출신으로 미국에서 활동하는 작가로 현대미술사에서 그녀만의 독특한

www.a4b4.co.kr

 

알리시아 크바데, Rocking, 2021, gold-plated steel, stone, 100x52x52cm

엘륌그린 & 드라그셋, Study for Tailbone, 2021, aluminum, lacquer, black marble, 32x20x25cm

 

엘륌그린 & 드라그셋도 작년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서 처음 만난...

 

아모레퍼시픽 미술관 전시회 '엘름그린 & 드라그셋 Space' 후기

매우 좋아하지만 자주 가지는 못하는 미술관 중 하나인 아모레퍼시픽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엘름그린 & 드라그셋' Space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 특히, 마우리치오 카텔란이나 다니엘 아삼의

www.a4b4.co.kr

05. 김남규 Nam Gyu Kim

이번 S2A 갤러리 '수집 취향의 지형도 전시회'에서 가장 많은 35점의 작품을 보여주는...

 

웹 디자인과 다수의 개인 사업을 했다. 프랑스문화원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HSBC 은행의 아트 컨설팅을 맡았다. 은퇴 후
현재 국립현대미술관 패트런 활동, 전시 감상, 작품 컬렉팅을 하며 지내고 있다고 합니다.

 

박서보, Ecriture No.980410, 

1998, mixed media with korean paper on canvas, 22.5×27cm

 

하종현, Conjunction, 1997, oil on hemp cloth, 53×46cm

이용노, 무제, 1980, ink and color on paper, 31×35cm
이성자, 무제, 1961, oil on canvas, 70×59cm

 

롤로드 비알라, Composition, 77×55cm
최병소, Life, 2012, magazine, ballpoint pen, pencil, 7.5×12cm
이우환, Dialogue(etching 1)(Ed.50), 2011, drypoint etching, 30.5×25.1cm
이우환, 무제, 2020, watercolor on paper, 14×10cm

 

김건희 뇌물건으로 더더욱 대중에게 까지 유명해진 이우환 화백의 작품

 

키시오 스가, Plural Pieces, 2004, wood, 25.5×24×10cm
최지원, I See, 2024, oil on canvas, 27.3×22cm
김진희, Slighty 2, 2024, acrylic on canvas, 18×20cm
시오타 치하루, Connection, 2019, watercolor, crayon and thread on paper, 10×15cm

반응형


로비 드위 안토노, Rumpus series 111, cast opaque white resin, 28×32×31.5cm 2021, oil stick, oil pastel, color pencil on paper, 20.5×14.5cm
박광수, Cracker, 2019, ink on paper, 18×12.5cm
니콜라스 파터, Simple Life, 2008, ink on paper, 15.4×15.4cm

 

 

지난달 가나아트센터에서 만났던 시오타 치하루 작품...

부럽다. 더구나 아래 한 점 더 있다.

 

시오타 치하루 전시회 @ 평창동 가나아트센터 주차장, 입장료, 휴무

삶과 죽음에 대한 기억과 암 투병의 과정에서 비롯된 불안과 공포를 실과 오브제를 이용해 인간의 기억과 존재를 탐구하는 설치미술가 시오타 치하루 전시회 관람후기입니다.그녀는 검은색, 붉

www.a4b4.co.kr

 

 

우고 론디노네, Seibzehnterseptemberzweitausendeinundzwanzig, 2022, watercolor on canvas, 31.9×46.8×2.7cm
파울루 몬테이로, Untitled, 2022, oil on linen, 20×16cm
김윤신, Song of My Soul 2010–274, 2010, oil on canvas, 27×35cm
전현선, Window and Painting, 2022, watercolor on canvas, 53×45.5cm

아래는 시오타 치하루, Untitled, 2011, oily stick and thread on paper, 32×24cm  

 

진 마이어슨, Allele 2, 

2022, oil on canvas, 53×45.5cm

 

한국에서 태어나 미국으로 입양 되었다가 한국에서 활동중인 화가. 역시나 강한 느낌을...

 

이외에도 S2A 갤러리 '수집 취향의 지형도 전시회' 마지막 컬렉터인 김남규님 공간에는 정말로 다양한 작가를 만나볼 수 있는

 

다니엘 아샴, Hollow Figure(Ed. 500),

2018, cast opaque white resin, 28×32×31.5cm

 

이분 수집 취향은 정말로 모르겠다. 다니엘 아삼까지...

 

다니엘 아샴 : 서울 3024 전시회 후기 - 어렵지 않지만 난해한

지난 금요일 부터 잠실 롯데뮤지엄에서 열리고 있는 전시회 '다니엘 아샴 : 서울 3024 발굴된 미리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 천년 후 서울에서 발굴하는 '상상의 고고학'을 시각적인 작품으로 표

www.a4b4.co.kr

 

야요이 쿠사마, High Heels(gold)(Ed. 30), 

2015, porcelain, (L)22.5×7.5×17cm (R)22.7×7×20cm

 

 

우고 론디노, red white silver mountain,

2022, painted stone, stainless steel, pedestal, 28×7×10cm(Sculpture) 2×18×18cm(Pedestal)

 

오른쪽 부터

안젤라 블록, 제목미상, 연도미상, 18×32×15cm
김홍석, 제목미상, 연도미상, 20×11×13.5cm
야요이 쿠사마, Pumkim(Ed. 250), 2016, hand-painted zinc alloy, 12×12cm
장-미셀 오토나엘, Mirrored glass in 3 distinct color pairings: Purple/Gold, mirrored glass, 22.1×12.2×11.4cm

 

이번 S2A 갤러리 '수집 취향의 지형도 전시회'는 8월 20일까지 전시예정입니다.

다양한 취향의 다양한 작가의 작품을 한 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다소 독특한 기

 

728x90
728x90

용인 호암미술관 방문후기입니다. 이곳은 삼성그룹 창업주 이병철의 아호를 따서 1982년 4월 22일 개관한 미술관으로 리움미술관과 함께 삼성그룹에서 운영하는 두 개의 대표적인 미술관 중 하나인데요

리움미술관은 서울 용산에 위치하고 있지만 이곳은 용인에 있어 대중교통 접근성은 좋지 않습니다. 오늘은 호암미술관 주차장 및 주차요금, 최근 오픈한 호암카페 및 볼거리 소개합니다.

 

# 호암미술관 루이스 부르주아 전시회 시작

# 호암카페 오픈

# 호암미술관 주차장은 유료 운영

# 호암미술관 아트샵 소식

 

| 호암미술관 가는길 

호암미술관은 에버랜드와 캐리비안베이가 있는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해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용인 이곳은 인간의 오감을 자극하는 모든 것이 모여있네요. 골프장까지...

아래 갈림길에서 오른쪽은 육체적 쾌락을 왼쪽은 정신적인 쾌락을 맛볼 수 있습니다.

 

대중교통으로 방문하신다면 지하철 에버라인 전대·에버랜드역 3번출구에서 도보 300m 이동 후, 주유소 로터리 '에버랜드입구' 정거장에서 셔틀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는 호암미술관을 자가용으로 방문 했습니다.

이런 가로숲길을 지나 호암미술관 주차장으로 가게 되는데요. 특히 가을에 방문하면 너무나도 이쁜...

 

호암미술관 주차장은 A B C 주차장으로 구분되어 있는데요.

가장 접근성이 좋은 주차장은 아래 지도 2번에 위치한 B 주차장입니다. 장애인과 전기차 충전소도 있지만 주차장이 협소하고 이미 오전에 빈 공간이 없어 주차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그 다음으로 접근성 좋은 주차장이 바로 호암미술관 C주차장입니다. 지도 번호 20번 주차장입니다.

호암미술관 주차장은 야외 주차장으로 날씨영향을 많이 받네요. 저는 C주차장에 주차 했습니다. 참고로 주차수용규모는 호암미술관 A주차장이 가장 크지만 거리는 가장 먼 것 같네요.

 

| 호암미술관 주차요금

어느 블로그에는 호암미술관 주차요금 무료로 나와있는데, 잘못된 정보입니다. 

무인으로 운영되며 주차요금은 30분 당 1,500원, 하루 최대 주차요금은 15,000 원입니다. 카카오 앱 자동 정산 시 30 분당 1,000 원, 일일 최대 10,000원으로 호암미술관 주차요금 할인됩니다. 두 시간 정도 주차하고 카카오T 주차패스 이용하니 4,000원 나왔네요.

728x90

| 호암카페

지난달인 8월 말 호암미술관에 카페가 새로 오픈 했습니다. 이름은 '호암카페' 호암미술관 주차장에 주차하고 미술관 건물고 가는 길가에 위치해 있는데요. 아래 사진에서 찾아보세요.

 

호암미술관 카페인 '호암 카페'는 옛 부르델 정원의 낙우송 숲길과 샌드스톤 옹벽의 풍경을 고스란히 보존하는 것에서 출발한 특별한 건축물입니다. 호암미술관이 처음 선보이는 F&B 공간인 '호암 카페'는 로컬 식재료를 활용해 호암의 유산과 이야기를 담은 미식을 제안하는데요. 분위기는 고급지지만, 역시나 가격도...

 

 

낮은 벙커같은 건물에 길고 어두운 통로를 지나 들어가게 됩니다.

건물 앞에서 카페를 찾지 못하는 노부부에게 입구 안내해 드리고...

 

다소 어두운 분위기의 입구와 많은 사람들 9월 초 까지도 날씨가 덥다 보니, 호암미술관 야외관람보다는 이곳 호암카페에 모두 모여있는 것 같습니다.

 

실내 분위기는 고급지고 여유 있는데요. 호암미술관 카페 웨이팅도 필요합니다. 입구 태블릿에서 등록해야 하는데, 앞에 3팀 웨이팅 중...

 

호암미술관 카페 메뉴 및 가격

메뉴판을 찍지는 못했네요. 토스트세트나 샐러드는 1만원 후반 부터 3만원 후반대, 식사류는 3만원 전후입니다.

아래 마들랜이나 모나카 가격은 5,000원, 지금 전시회가 열리고 있는 루이즈 브루즈아 대표작 마망 케이크 가격은 18,000원 입니다. 

 

커피 가격은 한 잔에 1만원 전후, 호암라떼는 12,000원, 에스프레소 8,000원, 카페라떼 10,000원 ㅎㅎㅎ

메가커피 먹는 저로서는 후덜덜한 가격...

아래는 매실라임모히또로 넌알콜 음료인데 가격은 12,000원 (물론 딸아이의 선택)

 

먹다가 남아서 테이크아웃해서 나왔네요.

 

루이즈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

내년인 2026년 1월 4일까지 호암미술관에서는 루이즈 부르주아 전시회 : 덧없고 영원한이 열릴 예정입니다.

 

우리에게는 마망 거미로 잘 알려있지만, 이 외에도 너무나도 매력적인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1F] 루이즈 부르주아 전시회 '덧없고 영원한' @ 호암미술관

2025년 올해 가장 기대하고 기다렸던 전시회 '루이즈 부르주아 전시회 : 덧없고 영원한' 관람후기 입니다.거대한 설치조각 마망 (거미)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 있지만, 마망이 탄생하기 까지 얼마

www.a4b4.co.kr

 

| 호암미술관 아트샵

호암미술관 본관 1층에는 아트샵이 위치해 있는데요. 기본적인 호암미술관 기념품과 현재 전시중인 루이스 부르주아 기념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전통정원 희원

호암미술관은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정원입니다. 이중에서도 미술관 앞부분 전통정원 희원이 있는데요.

매화나무 숲과 정자, 연꽃 등 다양한 볼거리와 산책공간을 제공합니다.

 

다만 저희가 방문한 날에는 날씨가 너무나 더워서 관람 포기하고 카페로...

 

오늘은 가을철 나들이와 함께 미술작품 감상하기에 너무나도 좋은 호암미술관 주차장 및 카페, 아트샵 정보 고유했네요.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