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넷 & 모바일/뉴미디어디자인 & UX42

colour contrast analyser 다운 및 사용방법,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웹 콘텐츠 접근성] 장애인 웹 접근성 관련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2.1)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명도차를 분석해주는 프로그램이 필요가장 널리 사용되는 colour contrast analyser 다운로드 및 사용 방법 안내 [colour contrast analyser 프로그램 다운로드] 2016년 9월 최신버전 2.4 다운로드 아래 주소에서 colour contrast analyser 최신 버전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https://www.paciellogroup.com/resources/contrastanalyser/ [olour contrast analyser 프로그램 설치방법] 다운받은 exe 파일을 실행하면언어 선택이 가능 설치 클릭하면 colour contrast analys.. 2016. 9. 29.
[N스크린/멀티윈도우] 스마트 TV(IPTV)와 태블릿 PC의 연동 : GOAB. A TV Experience Concept 독일의 SYZYGY LAB에서 GOAB. A.TV 관련 N스크린(멀티윈도우) 활용을 위한 컨셉 동영상지금까지 본 동영상 중에서 멀티 윈도우의 개념을 가장 잘 설명한 동영상. http://lab.syzygy.de/ IPTV(스마트 TV)와 테블릿PC(스마트폰)등의 디지털 기기가 잘 융합된 예시... 감성에 따른 콘텐츠를 선택하고 스포츠 중계를 보면서 태블릿 PC를 통해 경기 분석을 동시에...그리고 지인들과 편을 나누어 응원을... TV를 보면서 출연자의 의상에 대한 정보를 태블릿 PC를 통해 얻고, 해당 제품에 대하여 친구들과 온라인 채팅을 통해 정보를 공유하고 구매를 한다는... 등등의... PrologueFor a long time, watching television was a straightfor.. 2013. 6. 19.
멀티윈도우(N스크린)를 적용한 온라인 게임 사례 : 스마트폰과 태블릿PC를 활용한... 스크래블(Scrabble)과 폭풍맞고 멀티윈도우(N스크린)를 적용한 온라인 게임 사례 게임의 상호작용 방식을 그대로 스크린 기기에 제공해줌으로써 물리적 도구 없이 언제나 게임을 즐길 수 있게 제공하고 있다. 스크래블(Scrabble) 미국의 유명한 낱말 맞히기 게임인 ‘스크래블(Scrabble)’은 알파벳이 새겨진 타일을 보드 위(태블릿 PC)가로나 세로로 단어를 만들어 내면 점수를 얻게 되는 방식의 보드 게임. 2명~4명이 진행하며, 플레이어는 랙에 타일을 올려놓고 게임을 진행한다. 이때 아이패드를 보드로 사용하고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아이폰을 랙으로 사용하게 된다. 폭풍맞고 국내에서는 ‘폭풍맞고’ 게임이 미국의 낱말 맞히기 게임과 유사하게 태블릿PC가 보드가 되고 각각의 스마트폰에 보인의 패를 가지고 있다가, 스마트폰을 던지는 행위를 하.. 2013. 6. 18.
영화 마이너리티리포트 (Minority Report, 2002) 전자종이 신문 예시 영화 마이너리티리포트 (Minority Report, 2002) 에서 주인공이 도주하는 장면에서 지하철 승객이 보고 있는 전자신문에서 긴급 수배 속보가 나오는 장면... 2013. 6. 17.
멀티스크린 환경에 관한 설문조사 멀티스크린 환경에 관한 설문조사 안녕하십니까? 본 설문조사는 다양한 스크린 제품을 사용하여 경험하는 멀티스크린 환경에 사용자가 필요한 속성을 찾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설문은 대략 10~15분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각 문항에 대한 정답은 없습니다. 멀티스크린을 경험하시면서 느끼신 생각을 바탕으로 응답해 주시면 됩니다. 본 조사는 통계법 제33조(비밀보호) ‘통계의 작성을 위하여 수집된 개인이나 법인 또는 단체 등의 비밀에 속하는 사항은 보호되어야 하며 통계의 작성을 위하여 수집된 개인이나 법인 또는 단체 등의 비밀에 속하는 자료는 통계작성 외의 목적으로 사용되어서는 안 된다(개정법률 제8541호)’에 의거하여 설문조사의 내용은 연구자료로만 사용될 것을 약속 드립니다. 2013년 3월 홍익대학교 영상.. 2013. 3. 20.
갈 곳 없는 어이없는 메일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11. 12.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