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서울 강남구 삼성동 포스코미술관 전시회인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관람후기 입니다.

오랜만에 조선시대 고미술품을 만날 수 있는 전시회라고 생각했는데, 아픔이 있는 전시회였네요.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전시회 전시기간, 도슨트, 포스코미술관 주차정보 공유합니다.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전시회 정보

전시시간 : 2025년 08월 19일 ~ 2025년 11월 09일

관람시간 : 월수목금 10:00-18:00, 화 10:00-20:00, 토일 11:00-16:00

                특히 직장인을 위해 매주 화요일은 저녁 8시까지 운영하는 정책이 너무나 좋습니다. 주중에 정시퇴근하고 감상하기...

관람료 : 무료

주차요금 : 주차지원 없으며, 포스코센터 주차장 이용시 10분에 1,000원 

 

| ‘유현재선 한국고서화도록(幽玄齋選 韓國古書畵圖錄)’은 

일본 교토에서 ‘이조당(李朝堂)’이라는 고미술점을 운영한 일본의 대표적인 한국 고서화 컬렉터 이리에 다케오(入江毅夫)가 1996년 자신의 당호인 ‘유현재(幽玄齋)’를 내세워 발간한 도록으로, 이 책에는 그의 수집품 중에서 한국 및 중국의 고미술품 총 740여 점이 수록되어 있으며, 이 중 550여 점이 고려 말기부터 조선 말기에 이르는 한국 고서화와 서예, 탁본, 민화, 불화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현재 컬렉션은 1997년 재일교포 기업인 나카무라(한국명 진창식)에게로 상당수가 매입된 뒤, 최근 나카무라의 사망 등 계기를 거쳐 2025년에는 한국 관련 소장품의 절반 이상이 다시 국내로 환수되어 포스코미술관, 국공립박물관, 민간경매를 통해 한국 사회에 재공개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포스코미술관 전시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는 유현재 컬렉션 50여 점을 일반인들에게 처음으로 공개한다. 조선초기부터 근대기까지의 산수화, 인물풍속화, 화조화훼영모화와 함께 기록화와 궁중회화, 서예까지 한 자리에서 다채롭게 살펴볼 수 있는 기회입니다. 

 

조선시대 서화와 불화 51점이 전시되고 있으며, 우리에게도 너무나 잘 알려진 한석봉, 연담 김명국, 궤은 이기룡(1600-?), 연담 김명국(1600-1662 이후), 설봉 김의신(1603-1663 이후), 단원 김홍도(1745-?), 혜산 유숙(1827-1873) 등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관람 시간은 1시간 내외...

 

서책의 경우 책의 주요페이지가 스캔되어 부착되어 있어 작품에 대한 조금 더 깊은 이해의 기회가 되었네요.

 

석봉첩 2책 · 石峯帖二冊

석봉 한호 · 石峯 韓濩 (1543-1605)
16세기, 종이에 먹, 첩 34×26cm, 글씨 28.5×20cm

석봉 한호는 조선 중기의 서예가이자 문신으로, 해서·행서·초서 등 모든 서체에 뛰어났던 당대의 명필이다. 사자관(寫字官)에 발탁되어 국왕의 글씨와 외교문서를 옮겨쓰는 일을 맡았으며, 통신사 일행으로도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필력이 강하고 세련된 것이 특징이며, 조선 서풍의 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달마도 · 達磨圖

연담 김명국 · 蓮潭 金明國 (1600-1662 이후)
17세기, 종이에 수묵, 90.4×47cm

우리가 아는 그 달마의 달마도 입니다. 김명국이 조선 통신사의 수행화원이라는 것을 처음 알았네요,


김명국은 1636년과 1643년, 조선 통신사의 수행화원으로 일본에 파견되었으며, 독창적인 화풍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불교 선종의 창시자 달마대사를 그린 것으로 부리부리한 눈, 매부리코, 길게 뻗은 눈썹, 풍성한 수염 등은 달마의 강한 개성을 드러내며, 대담한 필치와 여백의 조화는 달마의 정신세계까지 담아낸다.
'취옹(醉翁)'이라는 서명은 술을 즐기며 그림을 그렸다는 일화를 떠올리게 하며, 그의 자유로운 예술 정신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문관초상·文官肖像

청대 17세기, 비단에 수묵채색, 170×85cm

 

개인적으로 조선미술에서 인물화 초상화를 좋아하는데요. 이번 포스코미술관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전시회에도 무명의 문관초상을 만나볼 수 있었네요


적색 단령에 봉황이 그려진 금색 흉배를 부착한 전형적인 명대 문인 초상화 형식이다.
그러나 조선 관료들이 착용하던 사모를 쓰고 있는 점으로 보아, 연행사로 중국에 갔던 조선 관료를 중국 화가가 그린 것으로 추정된다. 집의식 교의자와 함께 바닥에 화려한 문양의 깔개를 그렸다. 인물 뒤편에는 진귀한 공예품들이 놓인 탁자가 배경으로 등장하는데, 이는 중국 초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구성이다.

 

작품 규모에 비해 전시장이 다소 좁고 동선이 깔금하지는 못했는데요. 

그래도 관람객이 아주 많지는 않아서 큰 불편없이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습니다.

 

아미타여래회도·阿彌陀如來會圖

18세기 추정, 비단에 채색, 109.6×93.4cm

 

이 외에도 몇 점의 조선시대 불화를 이번 포스코미술관 전시회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조선 18세기 경에 제작된 것으로 생각되는 아미타여래회도이다.
중앙 결가부좌하여 설법인을 취한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4위의 보살이 배치되었다.
좌측 상단에는 지장보살이 배치되어 있으며 이외 3위의 보살의 명칭은 명확히 알 수는 없으나
아미타 팔대보살에 나타나는 관음보살, 대세지보살

728x90

 

 

화조도 8점·花鳥圖八點

석연 양기훈·石然 楊基薰 (1843-?)
19세기, 주색비단에 금니, 각 142.2×31.5cm

 

상당히 강한 느낌의 화조도...

 

석연(石然) 양기훈(楊基薰)은 조선 후기 평양에서 주로 활동한 화가로, 도화서 화원 출신이며 감찰 벼슬을 지냈다. 1883년 전권대신 민영익을 따라 미국을 유람하며 『미국풍속화첩』을 그렸고, 노안도(蘆雁圖)와 묵매, 묵란 등 화목에 특히 뛰어났다. 그의 화풍은 강한 장식성과 형식적인 필치가 특징이며, 대표작으로 창덕궁 소장 『일출도』, 『매화도』, 『매죽도』 등이 있다.

 

평생도 6폭병풍·平生圖六幅屛風

단원 김홍도 · 檀園 金弘道 (1745-?)
18-19세기, 종이에 수묵채색, 각 152×49cm

 

우리에게 잘 알려진 단원 김홍도의 8폭 병품 작품...

너무나 빛바랜 것이 아쉬운데, 이번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전시회 작품 상당수의 보관상태가 좋지 못한 것 같아 안타까운...


개인이 일생 동안 맞이할 수 있는 중요한 순간들을 묘사하고 있는 평생도 병풍이다.
조선시대 대표 화가 김홍도가 그린 것으로 원래 8폭으로 제작되었으나 현재 6폭만 남아 있다.
첫 번째 폭의 돌잔치를 시작으로 혼례, 관직 생활, 혼인 60주년을 기념하는 회혼례 등의 장면으로 이어진다. 단순히 개인의 일대기를 넘어서 조선시대 이상적인 삶의 모습과 성공의 기준을 담고 있다. 조선시대 사회상과 일상생활까지 엿볼 수 있다.

 

첫 병풍 상단은 돌잡이, 아래는 결혼식 장면...

 

영의정의 퇴근길로 종각이라고 한다. 난전과 피맛골... 당시 맛집에 줄 선 모습도 보인다.

 

당시 조선인들의 생로병사, 탄생부터 사망까지 모두가 바라는 이상향을 의미한다고 한다.

 

요즘 난리도 아닌 k팝 데몬 헌터스 공간? 호랭이들 모여 있는곳...

 

용호도 대련·龍虎圖對聯

19세기, 종이에 수묵, 각 134×89cm


호랑이와 용이 한 쌍으로 등장한다. 호랑이는 등과 다리에 이르기까지 풍성한 털 묘사와 발톱이 묘사되어 존재감을 드러낸다. 눈은 크고 둥글며 전방을 응시하고 있어 경계심과 위압감을 함께 나타낸다. 화면 상단에는 소나무가 자리한다.
용은 흩흩한 운무 속에 몸을 거의 드러내지 않고 눈, 수염, 뿔의 강조를 통해 상징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용의 수염과 구름이 곡선적으로 흐르며 화면 전반을 감싸듯 퍼져 있어, 화면에 강한 운동감을 불어넣는다.

 

 

 

송하호도, 해암응일도·松下虎圖, 海巖鷹日圖

긍재 김득신·兢齋 金得臣 (1754-1822)
비단에 수묵채색, 각 115×49cm

 

긍재 김득신(1754~1822)은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도화서 화원으로, 영조, 정조, 순조 시대에 활약했다. 그는 개성 김씨 명문 화가 가문 출신으로 44년 이상 국왕을 위해 봉직하며 다양한 화목에서 뛰어난 기량을 발휘했다. 김홍도의 영향을 받았으나 풍속화뿐만 아니라 산수화, 인물화, 영모화 등 거의 모든 장르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규장각 초대 자비대령화원으로서 정조의 어진을 그리는 등 주요한 화사 업무를 수행하였으며, 풍속화첩과 고사도 등 개인 작품도 남겼다.

 

요즘 조선회화 또한 호랭이가 대세!!!

 

이곳은 조금 독특한 공간...

 

 

금강산중고찰도팔경·金剛山中古刹圖八景

목판본, 첩 67.5×43cm, 그림 61.5×37cm

 

화첩의 표제는 금강산의 고찰 그림 팔경[金剛山中古刹圖八景]이라 되어 있으나,
내용을 보면 중국 명산과 고찰을 그린 판화로 장첩되어 있다.

 

 

시고·詩稿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1786-1856)

19세기, 종이에 먹, 첩 32×21cm, 글씨 25.4×16.5cm

추사 김정희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대표적인 서예가이다. 유배살이 때 그는 동생인 김명희, 김상희와 서신을 주고받으며 교류하였다. 이 글씨는 동생인 김상희에게 준 것으로 보인다. 역시 글씨가 참 독특하더이다. 서알못이 보기에도...

 

미인도·美人圖

이당 김은호·以堂 金殷鎬 (1892-1979)
20세기, 비단에 채색, 136.5×50cm


이당 김은호(1892-1979)는 조선 왕실의 어진(임금 초상화)을 그린 마지막 화가이며, 20세기 한국 인물화의 거장으로 정확한 관찰력과 정교한 묘사를 통해 조선 양식의 중요한 인물들의 초상과 여인을 주제로 하는 미인도 등을 많이 남겼다. 이 작품은 벗드나무를 짚고 미소를 지은 여인의 진심상을 그린 것이다.
전통적인 미인도와는 다른 서양화법으로 해석한 다소 낮선 분위기 안에서 필치의 섬세함과 사실감이 돋보인다.

 

춘경산수도 春景山水圖

청전 이상범 · 靑田 李象範 (1897-1972)
1967, 종이에 수묵채색, 122.5×29.7cm

 

청전 이상범(1897-1972)은 전통 산수화에 서양 풍경화 기법을 더해 ‘청전양식’이라는 독창적인 화풍을 완성한 한국 근대 산수의 거장으로, 온화하고 서정적인 풍경을 그려내며 한국적인 자연미를 대표한 화가이다.

 

추사의 다른 글씨와 불화 두 점

반응형

 

시고 대련·詩稿對聯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1786-1856)
19세기, 분당지에 먹, 각 119×29cm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포스코미술관 전시회 추사의 다른 글씨와도 전혀 다르더이다.

 

설법도·說法圖

19세기, 종이에 채색, 107×137cm

석가여래의 설법 장면을 담은 불화로, 화면 중앙에는 설법하는 여래가 자리하고 있다.
그 좌우에는 제자인 아난과 가섭이 있으며, 주변에 8위의 보살과 4위의 사천왕이 함께 그려져 있으며, 사찰 법당의 불단 뒤쪽 벽에 배치되는 후불화(後佛畫)로 보이며, 짙은 청색의 코발트 안료가 사용된 것으로 보아 19세기 말에 그려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영남명승 35경도첩·嶺南名勝三十五景圖帖

1757-1767년 추정, 종이에 수묵채색, 각 38.5×45.5cm

영남지방의 아름다운 명소를 지도 형태의 진경산수화풍으로 표현한 35점의 그림이다.
이 35곳을 경상남북도 지도에 표시하면 그 유람 여정이 대강 3곳의 길로 나타난다.

 

 

진품이라고 보기에는 다소 허술한 전시, 가품이라고 보기에 또 이상한...

그래도 상당히 매력적인 작품들...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포스코미술관 아트샵은 없지만 엽서는 판매중 (가격 2,000원)

 

이번 삼성동 포스코미술관 전시회 The Hidden Chapter - 오백 년 만에 돌아온 조선서화 특별전은 11월 9일까지 전시에정입니다.

728x90
728x90

서양화가 하태임 작가의 전시회가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미술관에서 '강박적 아름다움에 관하여' 라는 제목으로 열리고 있습니다. 저는 작년말 롯데월드몰에 있는 에비뉴엘아트홀에서 작가의 작품을 처음 만나게 되었는데요. 상당히 독특한 스타일로 깊은 인상을 받았던 작가입니다.

 

당시에는 공동전시회로 하태임 작가의 작품을 많이 만나보지는 못했는데요. 이번 개인전을 통해 색다른 전시 분위기에서 초기 작품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작품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롯데갤러리 아트홀 (잠실 에비뉴엘) 전시회 : 최태훈, 하태임, 박선기

최근 몇 달 개인적인 일도 있었고, 바뻤고, 몸도 아펐고.. 골절에 독감까지... 정말로 오랜만에 미술 전시회 방문합니다. Santé! Cin Cin! Cheers! (건배 전시회) 전시장소 : 롯데갤러리 잠실 (잠실 에비

www.a4b4.co.kr

 

| 포스코 미술관

이번 하태임 작가 전시회 '강박적 아름다움에 관하여'는 테해란로 대치동  포스코빌딩에 위치한 포스코 미술관에서 12월 8일까지 열릴예정입니다. 

휴관없이 운영되며 평일에는 저녁 6시까지, 주말에는 오후 4시까지 운영되는데요. 매력적인 부분은 매주 화요일은 저녁 8시까지 전시회를 관람할 수 있습니다. 주변 직장인들은 평일 퇴근 후 여유있게 작품 감상이 가능하다는...

 

위치는 포스코빌딩 지하 1층입니다. 아래 약도에서 E구역으로 방문하시면 됩니다.

입장료는 무료이며, 별도 주차지원은 없습니다. 자차 방문시 포스코빌딩 지하 주차장 이용하시고 주차요금 지불하셔야 합니다만, 같은 층에 있는 종로서적에서 책을 구매하면 포스코미술관 무료주차 가능합니다.

 

 

전시장 분위기는 상당히 어두운데요.

처음에는 플렉스 간판처럼 필름에 출력하고 뒤에서 조명을 비추는 복제품이 전시된 줄 알았습니다. 어운 실내에서 조명을 받으니 작품에서 형광빛이 나는 느낌이 드네요.

 

색의 현현(R)에 대한 많은 예술가들의 시도는 색을 드러내는 물질적인 과정에서부터 심리적인 표정과 맞닿는다. 같은 맥락에서 색의 형태이자 표현의 기호로 드러나는 예술가 하태임의 '색띠(colorband)' 추상 작업은 색에 관한 일련의 미술사적 전거를 환기시킬 뿐 아니라 '강박적 아름다움(compulsive beauty)'에의 심리적 욕망과 거세를 떠올리게 한다.
언뜻 보면 '색는 '강박적 아름다움'이라는 미적이고도 심리적인 복잡성과 거리가 멀어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작가는 왜 이렇게 아름답고 쾌적한 색채의 심상을 계속 만들어내는가?"라는 질문을 갖게 되면서 :유쾌하지만 절제를 통한 미적 추상'으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절적으로 읽는 기회가 생겼다.

 

728x90


"밝고, 쾌적하고, 간결하고, 분명하고, 반복적이나 리드미컬한' 이미지의 작업에서 색의 다양성이 가져다주는 '화사함', 일련의 톤을 지켜내는 '투명성' 한 띠가 다른 띠와 겹쳐도 그 형태가 지켜지는 '완결성' 등으로 하여 화면은 언제나 시각적 유쾌함으로 항상성을 유지하고 있다. 한 올도 벗어나지 않게 붓질을 해냄으로써 얻어지는 이 같은 단야한 '색띠'는 숭고하리만큼 고통과 쾌가 공존하는 정신적 긴장과 물질적 수행의 결과로서 기인하는 것이리라 작가에게 색은 형태이자 언어로서 초기 작업에서부터 최근 '색띠' 작업에 이르기까지 조형적 질서와 심리적 표상의 균형을 끊임없이 갈구하는 실체이다.
이처럼 비정형적 색채 표현에서나, '색띠'에서나 일종의 강박에 가까운 조형적 균형과 심미적 쾌에의 욕망이 또아리를 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작가의 유전자에서부터 삶의 태도에 이르기까지 '고요한 긴장과 역동의 비계'가 수행됨으로써 가능한 것일지도 모른다.

 

박남희 '하태임의 '강박적 아름다움'에 관하여' 글 발췌

 

| 전시회 시작은 작가의 초기 작품들로...

Sans Titre

 

이번 포스코미술관에서열리고 있는 '하태임, 강박적 아름다움에 관하여'는 작가의 대표작품인 컬러밴드 연작 이외에도 작가의 초기작품들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Sans Titre (무제)

작가분이 73년 2월 생이니 91학번 이실 것 같은데, 이 작품들은 대학시절 또는 초기 작품으로 생각됩니다. 지금의 작품과는 전혀 다른...

 

아래 작품은 하태임 작가의 자화상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다음 공간으로...

 

문자나 언어는 지식 전달이 가장 큰 도구지만
진정한 소통의 단계에서 볼 때 아무 의미가 없다.
나는 파리에서 작업할 때 한글이나 알파벳을 화면에
투영시킨 작업을 한 다음 그것들을 지웠던 건 그 때문이다.
문자를 그리고 지우는 행위를 하는 붓 터치가 정리되면서
컬러밴드가 나오기 시작했고
귀국해서는 소통의 전달보다는 내면의 풍경을 그리기 시작했다."

작가 인터뷰 중에서

 

 

Une Impression

작품의 제목을 확인하고 다시 작품을 보니, 사람 얼굴 같기도 하고...

 

 

Une Porte

 

다음 공간 부터는 작가의 유명한 대표연작인 컬러밴드 연작을 만나볼 수 있는데.

 

 

Un Passage

2000년대 초 하태임 작가의 컬러밴드 작품들에는 여백이 보이지 않네요.

 

아래 두 작품은 느낌 참 좋았다는, 사진에서 작품의 느낌이 잘 나오지 않았네요.

 

"나의 작업의 주인공은 컬러밴드이다

컬러밴드는 각각의 캔버스 위에서 마치 옥색 대양을 유영하는 돌고래처럼

혹은 넘실대는 파고가 춤을 추듯 펼쳐진다.
반곡면의 컬러밴드들은 방향성과 수많은 차이를 수반하고
각각의 색들로 물들여져 삭막한 공간에 파동과 리듬감을 부여한다
컬러밴드와 같은 제한적으로 단순 명시적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회화적 역동성과 리듬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컬러밴드가 갖는 만곡 패턴의 비선형적 구성을 통해서이다

컬러밴드란 임의의 크기를 갖는 시각적 매스로 색면을 쪼갬으로써 얻을 수 있다."

작가노트 그리고 인스타에 올라온 작가의 작업실...

 

2000년대 초기 비교적 초기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 공간

작가의 컬러밴드 연작 또한 시기에 따라 많은 변화가 보입니다.

포스코 미술관이 이렇게 넓었나요? 생각보다 많은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번 하태임 작가 전시회 '강박적 아름다움에 관하여' 관람을 위해서는 최소한 한 시간 이상의 시간은 고려해 주세요,

 

반응형

 

 

컬러밴드에 은색과 금색이 사용되기 시작 하는데요.

 

포스코 미술관 해당공간 부터는 최근 작품들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예전 하태임 작가 작품 보다는 더욱 간결해지고 여백의 공간이 잘 고려되고 있네요.

 

 

Un Passage No. 연작들...

 

저의 기억에 남아있는 하태임 작가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고요.

 

포스코미술관 다음 공간부터는 좀 더 실험적인 하태임 작가의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곡선의 컬러밴드와 직선, 저는 그렇게 좋게 느껴지지는 않는 작품...

 

 

다소 독특한 느낌의 컬러밴드 작품입니다.

하태임 작가님의 인스타그램을 보니 회전 이젤을 제작하셔서 작업 하셨다고 하네요.

 

 

 

전시장 뒤로 갈수록 더 단순해지고 과감한작품들이 보이네요.

 

노란색과 무채색 중심으로 심플한 작품들...

개인적으로는 아래 두 작품 좋았다는...

 

 

해당 연작은 정말로 금색을 사용 하셨네요.

 

금색 안료를 사용하신 것인지 금박을 입히신 것인지는...

 

하태임 작가 전시회 '강박적 아름다움에 관하여'가 열리고 있는 포스코미술관 마지막 공간입니다.

바로 정면에 보이는 작품이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마음에 들었던 하태임 작가의 작품입니다.

 

반응형

Un Passage No.211064

이번 포스코미술관 하태임 전시회에서 가장 매력적이었던 작품...

만약 작품 한 점을 가질 수 있다면 이 작품을 선택 하겠어요.

 

 

sans Titre

전시회의 시작이라고 해야할지 마지막이라고 해야할지...

전시장 밖을 나와보니 마지막으로 이 작품을 만나게 되었네요. 초창기 작품인데. 잘 모르겠다.

 

컬러밴드 하태임 작가의 다른 작품들과 이야기는 작가 인스타그램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instagram.com/hataeim/

 

[번외편] 정말로 오랜만에 방문한 포스코 센터

십수년전 직장이 포스코센터 건너편에 있어서 정말 자주 가봤던 곳인데요. 

정말 얼마만에 방문한 것인지 모르겠네요.

 

올해 4월에 사망한 프랭크스텔라의 '꽃이 피는 구조물'

해당 작품은 여러 비행기 잔해로 제작되었다고 하는데요. 당시 예술작품 보다는 위험한 흉물로 인식되어 철거 논란까지 일었던 작품입니다.

 

이번에 다시 봐도 적응하기 힘든...

그렇다고 철거는 반대!

 

 

백남준 작가의 작품은 오늘도 침묵을 지키고 있습니다.

 

 

포스코타워 지하 1층부터 1층까지 관통한 대형 수족관

포스코사거리 근처에서 근무하던 실절에 이 수족관이 생겼는데, 당시 정말로 대단한 볼거리 였다는...

 

아마도 당시 살고있던 친구들은 지금 이곳에는 없겠죠?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