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용자 삽입 이미지



‘KISDI 메가트렌드 연구발표회’ 10월 16일 성황리 개최 (
☞ 발표자료 다운로드)

“똑똑한 소수가 주인공인 네트워크 사회로 간다”

.............................................................................
‘동질적 다수가 주도하던 대중사회의 종언’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원장 석호익)은 16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메가트렌드 연구발표회를 개최했다. 이 행사는 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미래주간’의 2일차 행사로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지난 4년 간 수행해 온 21세기 한국 메가트렌드 연구와 IT기반 한국사회 패러다임 변화 연구의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였다.

‘소수자의 부상과 다양성에 기초한 사회통합’이라는 주제로 메가트렌드 연구발표회가 16일 서울프라자호텔에서 성황리에 개최됐다.

‘소수자의 부상과 다양성에 기초한 사회통합’이라는 주제 아래 열린 올해의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과거에는 흩어져 있던 정치적, 문화적, 사회적 소수집단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새로운 세력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들이 전문가의 권력을 해체하고 새로운 문화와 지식의 생산자로 떠오르는 현상에 주목하였다. 또한 이처럼 다양한 소수자가 저마다의 목소리를 내는 현상이 어떻게 우리 사회의 경쟁력 제고와 연결될 수 있으며 미래의 사회통합은 어떤 모습이 될지에 관해서도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이번 발표회에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최항섭 연구위원은 지식에 있어서도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음을 지적했다. 포털 사이트에서 지식 검색이 활성화되면서 기존의 지식 위계질서에서는 지식으로 인정받지도 못했던 소소한 정보들이 ‘부드러운 지식’, ‘작은 지식’의 형태로 업무나 여가활동 등의 영역에 서서히 침투하기 시작한 현상을 포착해낸 것이다.

발표회의 마지막을 장식한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손상영 정보화그룹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신자유주의적 무한경쟁의 한계를 극복하고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방안으로 ‘디지털 생태계 이론’을 소개했다. 또한 유럽의 디지털 비즈니스 에코시스템(Digital Business Ecosystem)과 같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해서는 IT 산업 중심의 디지털 컨버전스 달성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또한 각 영역별 발표 후 이어지는 집담회에서는 “네트워크 사회 속의 권력이동: 다양한 소수의 공생” 이라는 주제 하에 언론·사회·경제·문화·정책 영역별로 각 부문에서 발견되고 있는 소수의 세력화와 권력이동 현상에 대한 현장전문가와 정책전문가의 토론이 진행됐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이호영 박사는 “네트워크화된 관객: 수용자가 주도하는 문화시장” 발표를 통해 관객의 네트워크화가 전체적으로 문화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문화생산자들에게도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특히 인터넷 도입 이전에 권력을 누렸던 전문가, 평론가, 감정가 집단의 권위 실추에 주목하면서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고 공유하며, 입소문을 통해 흥행의 흐름을 좌우하기도 하는 무서운 관객들에 주목했다.

이번 발표회는 기존의 사회 시스템에서는 ‘기타’로 분류되어 주목되지 못하던 소수의 존재가 네트워크의 틈새를 통해 어떻게 전체 시스템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는가를 다룸으로써 소수자의 존재 의미를 적극적으로 부각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대중사회의 사회통합이 사회구성원의 동질성과 일사불란함에 기초했다면 미래의 네트워크 사회에서는 개성과 다양성에 기초한 사회통합이 필요하다는 지적은 새 정부의 국정과제와 사회정책 수립에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발표자료 다운로드)

문의 : 미래전략연구실 사무국: 02-570-4104~5

첨부 1. 메가트렌드 연구발표회 일정 1부
2. 주요 발표내용(요약본) 1부. 끝.


728x90
728x90

일본 IT 산업: 통신 시장을 중심으로, 2007.10.01, 31p.
2007-10-16 / 정보통신정책 제19권18호 통권425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유선 통신 가입자 수는 2006년 기준으로 약 5천만 명에 이른다. 이는 전년대비 2.0% 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현재 일본의 유선 통신 가입률은 점차 하락하는 추세이다. 지배적 통신사는 NTT이며, 국내 전화는 NTT의 자회사들과 Japan Telecom IDC와 KDDI가, 국제 전화는 NTT와 KDDI, Japan Telecom IDC가 주요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다.
최근에는 IP 전화의 보급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총무성은 2006년 말을 기준으로 IP 전화 가입률이 5.8% 증가하여 1,300만 명 이상이 IP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그리고 얼마 전 일본의 한 IT 전문 사이트에서 실시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유선 통신의 서비스 현황’에 대한 조사에 의하면 NTT가 여전히 압도적인 가입률을 보이고 있지만, ISP의 IP 전화가 기존의 KDDI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음을 알 수 있다.

[정보통신정책 제19권18호 통권425호] 일본 IT 산업: 통신 시장을 중심으로, 2007.10.01, 30p.에서 인용

728x90
728x90
주로 즐겨찾는 이통통신 및 IT 관련 사이트 모음입니다.
좋은 사이트나 변경된 사이트가 있으면 댓글로 꼭 남겨 주세요 ^.^
사이트명을 클릭하시면 해당 사이트로 이동합니다.



관련기관/통계/백서

* 이즈이즈(IsIs)
*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KIPA)

* 정보통신부(MIC)

KRNIC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통계 및 정보 시스템
정보통신정책정보 제공
IT 관련 주요 정보 및 백서 제공

한국인터넷기업협회 | 통신사업자연합회(KTOA)
한국인터넷진흥원(NIDA)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DSI) | 정보통신연구진흥원 (iita)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 통신위원회

무선인터넷표준화포럼(KWISF) | 인터넷식별자포럼(URI)
한국차세대통합네트워크 포럼 | IPv6 Forum Korea
WINC | e-번호(E-NUM)




리서치/뉴스
* 로아그룹
* 애틀러스리서치그룹
* IDC Korea
* 모바일인포

* K-모바일
* 아이뉴스24
* 전자신문
* 디지털타임스

한/중/일 이동통신 리서치 및 컨설팅
정보통신, 방송 분야의 리서치 및 컨설팅
Global 정보기술분야 시장조사분석
와이즈인포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리포트 및 뉴스

국내 주요언론사의 모바일 뉴스를 종합적으로 제공
국내 유일의 온라인 이동통신 및 IT 뉴스
국내 최대/최고의 IT 전문지
석간 IT 전문지



교육/취업
* K-Mobile 아카데미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 모바일랩 정보교육원

* 와이어리스잡
* 모바일잡

K-Mobile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전문 교육기관
모바일을 포함한 콘텐츠 전반의 온라인 교육 및 정보제공
모바일 프로그래밍 중심의 교육기관

와이즈인포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구인구직
K-Mobile에서 운영하는 모바일 구인구직


이동통신사
* SK Telecom
   - SKT-IR
   - Brand Site Map
망개방센터 | OK-Nate | UA Profile | WIPI 지원 | Biz SMS

와이더덴닷컴(MCP) | 에어크로스(AD) | 이노에이스(DMB)
TU미디어(DMB) | 더컨텐츠컴퍼니(DTV-WTC 합병)

SK텔레텍(단말) | SK커뮤니케이션즈(포털) | SK C&C(SI) | SK텔링크(국제전화) | 아이윙즈(CRM) | 인포섹(보안) |
텔코웨어(모바일 솔루선) | 엔시테크놀로지(기지국 운용)

* KTF
   - KTF-IR
   - Brand Site Map
신사업제안/망개방 | K-HUB | Conte | CASS(통합관리) |
통합통계 | IDR
멀티팩 지원 | KUN 지원 | WIPI 지원
JUST KTF | mhows(AD)

* LG Telecom
   - LGT-IR

신사업제안 | CP지원(어헤드모바일) | MCC
WIPI 지원 | JAVA 지원

* 기타 잼난것 안티 SK텔레콤 | 안티 KTF | 전국 이동통신경영자연합회


포털모바일/커뮤니티/포럼

* 포털사 모바일



* 리뷰&커뮤니티
야후! 모바일 | 다음 폰세상 | 네이버 폰클럽 | 파란 모바일 네이트 폰꾸미기 | 엠파스 모바일 | 세이클럽 모바일 |
MSN 모바일 | 온세통신 쏘원

세티즌 | 엠포탈 | 뭉클 | 이게모게 | 오픈모바일 | 모비안
DMB user | 모바일리뷰(E) | 엠플럭(폐쇄)


* 포럼/기타

WIPI Forum | 퀄컴 BREW KOR | KT 정보통신 웹진
한국모바일게임협회(KMGA)

* 해외

UMTS Forum



단말 제조사

* 국내







* 해외
애니콜랜드 | LG 싸이언 | SK 텔레텍 | KTF 테크놀로지스
팬택&큐리텔 | VK | 벨웨이브 | 이노스트림 | 텔슨전자 |
세원텔레콤 | 그로웰텔레콤 | 기가텔레콤 | 어필텔레콤 |
맥슨텔레콤 | 와이드텔레콤

산요 코리아 | 노키아 코리아 | 모토로라 코리아


삼성 Fun클럽 | WOW LG

노키아(nokia) | 엔게이지(n-gage) | 모토로라(motorola) |
소니에릭슨(sony-ericsson) | 알카텔(my-onetouch)
씨멘스(siemens)

산요 [keitai] [Global] | 교세라(Kyocera) | 샤프(Sharp) | NEC [WaiWai] [NECDM] | 카시오(Casio) | 도시바(toshiba) | 파나소닉 [panasonic] [Global]

TCL 모바일 | 닝보버드(NINGBO BIRD) | 콘카 (konka) |
소텍(soutec) | 디비텔(dbtel) | 아모이소닉(Amoisonic) |
이스트컴(eastcom)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