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지난  포스팅에서 소개한 '피에르 위그 : 리미널' 전시회에 이어서 오늘은 리움미술관 M2에서 열리고 있는 리움 현대미술 소장품전 소개입니다.

 

| 리움 현대미술품 소장품전

이번 전시회는 삼성문화재단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리움미술관의 현대미술 컬렉션을 풍성하게 살펴보는 현대미술 소장품전으로 한국 근현대미술부터 아시아와 서구 현대미술까지 국제 미술의 흐름을 아울러 온 리움의 현대미술 소장품을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는 기회라고 합니다.
리움의 대표 소장품과 최근 소장 작품 등 총 44점을 대거 선보이며 처음으로 전시에 출품되는 최초 공개 소장품 총 27점 포함 동시대적 관점에서 리움의 컬렉션을 재구성하여 현대미술의 흐름을 새롭게 바라보는 좋은 기회가 될것입니다.

 

| 리움 현대미술관 소장품전 티켓팅 및 가격

리움 현대미술 소장품전 입장료는 12,000원 입니다. 또한 현재 M3에서 열리고 있는 피에르 위그 개인전 '리미널'의 경우 입장요금이 16,000원 인데요. 두 전시회를 모두 볼 수 있는 통합권이 20,000원 입니다.

다만 통합권의 경우 주말에는 온라인예약이 마감될 정도로 인기가 높으니 사전 예약하시고 방문해 주세요.  또한 두 전시회 모두 감상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 오디오 가이드

이번 현대미술 소장품전 도슨트는 없으며, 아래와 같이 오디오가이드가 무료로 대여됩니다. 신분증 지참하시고 방문하시고요. 아래와 같이 갤럭시스마트폰에 골전도 이어폰이 제공됩니다. 작품 앞에서면 자동으로 작품해설이 나오는데요. 조금만 사용방법에 익숙해지시면 큰 어려움없이 사용이 가능합니다.


| 리움 M2 1~2층

이번 리움 전시회는 연대기별, 주제별 구성이 아닌 작품을 자유롭게 배치하여 작품 간의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고 다층적인 예술적 경험을 유도한다고 합니다. 전시장인 M2 공간 구조에 변형을 주는 건축적 변화를 통해 작품을 새롭게 경험하고 공간을 재인식하는 특별한 시각적 경험을 누릴 수  있습니다.


전시회 소개 잠깐 보세요.

 

전시장에 입장하고 바로 왼쪽에서 저를 오라고 합니다. 아마도 이번 리움 미술관 전시회의 가장 대표작품이 아닐까 생각하는데요.

| 오귀스트 로댕의 〈칼레의 시민〉

제작 연도: 1884~1889년 / 소재: 청동(Bronze) / 크기: 약 2미터 높이의 군상 조각

 

이 작품은 백년전쟁(1337~1453) 중 영국군에 항복한 프랑스 칼레(Calais) 시민들의 희생을 표현한 로댕의 대표 작품인데요. 1347년, 백년전쟁 당시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3세가 칼레를 포위 공격했습니다. 결국 칼레는 함락 위기에 처했고, 영국 왕은 도시를 구하고 싶다면 여섯 명의 시민이 스스로 희생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이에 외스타슈 드 생 피에르(Eustache de Saint-Pierre)를 포함한 여섯 명의 시민이 밧줄을 목에 두르고 맨발로 왕 앞에 나섰습니다. 그러나 영국 왕의 왕비 필리파의 간청으로 그들은 처형을 면하게 됩니다.

 

특히 여섯 명의 시민은 각기 다른 감정을 표현하며, 죽음을 앞둔 불안과 희생의 결의를 드러내며, 전통적인 영웅적인 자세가 아닌, 고통스러운 표정과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강조했습니다.

 

로댕의 칼레의 시민들은 총 12점의 원본 주조본이 제작되었는데요. 첫번째 작품은 당연하게도 프랑스 칼레 시청 광장에 있다고 합니다. 이곳 리움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는 작품은 12번째 작품이라고 하네요.

 

이 작품은 기존의 조작 작품속 인물들이 단순한 영웅 찬양을 묘사하는 것에서 벗어나 고통과 희생 속에서도 인내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주며, 로댕의 사실주의적 조각 기법을 잘 보여주는 대표작입니다.

실내에서 작품을 보고 있으니 너무나 좋더라는...

 

 

외스타슈 드 생 피에르: 가장 나이가 많은 인물로, 희생을 결심한 지도자
장 다에르: 가슴을 움켜쥐고 두려움에 떨고 있는 모습
피에르 드 위상: 땅을 바라보며 깊은 고민에 빠진 듯한 모습

728x90


장 드 피엔느: 걷기 힘들 정도로 괴로운 자세
앙드리우 다르드르: 절망적인 표정으로 땅을 응시
자크 드 위상: 손을 들어 감정을 표현

 

| 마크 로스코와 장욱진 회화의 이색적 만남

이외에도 리움미술관은 마크 로스코 작품 여러점을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장욱진의 무제

장욱진은 향토적 소재와 풍류의 이미지를 간결한 선과 단순한 형태, 그리고 대담한 구성으로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순수한 서정의 세계를 구현한 한국 근현대기의 선구적인 작가입니다 1964년에 제작된 작품 <무제>는 형상이 완전히 사라진 순수 추상회화입니다. 그는 1960년대 중반에는 주로 사람과 자연을 단순한 형태로 표현하였지만, 2년 정도의 짧은 기간 동안 형상이 사라진 추상 작품도 제작했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갈색과 검은색을 여러 번 덧칠한 두꺼운 표면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옵니다. 그는 갈색과 검정색을 여러 번 덧칠하여 두꺼운 표면을 만들고, 그 표면을 다시 굵어내면서 작품의 거친 질감을 강조했습니다 이는 당시 한국 미술계의 새로운 물결 중 하나였던 앵포르멜 기법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무제>에서는 작가의 서구 미술 경향에 대한 실험과 탐색의 과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마크 로스코(Mark Rothko, 1903-1970)는

미국의 대표적인 추상표현주의 화가 마크 로스코 1950년대부터 기본적이고도 강렬한 색면을 사 추상회화를 전개했습니다. <무제)는 작가의 후7 작품으로, 밝은 노랑의 색면과 중앙의 가로로 놓 흰색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그는 다른 서사나 표현의 개입 없이 단순한 색면이 회화 안에서 자율적 질서를 이루기를 원했습니다.

 

작가는 이 같은 색채의 추상을 통해 비극이나 환희와 길 인간의 본질적 감정을 이끌어내고자 했습니다. 작품도 단순하고 화사한 색감이 엷게 채색되어 전체적으로 노랑과 흰 색면이 공간감을 이루면 돋보입니다. 화면의 가운데 흰색은 빛처럼 화면 속에서 팽창해 나가고, 노란색은 그와 대결하 듯 응축, 후퇴하면서 화면 안에 고요한 운동감을 만들어냅니다. 이 같은 작품의 극단적으로 단순 순수한 구조로 인해 관객은 작품에서 명상적이: 종교적인 분위기를 느끼게 됩니다.

 

| 얀보 : 우리 국민은

Danh Vō(얀보, 또는 단 보)는 베트남 태생의 덴마크 현대미술 작가로, 개인적인 경험과 역사적 맥락을 결합한 개념적 작품으로 유명합니다. 그의 작업은 정체성, 이주, 식민주의, 자본주의, 그리고 문화적 유산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번에 전시된 We The People (2011–2016) 자유의 여신상을 원래 크기로 재현한 구리 조각들을 여러 장소에 흩뿌려 배치한 대규모 프로젝트 국가와 권력, 자유라는 개념의 의미를 재조명하는 작품입니다.

 

얀보의 우리국민은 작품은 2011년부터 2016년까지 미국의 공공미술기금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제작된 작가의 대표작입니다 그는 자유의 여신상을 복제하여 250여 개의 부분으로 조각내었고, 작품은 뉴욕을 비롯해 세계 각지로 흩어져 소장되고 전시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그 중에서도 자유의 여신상 옷 주름 부분에 해당합니다. 작가는 매우 유명하고 거대한 자유의 여신상을 전 세계에 분산시킴으로써 관객들에게 오랫동안 인류의 보편적 이상으로 여겨졌지만 실제로는 구체적으로 합의되지 못하는 오늘날의 민주주의와 자유의 의미를 다시 살필 계기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이어서 이번 리움미술관 소장품전이 열리고 있는 M2 메인홀로 걸어갑니다. 바로 나를 바라보고 있는 이 작품...

 

앞에서 설명한 로댕의 칼레의 시민과 함께 이번 리움 현대미술 소장품전에서 대표적인 조각작품 중 하나, 그리고 내가 너무나도 좋아하는 작가인 자코메티의 작품...

| 알베르토 자코메티 : 거대한 여인 3

뼈대만 남은 듯 앙상한 모습의 이 여인상은 20세기를 대표하는 조각가 알베르토 자코메티의 대표작으로, 2004년 리움미술관 개관 때부터 2020년까지 가장 오랫동안 현대미술 상설관을 지켰던 작품이기도 합니다. 알베르토 자코메티는 1920-1930년대에 파리를 무대로 활동하며 초현실주의 미술운동에 몸담았던 작가입니다.

 

그러나 30대 중반에 접어들며 인간 형상과 실제 대상에 관심을 갖기 시작하여 1935년 초현실주의와 결별하고 인체 조각을 제작하며 인간의 본질을 탐구하기 시작했습니다.

자코메티에게 인간의 본질은 무엇이었을까요? 그는 인간의 본질이 의식에 있다고 믿었고, 이를 깊이그리고 멀리 응시하는 얼굴로 표현했습니다. 부피가 거의 사라진 마르고 긴 몸은 인간을 의식과 정신의 존재로 그리고자 했던 자코메티의 오랜 모색의 결과입니다. 그가 영원성의 표본으로 여기며 영감을 얻었던 고대 이집트 미술처럼 이 거대한 여인상이 반듯한 자세로 정면을 항해 서서 저 멀리 어딘가를 고요히 응시하고 있습니다

 

| 솔 르윗 : 매달린 구조 #28A

솔 르윗은 1960년대 후반 미니멀리즘의 전개와 개념미술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 작가입니다.
기계적으로 격자형태가 반복되는 그의 흰 색모듈 조각은 정점에 달한 미니멀리즘의 표상과도 같습니다. 작업의 가장 큰 시각적 특징은 무엇보다도 반복되는 격자 형태입니다. 이는 작가가 자신의 주관이나 감정, 작업 의도를 제작 과정에 개입되지 않게 하기 위해 입방체를 순열 규칙에 따라 체계적으로 구성하면서 형성된 형태입니다.

 

이러한 작업 태도의 바탕에는 작가의 구상, 즉 아이디어 그 자체가 미술작품이라는 의식이 깔려 있는데, 이런 점에서 르윗의 모듈 조각은 미니멀리즘과 개념미술의 성격이 공존하는 작업으로 평가받습니다. 이 작품은 작가의 일반적인 모듈 조각과 다를 바 없지만 독특하게 천장에 매달려 있습니다, 공중에 띄워진 작품은 관람자로 하여금 작품과 작품 주변의 공간을 수평과 수직으로 더욱 다이나믹하게 인식하게 하미 색다른 작품 경험을 유도합니다

반응형

| 칼안드레 : 81개의 구리/철

칼 안드레는 사물의 본질적인 형태와 불성에 주목했던 1960년대 미국 미니멀리즘을 이끈 선구자입니다. 그는 재료의 물성에 집중하면서 이를 기하학적인 형태로 단순화하고, 반복적으로 나열하는 작업방식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서로 다른 금속이 교차하며 반짝이는 이 작품은 칼 안드레의 작품 중에서도 그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준다고 평가받는 일명 '바닥 조각(floor piece)'입니다. 

 

작품은 단순한 사각형의 유닛 81개가 교차하며 거대한 체스판과 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으며, 색상과 경도가 다른 구리와 철판이 대비되면서 전체적인 작품의 물성을 돋보이게 합니다. 그리고 좌대 없이 바닥에 납작하게 깔려 있는 작품은 관객으로 하여금 일반적인 시야뿐 아니라 작품을 둘러싼 모든 공간을 바라보게 합니다. 그의 바닥 조각은 작품뿐 아니라 그것이 공간 전체를 관객이 감각하게 함으로써 공간을 특별한 장소로 전환시키고 장소 전체를 경험하게끔 합니다.

 

| 로버트 라우센버그 : 와일드 스트로베리 이클립스 (어반 버전)

로버트 라우센버그는 당시 주류 미술 경향이었던 추상표현주의에 도전하며 1960년대 미국의 네오 다다를 이끈 핵심적인 인물입니다, 작가는 1984년부터 1991년까지 전 세계 11개국에서 전시를 개최하고 각 국가에 관한 작업을 제작하는 라우셴버그 해외문화교류(ROCI)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이 작품은 해당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한 <어반 버번> 연작 중 하나로 쿠바에서 제작되었습니다. 

그는 일터의 노동자들, 널려 있는 세탁물, 정치적 사건 등 지역과 밀접한 장면을 카메라에 담고, 촬영한 사진을 금속 패널에 전사한 뒤 쿠바 국기색이기도 한 빨간색, 흰색 파란색 물감으로 색을 더했습니다. 쿠바의 이미지와 라우셴버그의 강렬한 붓질이 담긴 패널은 표면의 반사되는 성질로 인해 작품을 마주한 관람자의 시공간까지 작품의 일부로 끌어들입니다. 이는 작품에 구체적 삶을 담아 일상에 대한 성찰과 발언을 이끌어내고자 했던 작가의 1980년대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 조엘 샤피로 : 무제

조엘 샤피로는 주로 청동과 나무를 사용해 만든 직육면체를 재료로 하여 기하학적인 조각을 제작한 미국의 대표적인 조각가입니다. 그는 1960년대 미니멀리즘의 단순하고 기하학적인 조각 형식을 수용했고, 나아가 인체의 몸짓을 연상시키는 조각을 제작해 관객의 다채로운 반응을 불러 일으켰습니다.


작품은 긴 직육면체를 조합해서 만든 조각으로 전체적으로 보면 팔다리를 뻗어 마치 춤을 추거나 발차기를 하는 듯 보입니다. 인체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제작된 이 작품은 바닥에 고정된 기둥이 무게중심에서 벗어나 있어, 그 덕분에 곧 쓰러질 듯한 순간의 긴장감과 기우뚱하는 사람의 절묘한 균형 감각과 역동성을 느끼게 합니다. 많은 경우 샤피로는 통나무를 잘라 만든 나무토막들로 먼저 작품을 만든 후, 나무토막들을 청동으로 주물을 떠서 조각으로 제작했습니다. 그러한 작업 방식에  따라 이 작품의 표면에도 나뭇결과 못 자국 등이 그대로 드러나 있습니다

 

프랭크 스텔라 : 각도기 변주

프랭크 스텔라는 평면 안에 기하학적 구성과 규칙을 부여하는 작업 방식을 통해 전후 현대미술의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작가입니다. 1960년대에 스텔라는 캔버스 위에 단색의 기하학적인 줄무늬 패턴을 반복하여 화면 전체에 채웠고, 형상이나 서사, 공간감을 재현하는 것이 아닌 캔버스의 평면성을 강조하는 회화 연작을 제작해 뉴욕 미술계를 열광시켰습니다. 스텔라는 1967년부터 곡선과 다양한 색으로 이루어진 회화 <각도기> 연작을 제작했습니다. 

 

그는 각도기의 반원을 작품의 기본 조형 요소로 하여 얽힘, 무지개, 부채라는 세 가지 양식으로 반원의 형태를 교차시키고 변주했습니다. 이 작품을 구성하는 색채의 밝기와 톤이 화려하고 다양하지만, 각 반원의 패턴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작품 안에서 기하학적이고 추상적인 구성은 색채와 형태의 리듬감, 독특한 시각적 유희를 느끼게 합니다

지금까지 내가 생각하고 있는 프랭크 스텔라의 작품과는 다른 느낌...

 

 

이번 리움 현대미술 소장전이 열리고 있는 M2 끝부분에는 별도의 전시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에바헤세의 작품을 지나... 로니혼의 작품이 전시된 공간입니다.

| 로니혼 : 당신은 날씨다 2부 

로니 혼은 1970년대부터 미니멀리즘의 재료와 형식을 계승하면서 기억과 정체성, 젠더, 자연환경 문학에 대한 예술적 관심사를 발전시켜 온 작가입니다. 조각, 사진, 드로잉, 출판 등 다양한 장르를 아우르는 혼은 철학적인 사유를 담은 작품 세계를 선보입니다. 그는 1975년부터 정기적으로 아이슬란드를 여행했고 그곳의 독특한 지형과 변화무쌍한 날씨에 매료되었습니다. 

 

이 작품은 1990년대에 촬영된 시리즈에 이어 2010년 2011년에 제작된 작품으로, 작업은 흐리거나 화창하고, 안개가 껴서 뿌연 날씨 속에서 순간순간 여성의 표정을 확대해서 찍은 100장의 사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진 속 여성의 표정은 아주 미묘하게 변화하며, 감정과 표정의 변화가 날씨에 따른 것임을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작품 제목에서 알 수 있듯 작품 안에서 "당신"과 "날씨"는 동일시되면서, 보는 이들로 하여금 작품의 대상에 대해 자유롭고 시적인 상상을 가능케 합니다.

 

| 존 체임벌린 : 도시의 빛

존 체임벌린은 형형색색의 폐차 금속을 압착한 거대한 조각 작품으로 찰 알려진 미국의 선구적인 조각가입니다. 산업 폐기물에 불과했던 고철이, 그리고 비록 폐차일지라도 미국인들의 일상적인 생활 필수품인 자동차가 순수미술에 수용되었다는 점에서 그의 조각은 미국 소비산업사회의 단면을 보여준다고 평가받습니다. 

 

청색 계열의 폐차 고철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높이가 3.5m에 달하는 대작으로, 조각가 체임벌린이 작품의 규모를 키우고 구성을 단순화하며 새로운 조형성을 탐구했던 1980년대 초의 대표작입니다. 언뜻 녹슬고 일그러진 고철더미로만 보이지만, 나란히 배열되어 전체적인 조화를 이루고 있는 고철들의 형태와 색채에서 작가의 세심한 구성을 읽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산업 폐기물에서 미술작품으로 재탄생한 작가의 작품은 20세기 미국 도시 문명의 좋아가 된 자동차에 대한 낙관과 붙질 문명의 이면을 함께 돌아보게 합니다

| 댄 플래빈 : 무제 (프루던스와 그녀의 갓난 아기를 위해)

댄 플래빈은 미니멀리즘을 대표하는 작가로 백열등이나 형광등을 이용한 작업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작가는 1963년부터 작품에 형광등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산업 소재를 이용하여 예술과 일상의 간극을 좁히고자 한 작가의 작품은 주변으로 빛을 발산하며 독특한 체험과 정서적 경험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그는 종종 일찍 사망한 쌍둥이 형제와 같은 그의 가족 혹은 친구, 그에게 영감을 준 이들을 위한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이 작품은 1990년부터 작가가 사망할 때까지 그의 스튜디오 매니저였던 프루던스 페어웨더의 출산을 축하하며 그에게 헌정하는 작품입니다. 작가의 작업은 일상 용품인 형광등과 전기 조명의 색채적, 공간적 성질에 대한 고찰에서 출발하여 기하학적으로 구성된 빛을 통한 감상의 몰입을 이끌어냅니다

 

미술관 특히 현대미술관에서는 앞이나 바닥만 바라보고 다니면 안되더라는...

 

| 리크리트 티라바닛 : 무제 2012(?)

리크리트 티라바닛은 태국 출신의 현대미술가로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작품의 주된 요소로 삼아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관계적 미학을 개척한 작가입니다. 이 작품은 상단 부분이 도금 처리된 94개의 전구가 연이어 설치되어 3미터가 넘는 거대한 물음표 형태를 이루고 있는 작품입니다. 

 

작품에 나타난 물음표는 티라바닛이 슬로바키아의 한 개념미술가 율리우스 콜러의 정치사회적 작업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물음표 기호를 가져온 것입니다. 티라바닛은 차용한 물음표를 기존 의미보다 넓은 맥락 안에서 은은한 빛과 함께 활용하여 관객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미적 의사소통을 이끌어 내고자 했습니다. 티라바닛의 작업은 작가의 유연한 상상력을 기반으로, 모든 관객이 참여를 통해 스스로의 의미를 발견하고 그 안에서 각자가 지향하는 바를 찾도록 유도합니다

 

 

| 리처드 디콘 : 아홉

유기적인 형태의 조각으로 잘 알려진 리처드 디콘은 1987년 터너상을 수상한 바 있는 영국의 대표적인 현대조각가입니다. 그는 재료 본연의 특성을 이해하고, 자연 법칙에 기반한 기하학적 모듈을 제작해 조립하거나 연결해 나가는 방식을 통해 생동감 있는 작품을 제작합니다. 이 작품은 너도밤나무 본연의 색을 띤 나무조각들이 격자 형태로 연결되며 원통의 모양을 갖춰 부드럽게 휘어지는 모습을 갖습니다. 

 

유연하게 구부러진 이 커다란 원통은 끝과 끝에서 만나며 하나의 띠가 되어 생동감 있는 자연의 기운을 떠오르게 합니다. 한편, 작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규칙적으로 연결된 나무조각들이 수학적으로 계산되어 조립된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작가는 모든 자연물을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면 그 기본 구조는 기하학적인 형태인 것과 같이, 기하학적인 기본 모듈을 활용하여 생명력 넘치는 작품을 탄생시키며 우리 세계를 이루는 근본적 원리를 나타냅니다.

 

 

| 페르낭 레제 : 비행사

페르낭 레제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기계문명의 영향을 받아 산업적 주제와 기하학적 형태를 다루며 입체주의를 구현한 대표적인 프랑스 화가입니다. 그는 전쟁 중 군인으로 복무하면서, 기계 문물에 매료되었고, 전역 후 이를 작품의 소재로 다루기 시작했습니다. 이 작품은 그와 같은 작가의 주제의식이 드러나는 작품입니다.

 

작품은 비행기라는 현대의 기계적 요소와 이를 조종하는 비행사라는 인간을 모티프로 하고 있습니다. 화면 중앙 위에 위치한 비행사로 짐작되는 인물은 튜브와 같은 원기둥과 원뿔이 합쳐진 팔, 흰색 면의 몸통으로 그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원색과 회색조의 직선과 곡선, 격자 구성의 면들은 비행사와 함께 비행기의 부품과 단면들을 자연스럽게 연상시킵니다. 대상이 평면적으로 파편화되고 입체적으로 재구성된다는 점에서 입체주의의 특징이 나타납니다, 관객들은 작품을 통해 기계와 도시, 더 나아가 미래에 대한 작가의 적극적인 관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쪽 공간에는 이우환 작가의 작품 두 점이 전시되어 있는데요

| 이우환 점으로부터 & 선으로 부터

이우환은 1960년대부터 에술과 칠학을 탐구하며 현상학적 존새론을 토대로 '만남'과 '무한성'의 미학을 작업으로 구현해왔습니다. 그는 서구적 사고를 수용하고 해체하는 과정을 통해 동양적 정신을 자신의 예술로 새롭게 조명하고자 했습니다.
이론적 깊이와 예술적 통찰을 겸비한 그는 1960년대 말 일본의 대표적인 미술 운동인 모노하(#)의 형성과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했고, 1970년대 한국 실험미술과 단색화 움직임에도 깊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선으로부터>와 <점으로부터)는 1970년대 후반 이우환의 대표적인 회화 연작들입니다. 가지런히 그어내린 선과 반복되는 점들의 흔적 속에서 질푸른 물감은 점차 흐릿해져가고, 사라져가는 선과 점은 존재와 부재 시간의 흐름을 일깨우며 우리를 사유의 세계로 이꼽니다. 캔버스를 마주하고, 긴 호흡으로 선을 그어내리거나 일정한 붓질로 조절하며 점을 찍어 나가는 이우환의 창작의 과정에는 존재와 행위. 지각, 시간성 등 인간과 세계에 대한 깊은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이우환의 그림에서 점과 선은 균일한 질서와 우연이 공존하는 조형 요소일 뿐 아니라, 획을 긋는 행위에 내포된 이러한 깊은 의미들을 읽고 관조하게 하는 매개이기도 합니다.

 

이 작품 이우환 선으로부터... 너무나도 매력적인 작품...

 

| 김종영

김출영은 한국 추상 조각의 거장으로, 그의 조각은 재료에서 자연스럽게 발현되는 추상적 형태로 자연과 예술의 평온한 조화를 보여주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방에 전시된 조각들은 김종영이 중견작가로 또 교수로서 한국 조각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던 1950년대 후반부터 말기인 1970년대 후반까지 제작된 작품들로, 자연에서 조형미를 찾고자 했던 그의 작품 세계를 잘 보여줍니다 

 

작품들은 모두 인위적인 직선이 없이 유기적인 곡선과 비대칭 형태 속에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습니다. 목조각은 부드러운 굴곡과 자연스런 나뭇결이 조화를 이루고 1970년대 이후의 돌조각들은 매끄럽게 가다듬은 형태와 자연 속에서 풍화로 마모된 듯한 거친 표면이 공존합니다. 그는 이렇게 재료를 크게 가공하지 않고 표현을 절제하며 잠재된 본질적 아름다움을 찾는 자신의 예술을 조각은 하되 조각하지 않는다, 즉'불각의 미'라 일컬있습니다

 

반응형

리움 미술관 현대미술 소장품전이 열리고 있는 M2 1층 작품감상을 마치고  2층으로 이동합니다.

 

2층은 역시나 좀 더 도전적이고 난해한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는데요.

 

| 리 본테큐 : 무제

미국의 추상조각가 리 본테큐는 1960년대에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허문 독창적인 부조 작업으로 현대 조각의 새로운 지평을 연 작가입니다. 그는 철근과 용접이라는 산업 재료와 기법으로 전쟁의 상처, 가속화되는 산업화, 인간과 자연, 생명에 대한 성찰을 담아 강렬하고 깊은 울림을 전했습니다.


철골 구조에 캔버스 천 조각들을 철사로 꿰매어 :만든 이 작품은 본테큐가 새로운 형식을 실험하며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하던 시기의 대표작입니다. 작가는 말합니다. "나는 내가 살고 있는 세상의 무게를, 그 공포와 아름다움 모두를 작품에 담고 싶었다. 이어붙인 천들은 그 일환이다. 연약하지만 서로 붙들고 있다." 철사로 잇대어진 천 조각들은 상흔을 연상시키지만, 우리의 눈길을 가장 끄는 중앙의 검고 둥근 구멍은 우리의 시선을 텅 빈 내부로 이끌며 더 폭넓고 자유로운 사유를 유도합니다. 본테큐 예술의 가장 특징적인 조형 요소인 이 검고 둥근 구멍은 세계에 대한 작가의. 그리고 관람자의 해석으로 채워지는 열린 공간이기도 합니다

| 알리기에로 보에티 : 지도

알리기에로 보에티는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아르테 포베라 미술 운동의 핵심 작가이자 선구적인  개념미술가입니다. 작가의 대표적인 연작 중 하나인 이 작품은 세계 지도의 윤곽 안에 각 나라의 국기를 수놓아 영토를 표시한 작품입니다. 작가는 1971년 아프가니스탄으로 떠나 그곳에 머물면서 전통 카펫을 만드는 장인들과 교류하며 이 연작을 제작했습니다. 그는 각 나라의 국기로 영토를 표시하는 세계지도를 만든다는 아이디어만 내고 제작은 서아시아 지역의 전통 자수 기법으로 장인들이 작품을 만들어내는 방식을 제안했습니다.

 

협업한 장인들은 자기 취향이나 기분에 따라, 혹은 보유한 실의 색에 따라 다양하게 지도를 표현했습니다. 지도들은 보통 제작에 1-2년이 걸렸고, 지역의 정치적 상황이나 지정학적 사건 때문에 지체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이같은 제작 과정은 작품에 아프가니스탄 지역민들의 문화적 맥락과 국제 분쟁으로 인한 상황을 자연스럽게 반영합니다. 장인의 손길로 새롭게 탄생한 보에티의 세계지도는 지도 뒤에 숨겨진 분쟁의 역사와 세계화의 양상, 나아가 예술의 사회적 역할까지 생각하도록 이꼽니다

 

| 양해규 서울근성 연작

국내외를 무대로 활발하게 활동하는 양혜규는 삶과 사회, 문화에 대한 사유들을 다양한 개념적 작업에 담아 왔습니다. <서울 근성>은 독일에 체류 중이던 양혜규가 전시를 위해 서울에 들렀을 때 서울 사람들을 보고 느낀 점을 일상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표현한 작품으로, <서울 멋쟁이>, <씻고 닦고> <자투리 정원>, <약장수>, <황금 휴가>, <얼굴 없는 미녀>라는 제목이 붙은 여섯 점의 조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옷걸이에 휴대폰 줄, 청소 도구 조개껍질, 화장 용품 같은 흔한 일상의 사물들을 결합하여 만든 각각의 조각은 한 명의 개인을 표상하는 한편, 각 조각에 달린 전구들은 모두 하나의 전원에 연결되어 느슨하면서도 일시적인 공동체의 모습을 갖습니다. 이 의인화된 여섯 조각은 작가의 눈에 비친 소비주의적 서울 시민의 초상이자 도시 서울의 속성을 드러냅니다.

 

양해규 서울근성 '얼굴없는 미녀' 상당히 재미있게 본 작품...

 

| 한네 다보벤 : 한국달력

한네 다보벤은 독일의 대표적인 개념미술가로 복잡한 숫자 체계와 문자를 활용해 인간 경험의 본질을 시각화한 작가입니다. <한국 달력>은 보이는 그대로, 오래전 우리가 흔히 사용했던 일력으로 만들어진 작품입니다. 작가가 우연히 얻은 한국의 신미년 1991년 일력이 낱장으로 분해되어 표지포함 366개 한 세트의 개념미술 작품으로 재탄생한 것입니다. 작가는 일력 낱장을 종이에 붙이고 그 옆에 그 날의 연월일 숫자를 합산해 적은 후 숫자만큼의 물결무늬를 그려넣었습니다. 아래에는 독일어와 영어로 '오늘'을 의미하는 heute와 today를 적고, 그 날을 마감하듯 줄을 그었습니다.


이 과정은 매일매일 '오늘'의 달력마다 반복되어 월말이면 물결무늬가 지면을 가득 채웠다가 달이 바뀌면 줄어듭니다. 흐르는 시간 속에 일정한 주기를 따르는 자연의 섭리처럼, 자기만의 셈법과 기호로 날짜를 치환하여 시간의 경과를 시각화한 이 작품에는 자연의 질서에 대한 작가의 통찰이 담겨 있습니다.

| 도널드 저드 : 무제

미니멀리즘을 대표하는 미국의 착가이자 이론가로 알려진 도널드 처트는 1960년대부터 상자 형태의 단순한 조각 작품을 바닥에 놓거나 벽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제작했습니다. 그는 대상을 재현하거나 작가의 개성에 기반하는 전통적인 회화와 조각의 특성에 도전했던 작가입니다. 이 작품은 직사각형의 크기가 변형되며 가로로 길게 나열됩니다. 작가는 작품 속 사각형의 크기와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수학적 수열을 따랐습니다.


오른쪽으로 갈수록 사각형의 크기가 급격히 커지고 반대로 사각형 사이의 빈 공간은 줄어드는데 , 수열의 원리를 통해 그는 작품의 구성에 관여하지 않으면서도 사각형의 크기와 위치를 변형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그는 제작 공정과도 거리를 두었는데, 공장에서 주문 제작하는 방식으로 작품을 생산했습니다. 작가는 이처럼 작품 안에 구체적인 형상이나 내용을 최대한 배제하고, 물질의 고유한 형태와 성질을 부각시켰습니다. 관객들은 자연스럽게 작품의 물성과 존재감에 집중하면서, 키는 경험을 하게 됩니다. 

 

다시 계단을 통해 1층으로 내려와서 1층과 2층 연결계단 옆에위치한 온 카와라의 작품입니다.

참고로 1981.7.8일은 1981년 7월 8일, 태양광 비행기 솔라 챌린저가 최초로 영국 해협을 횡단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온 카와라 1981년 7월 8일

온 카와라는 표현성이 배제된 텍스트와 숫자를 사용해 시간과 인간의 본질에 대해 이야기한 선구적인 개념미술가입니다. 이 작품은 작가가 1966년부터 2014년까지 제작한 (오늘) 연작에 속하는 작품입니다. 이 연작 배경은 빨강, 파랑, 회색, 검은색 등 단색조의 색상으로 작품마다 다르지만, 날짜는 언제나 흰색으로 일관됩니다.


연작의 제목이 <오늘>인 이유는 작가의 독특한 작업 방식과 연관됩니다. 하루 24시간 안에 작품을 완성하지 못한다면 진행하던 작업은 폐기되고, 작가는 당일 완성한 작품만을 공개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완성된 작품은 해당 요일의 지역 신문을 사용하여 만들어진 카드보드지 상자에 보관됩니다.
그는 본인의 문화적, 인종적, 민족적 요소를 완전히 배제하고, 마치 생존을 기록하듯 규칙적이고 반복적으로 사망할 때까지 본 연작을 제작하며. 시간과 인간의 존재에 대해 천착했습니다. 

 

오늘은 27일일부터 리움미술관 M2에서 열리고 있는 ' 현대미술 소장품 전시회' 관람후기 였습니다.

올해 볼만한 전시회롤 추천 드리며, 리움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는 피에르 위그: 리미널 전시회도 추천 드립니다.

 

전시회 소식은 아래 지난 포스팅 참고하세요.

 

피에르 위그 '리미널 (Liminal)' : 그로테스크 하고 난해한 리움미술관 전시회

지난 금요일인 2월 27일 부터 이태원 리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피에르 위그 리미널' 관람후기 입니다.이번 전시회는 아시아 최초로 열리는 전시회로 저에게는 너무나도 생소한 작가이자 호

www.a4b4.co.kr

 

 

 

 

728x90
728x90

지난 금요일인 2월 27일 부터 이태원 리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피에르 위그 리미널' 관람후기 입니다.

이번 전시회는 아시아 최초로 열리는 전시회로 저에게는 너무나도 생소한 작가이자 호기심이 생기지만 상당히 난해한 작품 세계를 보여주는 전시회라는 생각입니다. 미술 무지랭이에게는...

 

| 피에르 위그 개인전 - 리미널

블랙박스, 그라운드갤러리 / 2025.02.27. – 2025.07.06.

리움미술관은 현대미술의 고정된 형식을 깨고 끊임없이 새로운 세계를 탐구해 온 세계적 작가 피에르 위그의 아시아 최초 개인전 《리미널》을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피노 컬렉션(Pinault Collection)의 푼타 델라 도가나(Punta della Dogana)와 공동 제작한 작품을 포함하여 피에르 위그의 지난 10여 년의 예술적 탐구를 새롭게 조명합니다.

 

장소는 지상 1층과 지하 1층으로 구성된 그라운드 갤러리에서 감상할 수 있습니다.

 

| 전시회 티켓팅 및 가격

현재 리움미술관에서는 두 개의 전시회가 각각 열리고 있는데요. 두 전시회 모두 유료 전시회지만 주말 전시는 몇일 전부터 매진 사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피에르 위그 리미널 전시회 티켓 가격은 16,000원 입니다. 또한 리움 현대미술관 소장품전 티켓 가격은 12,000원 인데요. 두 전시회 통합권 가격은 20,000원 으로 정가 대비 8,000원이 저렴합니다. 

바보 같이 한 전시회 티켓만 구입하지 마시고 통합권 구매하세요. (전시장 입구에서 후회하시는 분 몇 몇 봤습니다.

 

|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

1962년 9월 11일 (62세), 프랑스 파리출신인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는 프랑스 현대 예술가로 영화와 조각에서부터 공공 개입과 생활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매체에서 작업하고 있습니다. 그는 파리와 뉴욕에서 거주하며 작업하고 있습니다만 한국에는 잘 알려진 작가는 아닙니다. 

작가의 이름을 한글로 챗 gpt에 입력하니 아래와 같이 답변해 주세요. 아마도 학습할 수 있는 정보가 전혀 없는 것 같네요. (아마 다음에 입력하면 이미 학습이 완료되어 있을 듯...)

728x90

 

현대미술의 고정된 형식을 깨고 끊임없이 새로운 세계를 탐구해 온 세계적 작가 피에르 위그의 아시아 최초 개인전 《리미널》을 선보입니다. 이번 전시는 피노 컬렉션의 푼타 델라 도가나와 공동 제작한 작품을 포함하여 피에르 위그의 지난 10여 년의 예술적 탐구를 새롭게 조명합니다.

이번 전시 제목 ‘리미널’은 “생각지도 못한 무언가가 출현할 수 있는 과도기적 상태”를 의미합니다. 전시 《리미널》은 불가능하거나 상상할 수 없는 것을 어떻게 경험할 수 있을까, 전시에서 새로운 주체성은 어떻게 탄생될 수 있는가,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 의존성을 어떤 방법으로 인지할 수 있을까에 대한 질문에서 비롯됩니다. 전시는 신작 <리미널>, <카마타>, <이디엄>을 포함하여 총 12점의 작품으로 구성됩니다. 이 작품들은 실시간 데이터를 활용한 프로그램과 생명공학을 결합하며, 인간과 비인간의 상호 관계가 생성하는 감각적이고 시적인 세계로 우리를 안내합니다.

 

| 도슨트 X, 오디오가이드 X

피에르 위그 '리미널 (Liminal)' 전시회는 별도 도슨트나, 오디오 가이드도 지원되지 않습니다. 리움 전시회에서 오디오 가이드 없는 전시회가 있었는지 기억이...

그렇지만 개인 스마트폰으로 아래 QR 코드를 인식하면 자세한 설명을 사진과 택스트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전시장 1층

블랙박스, 그라운드갤러리 1층은 상당히 어둡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해당 공간이 보통 어두운 조명에서 작품 전시가 진행되는 곳이기는 한데요. 이번에는 거의 암흑세상에 가깝네요. 주의 하셔야 합니다.

| 난해하다

이번 리움 피에르 위그 개인전 '리미널 (Liminal)' 작품들은 상당히 그로테스크 하면서도 어둡고 난해한 작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작품 설명을 보면서도 작품을 이해하기 상당히 어려운, 작품설명이 한글인데도, 없던 난독증이 생기는 상황...

최근 전시회 중에서 역대급으로 빨리 보고 나온 전시회입니다. (59분 컷)

 

전시장에 들어와서 보이는 첫 인상입니다. 먼저 나체로 누워 있는 여성을 먼저 만나게 되었는데요.

(사진에 모자이크 칩니다. 다음 음란물 기준이 상당히 어이없는 부분이 많아서요.)

 

리미널 (Liminal) / 2024 – 현재

실시간 시뮬레이션, 사운드, 센서
작가, 갤러리 샹탈 크루젤, 마리안 굿맨 갤러리, 하우저&워스, 에스더 쉬퍼, 타로 나수, 안나 레나 필름 제공

 

<리미널>에서 나타나는 비워진 인간 형태는 세계도, 뇌도, 얼굴도 없이, 공허에 둘러싸인 무한하고 평평한 표면을 따라 이동합니다. 이 작품은 순수하게 사변적인 인간 조건에 관한 시뮬레이션으로, 작가에게는 실험의 일종입니다.

<리미널>은 과도기적 상태, 즉 우리의 감각적 현실과 비인간적 존재 사이의 통로이며 둘 다 인간 형태를 통해 비인간과 인간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이는 전달자(passeur)이자 신탁의 형상(oracular figure)입니다. 작가는 한 인간의 형태를 보여줍니다. 인간이 아닌 이 존재는 공간이자 경계적 환경(liminal milieu)으로 제시됩니다.

예민한 막처럼 존재하는 경계적 환경은 물리적인 환경을 감지하고, 외부에서 오는 자극을 통해 실시간으로 보이지 않는 정보를 받는 빈 공간입니다. 이 경계적 환경으로서 인간 형태는 미묘한 몸짓을 만들어내고, 언어가 되는 이 몸짓은 비인간 존재에게 읽히며, 이는 다시 인간 형태에서 다양한 행동을 유발하고 반응합니다. 그러나 비인간 존재는 자극을 찾고, 학습하고, 그 기억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전하면서 전시를 넘어, 모든 인간의 영역을 초월하여 구성되어 갑니다.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앞으로 만나게 될 리움미술관 전시 리미널의 분위기를 느끼실 수 있습니다.

리미널 (Liminal) / 피에르 위그 2024 현재

 

비어 있고, 수수께끼 같으며, 얼굴이 없고, 속이 텅 빈, 두뇌도 세계도 없는 하나의 외피가 텅 빈 표면 위를 움직인다. 이는 무한한 공허 속에 떠 있는 하나의 막(膜)과도 같다. ㅡ 피에르 위그

주드람 4 (Zoodram 4) / 2011

수족관, 화살게, 소라게, 콘스탄틴 브랑쿠시의 <잠든 뮤즈>(1910)를 바탕으로 수지로 제작한 소라 껍데기
이시카와 재단 소장

 

<주드람 4>은 자연적 생태계를 재현한 것도 아니고 세트장도 아닙니다. 조건들이 정해져 있으나 그 안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알 수 없는 불확실한 세계입니다.

 

 

생물들은 익숙한 환경을 찾고자 하는 본능을 따라 행동합니다. 여기에 서식하는 소라게가 있습니다. 이 소라게는 콘스탄틴 브랑쿠시(Constantin Brancuși)의 알려진 조각 <잠든 뮤즈(Sleeping Muse)>(1910)의 복제품 안에서 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반복되도록 의도되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달라지기도 합니다.

 

 게와 뮤즈의 얼굴은 인간이 아닌 존재와 인간의 형상 사이 두 종의 교합을 나타낸다고 하지만 난 뭔말인지 모르겠다. 그냥어항속에서 이 작품을 보면서 설마설마 했다는...

반응형

오프스프링 (Offspring) / 2018

라이트박스, 빛, 안개, 사운드 시스템, 향 . 리움미술관 제공

 

<오프스프링>은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조건을 지속적으로 학습하는 자기 생성 도구입니다. 작품의 빛은 여기서 생성된 우발적인 결과와 동기화를 시도합니다.

 

앞 작품인 리미널이 너무 강해서 이 작품은 눈에 들어오지도 않았다는...
* 음악: 에릭 사티(Erik Satie)의 ‘짐노페디(Gymnopédies)’ 2, 3번(1888), 클로드 드뷔시(Claude Debussy) 편곡

 

이번 리움미술관 피에르 위그 개인전 '리미널 (Liminal)' 전시회에서 가장 인상깊게 만났던 작품 소개합니다.

휴먼 마스크 (Human Mask) / 2014

영상, 컬러, 사운드, 19분
피노 콜렉션, 안나 레나 필름 제공

 

처음에는 영상속 인물이 가면을 쓴 사람이라고 생각했다.

 

그리고 몸에 털장식을 하고 다소 부자연 스러운 행동으로 무언가를 전달하려고 했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작품 소개를 보는 순간 당황했다는 표현이 가장 잘 어울릴 것 같다.

바로 피에르 위그 작품속 주인공은 인간이 아닌 원숭이라는...그리고 일본 느낌의 배경과 가면...

 

작품 구성 이유는 이러하다.

후쿠시마 주변 핵 배제 구역을 배경으로 한 <휴먼 마스크>는 자연적, 기술적 재앙 직후 버려진 도시 위를 항해하는 드론 영상과 함께 막이 오릅니다. 버려진 식당에서 어린 소녀의 얼굴 가면을 쓴 원숭이가 자신이 배운 동작들을 인형처럼 끊임없이 반복하다가 때로는 끝없이 기다리는 듯 멈춰 서 있습니다.

이 원숭이는 지시와 본능, 우연과 필연 사이를 오갑니다. 재앙이 일어난 직후 모든 것이 정지된 듯한 순간, <휴먼 마스크>는 유일한 매개자인 무의식적 배우가 뒤집어 쓴 인간 존재의 잔존하는 이미지를 보여줍니다. 이 영상은 우리가 모두 쓰고 있는 ‘인간’이라는 가면에 대한 질문을 던지고 있습니다.

 

| 블랙박스, 그라운드갤러리 지하

피에르 위그 '리미널 (Liminal)' 1층 작품감상을 마치고 지하로 한 층 내려가는데...

U움벨트 – 안리 (UUmwelt – Annlee) / 2018 – 2025

딥이미지 재구성, 스크린, 센서, 사운드, 향기
작가, 갤러리 샹탈 크루젤, 마리안 굿맨 갤러리, 하우저&워스, 에스더 쉬퍼, 타로 나수 제공. ©카미타니 랩 / 교토대학교, ATR

 

<U움벨트 - 안리>는 여러 상상력의 공동 제작 결과물입니다. 인간의 상상력이 비인간의 인지로 재구성되었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언어나 감각을 통해 전달되는 것과 같은 모든 알려진 표현 방식을 우회하고, 주체가 스스로 외부가 되어 결과를 미리 결정할 수 없게 됩니다.

작품의 이미지는 실재하지 않는 인물인 안리를 상상하는 누군가의 뇌 활동을 기록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에 의해 생성됩니다. 이미지는 지속적인 최적화, 학습, 인식 과정을 사용하는 심층 신경망에 따라 재구성됩니다.

일단 전시가 시작하면, 이미지 시퀀스들은 주변 조건들과 관련된 여러 매개변수들에 의해 끊임없이 수정됩니다.

 

사실 이 작품은 뭐가 뭔지...

 

그리고 피에르 위그의 두 번째 어항작품...

캄브리아기 대폭발 16 (Cambrian Explosion 16) / 2018

수조, 투구게, 화살게, 아네모네, 모래, 바위 / 작가, 하우저&워스 제공

 

캄브리아기(Cambrian Period)는 약 5억 4천만 년 전부터 4억 8천만 년 전까지의 시기로, 생명체의 급격한 다양화가 일어난 시기입니다. 이 시기에는 삼엽충, 아노말로카리스 등 다양한 해양 동물들이 등장했으며, "캄브리아기 폭발"이라는 대규모 생물 다양화가 일어났습니다. 해양 생태계가 형성되고, 동물들의 주요 분류군이 분화한 중요한 진화의 전환점입니다.

물에 떠 있는 이 바위는 중력에 문제가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검은 모래 위에는 대부분의 생명체의 시작점인 5억 4천만 년 전 캄브리아기 대폭발 당시에 출현한 고대 종 두 종이 살고 있습니다. 이 종은 원시 상태 이후 형태가 변하지 않은 살아있는 화석이나 다름없습니다. 이들의 본능적인 행동은 개체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지속되며 번식을 이어가면서 반복됩니다. <캄브리아기 대폭발 16>은 지속적인 시작입니다.

 

아래 영상 어항부분 왼쪽 모서리 확인!!!

반응형

 

마음의 눈 (S) (Mind’s Eye (S)) / 2022

재구성되어 형상화된 딥 이미지, 안리의 상상 이미지에서 만들어진 결과물 / 개인 소장

<마음의 눈>은 상상의 영역인 <U움벨트 – 안리>에서 추출된 정신적 이미지를 물리적으로 구현한 것입니다. 정신적 이미지는 실제로 마음에서 마음으로 순환하거나 주체들의 마음에서 외부화되어 물리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마음의 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화하는, 합성적이고 생물학적인 물질의 집합체가 됩니다.

 

음 이번 피에르 위그 '리미널 (Liminal)'  전시회는 역대급으로 난해한 전시회 중 하나가 되어가고 있다.

 

이번 리움미술관 지하 전시장 중앙에 있는 이 까만 물건은 무었인가?

처음에는 피에르 위그 작품이 아닌 무순 전기박스 정도로 생각하고 지나가는데...

 

일정 빈도로 어항에 불이 들어왔다가 꺼졌다가를 반복한다. 이번 피에르 위그 전시회에서 만나보는 세번째 어항

주기적 딜레마(엘 디아 델 로호) (Circadian Dilemma (El Día del Ojo)) / 2017

수족관, 장님동굴테트라(Astyanax mexicanus, 눈이 있는 것과 없는 것), 조류, 동굴을 스캔하여 떠낸 시멘트 주물, 검은 변색 유리, 위치 기반 프로그램
작가, 마리안 굿맨 갤러리, 뉴욕, 파리, 로스앤젤레스 제공

 

다양한 종의 테트라 물고기가 서식하는 수족관의 풍경은 멕시코 수중 동굴을 리모델링한 것입니다. 수백만 년 전 어두운 동굴에 들어온 테트라는 서서히 앞을 볼 수 있는 능력을 잃었습니다. 이런 이유로 멕시코 테트라는 장님 동굴 물고기(blind cave fish)라고도 불립니다.

작품의 제목은 동물, 식물, 곰팡이, 박테리아에서 관찰되는 하루 주기 리듬(circadian rhythm)을 의미합니다. 동굴 물고기의 주기는 변이를 겪었고, 시각과 관련된 유전자가 퇴화되어 눈이 멀게 되었습니다. 눈먼 동굴 물고기의 생체 시계는 이렇게 변화하여 하루 주기 리듬이 빨라지고 더 이상 지구의 24시간 자전을 따르지 않게 되었습니다. 수조 안에는 장님 테트라와 시력을 가진 테트라가 공존합니다. 따라서 두 가지 하루 주기 리듬이 동시에 존재하게 되었습니다.

수조의 변색 유리는 주변 환경에 반응합니다. 유리 안에 있는 액정으로 인해 유리가 투명해질 수도, 불투명해질 수도, 심지어는 검은색이 될 수도 있습니다. 유리는 빛의 양, 가시성, 날씨 관련 데이터를 받는 알고리즘에 의해 색이 변합니다. 수조의 위치와 환경에 따라 유리 색이 변화하여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며, 유리 양쪽 면의 가시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진화적 관점에서 볼 때 물고기의 시력은 회복되거나 상실될 수 있습니다.

 

이번 리움미술관 전시회 '피에르 위그 '리미널 (Liminal)'  마지막 작품소개입니다.

카마타 (Camata) / 2024 – 현재

기계 학습으로 구동되는 로보틱스, 자기생성 영상, 실시간 인공지능 편집, 사운드, 센서
작가, 갤러리 샹탈 크루젤, 마리안 굿맨 갤러리, 하우저&워스, 에스더 쉬퍼, 타로 나수, 안나 레나 필름 제공

기계의 집합체가 아타카마 사막에서 무덤 없이 발견된 인간 해골에 대해 알 수 없는 의식을 수행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이곳은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되고 건조한 사막으로, 천문학자들이 외계 행성, 즉 태양계 밖에 존재하는 행성을 연구하는 시험장이기도 합니다. 이 의식은 결코 끝나지 않는 장례 의식이자, 작업 극장이며, 특정한 주체성의 학습과 형성 과정처럼 보입니다.

영상은 선형성도, 시작도, 끝도 없이 영구적으로 자신의 편집을 수행하는 자기 제시입니다. 금색 구 안의 센서가 지속적으로 출력되는 이미지를 수정합니다. 이 수수께끼 같은 의식이 관람자 앞에서 실시간으로 전개되는 동안, 관람자는 서로 다른 현실들 사이의 거래, 신체 없는 존재에서 생명 없는 인간의 신체로의 전환을 목격합니다.

 

여기까지가 2025년 리움미술관 첫 전시회인 피에르 위그 '리미널 (Liminal)' 개인전 후기였습니다.

개인적으로는 감상후에 더 생각나는 전시회이지만, 난해한 부분은 상당히 난해하다는...

추천하기는 어려운 전시회라는 생각이네요.

 

 

자세한 설명은 생락, 전시장에 가면 알 수 있음

 

728x90
728x90

리움 미술관 마지막 소개입니다. 

지난 리움미술관 주차장 및 무료주차소개와 M1 상설전시실 3층과 4층에 이어 국보급 서화와 불고미술, 공예품을 만나불 수 있는 2층과 1층 전시장 소개입니다.

 

| 리움 미술관 고미술 상설 전시

리움미술관에는 선대 회장님이신 이병철 회장님이 수집해온 우리나라의 국보급 문화재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M1 전시관에 상설전시되어 있으며, 관람료는 무료입니다. 또한, 리움미술관 홈페이지 예약을 통해 관람이 가능하지만, 통상 예약 없이도 현장에서 입장이 가능합니다.

국보 청자동채 연화문 표형주자

 

리움미술관 상설전시관은 총 4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하 1층 로비에서 엘리베이터를 타고 4층에서부터 1층으로 내려가면서 작품을 관람하는 구성입니다. 4층은 고려 청자, 3층은 조선 백자 중심으로 전시되어 있으며, 오늘은 2층의 서화와 2층의 불교미술을 소개합니다.

 

 

4층과 3층 전시실 및 작품에 대한 소개는 아래 지난 포스팅 참고 하세요.

 

리움 미술관 상설 전시 예약 및 입장료 (M1 4~3F)

리움미술관 방문후기입니다. 보통 리움미술관에서는 M2 전시관 등에서는 특별전을 M1 전시관에서는 상설전을 진행 하는데요. 오늘은 M1 전시관에서 열리고 있는 리움미술관 상설전시 '고미술 

www.a4b4.co.kr

 

| 마리오 보타의 건축

리움미술관은 장 누벨, 렘 쿨하스 등 세계적인 건축가의 설계로 건축 되었는데요. 오늘 소개하는 M1 전시실은 기하학적인 건축으로 유명한 마리오 보타의 작품입니다.

 

마리오 보타(Mario Botta)는 스위스의 건축가로, 현대 건축계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하나입니다. 1943년 스위스 멘드리시오(Mendrisio)에서 태어난 보타는 독특하고 강렬한 건축 양식으로 유명합니다. 그는 종종 자연과의 조화를 강조하며, 그의 작품은 대개 대담한 기하학적 형태와 명확한 구조적 표현을 특징이 있는데요. 이곳에서 그의 특징을 만끽 할 수 있습니다.

 

리움미술관 고미술 전시관을 설계한 마리오 보타의 이야기는 아래에서...

 

 

Leeum Museum of Art

리움미술관 홈페이지입니다.

www.leeumhoam.org

 

또한 파리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수자 작가의 호흡과 조화를 이뤄 더 묘한 느낌을 주고 있습니다.

 

 

| 2층 감상과 취향 

이곳에서는 조선시대의 글씨와 그림 즉 서화 작품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특히 우리가 종종 들어봤던 대가들의 작품들을 한 곳에서 만나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2층 감상과 취향 서화는 실생활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도자기나, 예배를 위해 만들어진 불교미술품과는 달리 오롯이 감상을 위해 만들어진 예술품이었습니다. 2층에는 우리나라 예술사에 커다란 자취를 남긴 겸재 정선(謙齋 鄭敾),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 오원 장승업(吾園 張承業)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조선시대 화단을 대표하는 여러 화가들의 그림과 글씨가 전시되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고서화는 중국이나 일본 그림에 비해 과장이 적고, 자연스러운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입니다. 이러한 작품을 감상할 때 중요한 기준은 ‘아름다움’과 ‘격조’입니다. 그림의 세부 표현이 서로 잘 어울려 구도상의 균형을 이루고 있는지, 화면에 나타난 분위기가 한눈에 들어와 산만하지 않고 일관된 느낌을 주는지, 사물을 묘사한 선과 화면의 여백을 통해 운치 있는 세련미가 표현되었는지를 주의 깊게 살펴본다면 감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울러 전통을 토대로 새로운 미감을 보여주는 현대미술 작품을 함께 전시하고 있어,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느낄 수 있습니다.

 

 

어필 정조 조선, 1792년 종이ㆍ묵서 132.3x83.7cm

어필

조선 역사에서 빠질 수 없는 정조 (이산)의 친필 입니다. 사도세자와 혜경궁홍씨의 아들로 수 많은 드라마와 영화에서 다루어진 조선 22대 왕이기도 합니다. 이산 = 이서진... 뭐 이런 공식도 있고...

조선의 왕인 정조(正祖)의 친필 글씨로 어려서부터 자신을 보좌했던 신하에게 보낸 시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김종수와 정민시에게 이 시를 내려주고, 세상을 떠난 서명선의 집에는 제사를 위한 술을 보내준다고 되어 있다. 이들은 정조가 할아버지 영조의 뒤를 이어 왕을 계승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들로, 정조는 즉위 후 이들과 모임을 만들어 깊게 교류했다. 정조는 서예에 대한 관심이 각별했던 왕으로 여러 서예가들의 작품에 대해 품평을 하기도 하였으며, 본인 자신도 다양한 서체의 작품들을 많이 남겼다. 특별히 기교를 부리지는 않았으나 자연스러운 필치로 썼으며, 내용도 신하를 아끼는 솔직한 마음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항복 초상 이한철조선, 19세기비단ㆍ채색93.6x49.2cm

이항복 초상

옛날에는 오성과 한음이 아이들에게는 필독서였는데, 요즘은 어떤지... 지금 기준으로는 다소 왕권 중심의 이야기가 아니었나 하네요. 

어렴풋한 기억으로는 상당한 개구쟁이 친구로 기억 되는데요.  초상에서는 다소 심술많은 어르신으로 보이기도 하네요.

우리에게 ‘오성과 한음’의 일화로 알려져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이항복의 초상화다. 이항복은 임진왜란 때 왕의 피난을 호위하는 등 공적을 세웠으며, 국가에 여러 분쟁을 원만히 해결하여 왕의 신임을 얻었던 인물이다. 이 작품은 이항복이 죽은지 200여 년이 지난 19세기에 9세손인 이유원이 당시 최고의 화가였던 이한철에게 부탁하여 만든 초상화다. 일반적으로 초상화는 사망한 뒤 사당에 걸기 위해 만들어졌으나, 시간이 오래되어 손상되면 원본을 없애고 다시 모사하는데, 이 작품 역시 처음 그렸던 초상화를 모사한 것으로 생각된다.

 

 

금니산수인물영모도첩 조선, 16-17세기비단ㆍ금니각 27.2x22.3cm

금니산수인물영모도첩

금니화는 17세기에 매우 유행했던 방식으로 검게 물들인 비단에 접착제를 섞은 금 물감을 사용하여 그린 것으로 이러한 그림을 일컬어 금니화(金泥畵)라 부른다. 

 

이 기법은 주로 불교 미술과 관련된 작품에 사용되어 왔으며, 그 독특한 광택과 화려함 덕분에 예로부터 고급스럽고 권위 있는 예술로 여겨지면서 주로 사찰의 장식, 불경의 삽화, 불상이나 보살의 모습을 그리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그 화려함과 영롱한 색감 덕분에 종교적 신성함을 표현하는 데 적합했는데요. 불교미술이 아닌 금니화는 새롭네요.

이 화첩에는 8폭의 산수, 인물 그림과 8폭의 새와 동물 그림이 수록되어 있다. 인물화는 모두 자연 속에서 유유자적 즐기는 인물들을 그렸으며, 새와 동물 역시 평온한 분위기에서 평화롭게 노니고 있다. 이 시기는 임진왜란이 끝나고 매우 어지러웠던 때로, 이 그림처럼 세속을 벗어나 자연을 벗삼아 살고자 하는 주제의 그림이 많이 그려졌다. 크기 않은 화첩으로 되어있지만 꼼꼼한 필치로 공들여 그렸으며, 당시 유행했던 방식과 주제도 잘 나타나 있어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728x90

 

 

묵란도 대련이하응조선, 1888년비단ㆍ수묵128.0x30.0cm

묵란도 대련

조선 제26대 왕인 고종의 아버지로, 고종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면서 흥선대원군이 수렴청정을 통해 권력을 행사하면서 조선 말기와 일제시대의 혼란스러운 정치상황속에서 함께한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작품입니다.

거친 바위 위 날카롭게 피어난 이하응 특유의 난초가 서로 조화롭게 어우러져, 난초 그림의 대가였던 이하응의 능수능란 묘사력을 엿볼 수 있습니다.

흥선대원군이라는 호칭으로 더욱 잘 알려진 석파 이하응은 조선말 권력의 부침을 겪었던 정치가이기도 했지만, 그림도 잘 그리는 문인 화가였다. 특히 난초 그림을 잘 그려 그가 그린 난초를 호를 따서 ‘석파란(石坡蘭)’이라 따로 부르기도 한다. 이하응의 난초 그림은 잎의 굵고 얇은 변화가 심하고 끝이 송곳처럼 뾰족하고 날카로운 것이 특징이다. 이 작품은 두 폭이 한 작품으로 되어 있는 대련으로, 바위 위에 피어난 석란(石蘭)을 그린 것이다. 

 

고대명화첩 전(傳) 신사임당조선, 16-17세기비단ㆍ수묵각 29.7 x 26.5cm

고대명화첩

조선 중기의 문인이자 유학자, 화가, 작가이며 우리나라 대학자 율곡 이이의 어머니인 신사임당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입니다. 결이 고운 비단에 먹으로 그린 이 작품은...

이 화첩은 총 13면으로 그려져 있는데 그 중 그림이 9면, 글씨가 4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꽃과 새를 그린 7점이 대표작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반적으로 깨끗하고 섬세한 붓질과 화면의 한 쪽에 치우쳐 소재들을 배치하였는데, 이는 당시 유행했던 방식이었다. 배경을 단순하게 처리하고 여백을 살려 소박하면서도 여유 있는 정서를 화면 가득 표현하여, 조선 중기 화조화의 모습을 만끽할 수 있는 작품이다.

 

리움미술관 상설관 2층 서화가 전시된 공간의 분위기는 이렇습니다. 건물 전시공간에 기둥이 없는 것이 특징인데요. 탁 트인 느낌과 함게 눈앞의 작품은 물로 주변 작품을 한 눈에 감상할 수 있는 장점이 돋보이는 곳입니다.

 

방황자구산수도 장승업조선, 19세기 후반비단ㆍ수묵담채151.2x31.0cm

방황자구산수도

조선 말기의 대표적인 화가이면서 영화 취화선의 모델이기도 한 장승업의 작품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장승업의 호취도를 매우 좋아하는데요. 리움미술관 고미술관 전시된 방황자구산수도도 그의 매력을 잘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조선 말기의 대표 화가였던 장승업의 산수화다. 장승업은 산수, 인물화 뿐만 아니라 동물, 꽃, 새 등 그림의 모든 분야에서 시대를 대표하는 뛰어난 화가였다. 중국 원나라의 대표 화가인 황공망의 예술세계를 본받아 그린 이 작품은 장승업의 여러 산수화 중에서도 대표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당시에는 이 그림처럼 좁고 긴 화면이 유행했는데, 그 안에 그림을 그리기 위해 산, 바위, 나무, 인물 등 산수화의 여러 요소를 짜임새 있게 구성하였다. 채색도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수채화를 연상시키는 듯 맑고 깔끔하게 처리하여 화면 전체에 청량한 분위기를 더하고 있다.

 

《방황자구산수도》(倣黃子久山水圖)는 중국 고대 회화 중 중요한 작품으로, 원대의 유명 화가인 황공망(黃公望, 자는 자구)의 산수화 스타일을 모방한 것입니다. 황공망은 원대의 "사대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산수화는 필묵이 뛰어나고 구도가 엄격하며 기세가 웅장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특히 자연 경관의 광활함과 깊이를 표현하는 데 독특한 스타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황자구산수도

심사정은 조선 후기 산수화와 꽃 그림에 뛰어난 실력을 발휘했던 인물이다. 특히 산수화는 중국의 여러 화풍을 혼합하여 자신만의 개성적인 경지를 만든 화가로 잘 알려져 있다. 화면 상단에 ‘황공망의 필법을 따랐다’라는 제목이 있는데, 황공망은 중국 원나라를 대표하는 화가 중 하나로 조선의 많은 화가들이 그의 화풍을 따라하고 배우고자 했던 인물이다. 높고 웅장한 산을 그리고 그 아래 자잘한 나무를 그렸는데, 이는 당시 산수화를 그리던 기본 구도였다. 전반적으로 갈색 빛이 도는 옅은 채색을 사용하여 담담한 듯 차분한 표현법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방황자구산수도 심사정조선, 18세기종이ㆍ수묵담채121.0x52.0cm
경기감영도 조선, 19세기종이ㆍ채색135.8ⅹ442.2cm보물

경기감영도

이 작품은 인왕산(仁王山)의 연봉(連峰)들 아래로 넓게 펼쳐진 서대문 밖 경기감영(京畿監營) 일대의 풍경을 그린 12폭 병풍입니다. 지금으로 이야기하면 파노라마 사진 정도가 될까요. 각 폭에 하나하나 요소들을 감상하는 재미가 있는 작품이 바로 경기감영도 입니다. 아마도 그러한 이유 등으로 보물로 지정되지 않았을까...

 화면 오른쪽 끝의 제1폭에 서대문이 있고, 제5-7폭에 걸쳐서 경기감영이 보인다. 6폭 중앙에 감영의 본관 건물이 보이는데 건물 정면에는 임금의 덕을 베풀고 백성을 교화함을 뜻하는 '선화당(宣化堂)'이란 편액을 달았다. 감영 앞에는 관찰사의 행차 장면이 묘사되어 있고, 주변의 주요 지역과 시정의 여러 풍경도 보여 그림 보는 재미를 더하고 있다. 그림에 등장하는 주요 지역의 명칭이 조그맣게 쓰여 있어, 당시 서대문 일대의 모습을 짐작하게 해주는 좋은 자료가 된다.

 

팔인수묵산수도 유숙 외조선, 19세기 중반비단ㆍ수묵각 72.5ⅹ34.0cm

팔인수묵산수도

이 작품은 유재소(劉在韶)를 비롯하여 박인석(朴寅碩), 김수철(金秀哲), 조중묵(趙重默), 유숙(劉淑), 전기(田琦), 허련(許鍊), 이한철(李漢喆)까지 총 8명의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든 작품이 깔끔하고 격조가 있는 남종화(南宗畵)로 제작되었습니다. 이는 김정희가 추구하였던 것이 사의(寫意)를 중시하는 남종화(南宗畵)였으며, 서권기(書卷氣)와 문자향(文字香)을 발할 수 있는 학문을 바탕으로 한 풍부한 정신세계의 추구였기 때문에, 당시 작가들도 이러한 김정희의 뜻에 맞추어 그림을 제작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를 통해 김정희가 당시 조선 말기 화단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끼쳤는지에 대해 잘 알 수 있게 합니다.

 

반응형

 

고사한일도 이재관(1783-1849)조선, 19세기종이ㆍ수묵담채

 

고사한일도

큰 정원석과 쌓인 서적을 뒤에 두고 휴식을 취하고 있는 문인을 묘사한 그림으로, 선비의 한가로운 일상을 갼략하면서도 정취있게 묘사했습니다. 이재관은 순조, 헌종 연간에 활동했던 궁중화가로 아취있는 문인화풍의 작품을 많이 남겼던 작가입니다. 전반적으로 간결한 구도에 옅은 담채(淡彩)를 사용했는데, 이를 통해 화면 전체에 단아한 정취를 자아내고 있습니다. 선비 뒤에 있는 정원석, 파초 등은 당시 부유층이 정원을 꾸미는 대표적인 사치품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당시 조선사회에 널리 퍼졌던 호화사치풍조가 유행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공산무인도 최북(1720-?) 조선, 18세기종이ㆍ수묵담채39.9×37.1cm

공산무인도

호생관 최북(毫生館 崔北, 1712~1786)은 조선 후기 시 · 서 · 화를 겸비했던 최초의 여항 출신 직업 화가로 대가들의 화풍을 계승 · 변천하여 대담하고 파격적인 자신의 조형양식을 이룩한  조선후기 직업화가로 당시 유행하던 남종문인화를 기본으로 개성적인 필치를 구사했던 화가입니다. 

깊은 산속에 빈 정자를 그린 그림으로, 최북 특유의 거칠면서도 자유로운 필치가 돋보입니다. 정자 왼편에는 암벽과 폭포는 거친 필선에 먹과 청색 물감을 섞어 대담하게 표현하였습니다. 화면 상단에는 ‘빈 산에 사람이 없고, 물 흐르며 꽃피네(空山無人, 水流花開)’라는 제발(題跋)이 있어 작품의 주제와 그림의 분위기를 한껏 높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화면 중앙에 작가의 이름과 자(字) ‘七七’을 새긴 인장을 찍었는데, 일반적인 낙관(落款)의 위치를 벗어난 곳에 있어 최북의 자유분방했던 성격도 느낄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리움미술관 상설전시관 2층 서화공간입니다.

한 층 아래로 내려가서 마지막 공간인 불교미술 소개입니다. 이곳에서 가장 화려하면서도 독특한 작품들이 모여 있는 공간이기도 합니다.

 

| 1층 권위와 신앙, 화려함의 세계 

인도에서 발원한 불교는 삼국시대인 4세기에 중국을 거쳐 이 땅에 처음 전래되었습니다. 그 후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불교는 오랫동안 문화와 미술에 큰 영향을 끼쳐 왔습니다. 신앙의 대상으로서 만들어진 불상에서는 인체를 통해 신성(神性)을 표현해낸 뛰어난 예술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려시대의 불화는 동시기 중국이나 일본의 불화와 뚜렷이 구별되는데, 섬세한 표현과 독자적인 미감에서 차이를 보여줍니다. 

공덕을 쌓기 위해 불교 경전을 손으로 베껴 쓴 사경에서는 당시 사람들의 간절한 발원과 깊은 신앙심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함께 전시된 현대 조각은 인간 세계의 번민에서 벗어나 숭고함에 도달하고자 하는 불교미술의 주제와 어우러집니다
불교미술이 화려하게 꽃필 수 있었던 배경으로, 불교 전래 이전부터 발전했던 쇠를 다루는 야금의 전통이 있었습니다.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은 현세의 삶이 내세로 이어진다고 믿었기에, 무기와 금관을 비롯해 각종 금속제 장식품과 토기들을 무덤 속에 함께 묻었습니다. 화려하게 장식한 큰 칼과 금으로 만든 다양한 장신구들은 당시 지배 세력의 미적 취향과 권위를 잘 보여줍니다. 한편,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에 일상생활을 위해 만들어진 금속공예품에서는 다채로운 장식 기법과 정성이 돋보이는 세밀한 표현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금동 용두보당 고려, 10-11세기청동(靑銅)ㆍ도금(鍍金)높이 104.3cm국보

금동 용두보당

고려시대 청동품으로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작품입니다. 용두라는 이름으로 학창시절에 교과서에도 나왔던...

사찰에서는 멀리서도 그 존재를 알 수 있도록 입구에 당(幢)이라는 깃발을 달았습니다. 이 깃발을 메다는 장대를 ‘당간(幢竿)’이라 하고 이를 양쪽에서 지탱하는 두 기둥을 ‘당간지주(幢竿支柱)’라고 부릅니다. 

 

책이나 도록으로 접했을때는 작은 문화재로 알고 있었는데, 1미터가 넘는 높이를 보입니다.
역시 눈으로 봐야 감동은 배가 되는 듯...

 

이러한 당간을 작게 만들어 불전(佛殿)에 두기도 했는데, 금동으로 만들어진 이 용두보당이 그러한 예입니다. 아래에는 장방형(長方形)의 2층 기단을 마련하고, 그 위에 2개의 지지대를 세우고 한가운데에 별도로 만든 당간을 세웠습니다. 당간은 8개의 원통을 쌓아 올린 모양을 하고 있으며, 맨 위의 마디에 용의 비늘이 새겨져 있습니다. 당간의 끝은 용의 머리로 장식하였는데, 활달하고 호방한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리움미술관 상설전시관 1층 한 공간은 모두 작은 불상들이 전시되어 있는데요.

 

금동 여래 입상 통일신라, 8세기동(銅)ㆍ도금(鍍金)높이 25.0cm

금동 여래 입상

삼국을 통일한 신라가 중국의 당과 활발히 교류했던 8세기에는 국제적으로 유행했던 불상의 양식이 우리나라에 전해져 수용되었다. 이 불상은 여래의 신체 표현에 보이는 자연스러운 양감이나 광배와 대좌의 형태 등으로 미뤄보아 8세기의 작품으로 추정된다. 본존은 오른손을 들고 손바닥을 밖으로 향하여 두려워하지 말라는 뜻의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지었고, 왼손은 아래쪽으로 내려 중생의 소원을 만족시켜준다는 뜻의 여원인(與願印)을 지었다. 우수한 제작기술을 활용해 균형과 조화가 잘 어우러진 불상을 만들어낸 통일신라 장인의 미감을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금동 여래삼존 좌상

고려 말에서 조선 초에는 이 작품처럼 중앙의 부처와 좌우의 보살로 구성된 소형의 삼존불상이 상당수 제작되었다. 이들의 공통점 중 하나로 부처가 앉은 대좌에서 연꽃 줄기가 뻗어 나와 두 보살의 대좌로 연결되는 독특한 표현을 들 수 있다. 

 

중앙의 부처는 오른쪽 어깨가 드러나도록 옷을 입었고, 오른손은 무릎 부근으로 내려 손가락으로 땅을 가리키는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을 지었다. 뾰족하게 솟아오른 부처의 정수리에는 연꽃 봉우리 모양의 구슬이 올려져 있다. 두 보살은 불교 경전을 표현한 것으로 보이는 두루마리를 두 손으로 잡고 있다.

금동 여래삼존 좌상 조선, 15세기동(銅)ㆍ도금(鍍金)높이 12.0cm

 

리움미술관 상설전시관에는 국보 아미타여래삼존도 등 여러 다양한 국보 보물급 불화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지장도 고려, 14세기비단ㆍ채색104.0ⅹ55.3cm보물

지장보살도

지장보살은 지옥의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해 스스로 지옥에 들어가 한 명도 빠짐없이 구원하고 자신은 마지막으로 지옥을 나오겠다고 맹세한 보살이다. 이 그림에서는 상단에 주인공인 지장보살을 다른 신들보다 크게 묘사하여 그 상징적인 중요성을 강조했다. 지장보살은 머리에 두건을 쓰고, 오른손은 어깨 높이까지 올려 투명한 보주(寶珠)를 든 모습이다. 하단 좌우에는 사방에서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를 지키는 네 명의 천왕, 부처의 가르침을 수호하는 신들인 제석천과 범천, 그리고 지장보살을 곁에서 모시는 무독귀왕과 도명존자를 서로 짝을 지어 배치했다.

 

불설대보부모은중경 조선, 1415년종이ㆍ목판인쇄각 29.0x11.0cm

불설대보부모은중경

'불설대보부모은중경'은 불교의 발상지인 인도가 아니라 중국에서 성립된 경전이다. 우리나라에서도 고려 말 이래 많은 목판본이 제작될 정도로 중시됐다. 이 경전은 부모의 은혜와 자식의 효라는 가치를 강조하기 때문에 유교 중심의 조선사회에서도 지속적으로 인쇄되어 널리 보급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여기 전시된 판본에는 경문과 함께 모두 21가지의 그림이 실려 있다. 그중 어머니의 은혜를 열 가지로 정리하여 글과 그림으로 나타낸 부분이 특히 잘 알려져 있다. 경전 제목에서는 부모의 은혜라 적었지만 실제로는 어머니의 은혜를 강조한 점이 흥미롭다.

 

그리고 이어지는 금속 목공예품

 

금동 금강저ㆍ청동 오고령 고려, 10-14세기청동(靑銅)금강저: 길이 22.5cm 오고령: 길이 21.6cm

 

금동 금강저ㆍ청동 오고령

금강저는 고대 인도의 무기인 저(杵)에서 유래하였다. 불교미술에서는 신들이 든 무기로 묘사되며, 승려의 수행과 불교 의례에 사용됐던 도구이기도 합니다.

좌우대칭형의 이 금강저는 중앙의 손잡이에 세 개의 둥근 고리[?]가 있는 삼고저(三?杵)이다. 금강령은 종과 금강저를 결합해 만든 것으로 불교의식에서 소리를 내어 불보살을 찬탄하고 중생을 깨우치는 데 사용되었다. 금강령 중 손잡이를 오고저(五?杵) 모양으로 만든 것을 특별히 오고령이라 부른다. 이 오고령의 몸체에는 삿된 것을 제압하기 위해 분노한 표정을 지은 다섯 명의 명왕(明王)이 새겨져 있다.

 

 

청동은입사 포류수금문 향완 고려, 12세기청동(靑銅)ㆍ은입사(銀入絲)높이 30.4cm보물

 

청동은입사 포류수금문 향완

리움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보물급 금속공예품으로 향완은 향을 살라 불보살에게 향기를 공양하는데 사용됐던 향로의 한 종류입니다. 이 외에도 청동은입사 운룡문 향완 국보급 향완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이 향완은 청동의 표면에 홈을 판 후 가느다란 은선을 넣어 만든 아름다운 무늬로 장식되어 있다. 몸체에는 따뜻한 봄 햇살을 받아 피어난 버드나무 아래에 물오리가 한가로이 헤엄치는 물가의 풍경을 묘사하였고, 연꽃으로 장식한 위패(位牌) 모양 안에는 임금의 만수무강과 모든 중생이 깨달음의 세계에 들어가기를 비는 바람을 새겼다. 몸체에서 다리로 이어지는 아름다운 윤곽선과 서정적인 물가 풍경에서 고려 장인이 도달한 빼어난 예술적 경지를 엿볼 수 있다.

 

반응형

 

금동 소탑 고려, 13-14세기청동(靑銅)ㆍ도금(鍍金)높이 31.7cm

 

금동 소탑

고려시대에는 부처를 모신 법당의 내부를 장엄하고, 공덕을 쌓기 위한 목적에서 불탑을 작은 크기로 만드는 일이 유행하였다. 이와 같은 소형 탑들은 평면이 사각형이며, 여러 층을 지닌 목조 누각과 같은 모습이 많다. 이 탑은 기단(基壇)과 5층의 몸체, 상부를 마감한 상륜(相輪)으로 구성되어 있다. 군데군데에 금빛이 남아 있어서 본래는 금동탑으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탑신 1층의 네 면에는 난간이 돌려져 있고, 귀퉁이마다 밖을 향해 합장한 인물이 배치되어 있다. 탑신과 지붕의 세부 묘사에서 당시 목조 건축의 구조를 엿볼 수 있다.

 

금동 대탑 고려,10 - 11세기 청동(靑銅)ㆍ도금(鍍金) 높이 155.0cm 국보

 

금동 대탑

리움미술관 상설전시관 1층 권위와 신앙, 화려함의 세계 공간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빼앗은 작품입니다. 

규모와 디테일에 놀라움을 금하지 못하는 작품인데요. 역시나 리움이 소장한 국보급 문화재입니다.

불교가 크게 융성했던 고려시대에는 불탑을 조성하여 공덕을 쌓는 일이 널리 행해졌다. 하지만 모든 이가 많은 재화와 인력이 필요한 큰 탑을 만들기는 어려웠기 때문에 그 대신 단단한 금속으로 작은 탑들을 많이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유물은 우리나라에 전래되는 탑 모형 중 가장 크기가 크다. 탑의 표면에는 나무로 지은 탑의 구조를 섬세하게 표현하였고, 부처의 모습을 촘촘히 조각하여 장식하였다. 이 탑은 고려시대 사람들의 깊은 신앙심을 전해주는 동시에, 지금은 사라진 당시 목탑의 모습을 복원하는데 큰 도움을 준다.

 

반응형

 

 

삼국시대와 통일신라 시대 두 점의 보물

금동 빗장 일괄 통일신라, 8-10세기청동(靑銅)ㆍ도금(鍍金)높이 8.0cm보물

금동 빗장 일괄

통일신라시대 만들어진 금동제 자물쇠와 문이나 가구 등을 표면에 달아 자물쇠를 걸었던 고리로이뤄진 세트이다. 전체적으로 자물쇠의 기본적인 기능에 충실한 튼튼한 형태이며, 양 끝은 연꽃 봉오리 모양으로 장식하였다. 

 

통일신라시대의 석탑 표면에도 이와 유사한 형태의 자물쇠가 조각된 사례들이 있어 흥미롭다. 이로 미뤄볼 때 이 자물쇠는 불교 건축물이나 조형물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일괄품인 고리에는 자물쇠와 달리 화려한 문양이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어 기능성과 장식성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모습이 아름답다.

 

금제귀걸이

지금으로부터 1500여년 전에 우리 조상들이 착용한 금으로 만든 귀걸이 입니다. 

무슨 도구와 기술로 이렇게 만들었는지...

금제 귀걸이 삼국시대, 5-6세기금(金)태환이식: 길이 9.0cm보물

 

예나 지금이나 금은 귀한 보물로 당시에도 아무나 사용할 수 없는 값비싼 재료였기 때문에 왕실이나 높은 지위의 귀족들만이 누릴 수 있었습니다. 이 귀걸이는 금판을 둥글게 말아서 형태를 만든 후 그 표면에 눈으로 확인하기도 어려운 작은 금 알갱이들을 섬세하게 용접하는 방식으로 문양을 표현하였습니다. 이러한 금 알갱이를 이용한 정교한 장식을 누금 기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둥근 몸체 아래로는 금으로 만든 하트, 나뭇잎, 열매, 공 모양 등 다양한 형태의 장식들을 가는 금실로 연결해서 달아 화려함을 더하고 있는 아름다운 작품입니다.

 

 

왼쪽부터...
나전 국화당초문 팔각합 조선, 14-15세기, 나무ㆍ나전, 8.0 x 15.2 x 16.4 cm
나전 국화당초문 화형반 조선,14-15세기, 나무ㆍ나전, 높이 2.0, 지름 15.4cm
나전 국화당초문 붓 조선,14세기, 나무ㆍ나전, 높이 23.5, 폭 1.5cm

 

유례가 많지 않은 조선 초기의 나전칠기로서 이 시기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유물이다. 특히 오엽의 화형반은 매우 드문 예이다. 중앙에는 끝이 둥근 꽃잎을 가진 2중의 국화문을 배치하고, 그 주변에는 꽃잎 끝이 뾰족한 3중의 국화문이 둘러싸고 있다. 테두리에는 자개로 경계선을 두고 별 모양 꽃술과 둥근 꽃잎으로 구성된 국화문 한 줄을 두었다. 국화문의 흐름은 일정한 규칙이 보이지 않고 넝쿨이 서로 꼬인 듯한 특이한 표현이 나타나 있습니다.

 

은제 과대삼국시대, 5-6세기은(銀)길이 92.4cm

 

은제 과대

직물이나 가죽으로 된 띠의 표면에 사각형의 금속판을 붙여 만든 허리띠를 과대라고 부릅니다.

이 과대는 사각형의 금속판인 과판 34점와 띠고리 1점, 과대에 늘어뜨린 장식품[腰佩] 1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과대는 그 형태가 신라의 고분에서 출토되는 것과 거의 유사하다. 백제나 신라에서는 관직이나 신분에 따라 과대에 매다는 장식품의 재료, 색, 수량에 차이를 두었다. 이에 따라 과대는 옷을 여미기 위한 실용적 기능 보다는 지배계급의 권력과 부를 상징하는 장신구로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집모양 토기 가야, 4-5세기점토(粘土)높이 16.8cm

 

집모양 토기

저는 이런 토기작품들을 좋아 하는데요. 리움 미술관 상설전시관에서도 몇 점의 토기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투박하지만 순수함과 묘한 매력을 보여주는 가야시대 토기 입니다.

오래전 우리 조상들은 죽은 후에도 생전과 같은 생활이 지속되기를 바랐다. 그래서 죽은 이의 무덤에 생전에 쓰던 귀중품이나 다양한 모형 등을 함께 묻는 풍습이 유행했는데 이러한 물건을 명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 작품 역시 토기로 만든 집 형태의 모형으로 죽은 이를 위한 명기라 할 수 있다. 무덤 속에서 나온 이러한 모형들은 당시의 집과 건축물이 남아 있지 않은 오늘날 오래 전 조상들의 삶을 엿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여기까지가 리움미술관 M1 상설전시관 2층의 서화와 1층의 불교미술 공예 소장품 소개였습니다.

중력의 계단 올라퍼 엘리아슨2014알루미늄, 황동, 스테인리스 스틸, LED 조명, 미러 포일, 컬러필터 포일, 변압기780 x 333 x 2,300cm

| 중력의 계단

상설전시관은 나오면 덴마크 출신의 작가 올라퍼 엘리아슨 (Olafur Eliasson)의 중력의 계단 작품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자연을 미술관 안으로 들여온 설치작품으로 유명한 작가 올라퍼 엘리아슨은 태양, 물, 이끼, 안개, 비, 무지개와 같은 자연의 현상 그 자체를 다룬다. 작가는 도시의 사람들이 날씨와 자연을 경험하는 방식이 다방면에서 도시에 의해 영향받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우리가 일상적으로 경험하지만 제대로 지각하지는 못하는 자연과 매우 유사한 물리적 현상을 정교하고 섬세하게 작품으로 연출한다. 2003년 테이트 모던에 설치한 <날씨 프로젝트>로 명성을 얻었으며, 미술관 공간뿐 아니라 실제 삶의 공간으로까지 그 실험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LED로 형상화된 태양계 행성들은 천장과 전면의 거울로 인해 완결된 구형으로 보이지만 사실 절반 혹은 4분의 1만 실재하는 것이다. 이 작품은 거울과 거울에 반영된 관람자의 모습으로 관계의 미학을 형성했던 엘리아슨의 대표작 <날씨 프로젝트>를 환기시키며 관람자를 작품의 세계 속으로 몰입시킨다. 거대한 태양을 비롯한 행성들의 위치는 관람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관람자는 다른 행성에서 우주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경험할 수 있다.
728x90
728x90

이태원에 위치한 삼성 리움미술관 주차 및 주차장, 주차요금정보 공유합니다.

올해 들어서 주차장 시설에도 변동이 있는데요. 이 부분도 자세하게 설명합니다.

 

 

리움미술관은 상설전시관과 특별전시가 진행되는데요.최근 '필립 파레노: 보이스' 전시회가 종료되고 9월에 새로운 전시회 오픈을 위해 준비중에 있다고 합니다. 이번 리움미술관 전시회는 어떤 콘셉일지...

 

| 리움미술관 주차장 혼잡도는 그때그때 다르다.

리움미술관 주차장은 지하1층에 출입구가 위치해 있습니다. 네비게이션 안내에 따라 오시면 큰 어려움은 없습니다.

주차장이 협소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유명 작가의 무료 전시회가 진행되면 주차장 이용은 하늘의 별따기 입니다. 그냥 주차장 차단하고 한 대 나가면 한 대 입차시키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그렇다고 길가에 정차해 있을만한 공간고 없다는... 빙빙 돌다가 운 좋으면 입차할 수 있는 상황이 생깁니다.

 

무료 + 유명작가 전시회 방문이라면 오전일찍 방문하시고 리움미술관 주차장에 주차 후 관람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다만 유료전시회가 열릴때에는 주차장이 여유있는 것 같네요. 이번에는 유료 전시회인 ' 필립 파레노: 보이스' 전시회 방문 기준으로 정리합니다.

 

 

주차장 진입은 지하 1층으로 하는데요. 이곳 지하 1층 주차장은 VIP나 업무관련 방문객 주차장으로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728x90

 

| 전시회 관람객은...

입구에서 전시회 관람객이라고 밝히면 입구 왼쪽 끝에 있는 주차장 리프트로 안내받게 됩니다.

이렇게 생긴 대형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하 3층 주차장으로 내려가게 됩니다.

 

주차장 리프트 이용을 위해 차량에서 하차 할 필요는 없습니다. 엘리베이터 문앞 감지기위에 차량이 있으면 자동으로 인식하고 엘리베이터가 작동합니다. 엘리베이터에 차량이 들어간 이후 B3 버튼과 닫힘 버튼 누르면 지하 3층 리움 주차장으로 이동합니다.

 

| 공간 넓고 여유 있다.

리움 미술관 주차장리프트는 제가 경험해본 자동차 엘리베이터 중에서 가장 넓은 공간을 보입니다. 앞뒤 좌우폭은 물론 위 높이도 매우 높습니다. 중대형 승용차도 큰 어려움 없이 차량 입출고가 가능합니다.

 

 

리움 미술관 주차장 지하 3층입니다. 주말 오후에 방문 했는데도, 주차 공간에 많은 여유가 있네요.

큰 어려움 없이 주차 잘 했고요. 주차장 차간 간격도 여유있게 구성되어 있어 주차에 어려움은 전혀 없습니다. 운전에 익숙하지 못한 초보운전자 분들도 큰 어려움 없어 보입니다.

 

 

| 전기차 중전기 사라짐

작년 방문에는 지하 3층에 르노나, 쉐보레, 현기의 전기차 중전이 가능한 AC / DC 전기차 충전소가 리움미술관 지하에 있었는데요. 이번에 방문하는 해당 위치의 전기차 충전기는 철거 되었습니다. 다른 공간으로 이동한지는 확인하지 못했네요.

 

| 지하엘리베이터도 작품이다.

지하 3층 주차장에 주차후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며 리움미술관 메인 전시장인 M1, M2가 위치한 지하 1층 공간으로 이동하시면 됩니다.

 

| 보색잔상 : 토요히사 쇼조

지하 주차장과 전시장으 이어주는 바로 이 엘리베이터는 토요히사 쇼조의 보색잔상 이라는 LED 적품입니다.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붉은색 파란색 등 다양한 색상이 연출 되는데요. 인지하지 못하고 처음 탑승하신 분들은 놀라실 수 있네요.

(동영상이 어디론가 사라졌네요._

 

| 리움미술관 주차장 주차요금

리움미술관은 별도의 주차요금이 정책이 없습니다. 이용시간과 상관없이 별도 주차요금 부과는 없으며, 출차시 정산없이 바로 출차하시면 됩니다.

 

| 리움미술관 M1 상설전시관

리움미술관은 핫한 기획전시도 뛰어나지만 선대부터 수집해온 국내 국보급 미술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상설전시관도 추천 드립니다.

 

 

반응형

 

 

전시된 작품들도 매력적이지만 전시공간 자체가 하나의 예술작품입니다.

 

리움미술관 상설전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지난 포스팅 참고 하세요.

 

리움 미술관 상설 전시 예약 및 입장료 (M1 4~3F)

리움미술관 방문후기입니다. 보통 리움미술관에서는 M2 전시관 등에서는 특별전을 M1 전시관에서는 상설전을 진행 하는데요. 오늘은 M1 전시관에서 열리고 있는 리움미술관 상설전시 '고미술 

www.a4b4.co.kr

728x90
728x90

리움미술관 방문후기입니다. 보통 리움미술관에서는 M2 전시관 등에서는 특별전을 M1 전시관에서는 상설전을 진행 하는데요. 오늘은 M1 전시관에서 열리고 있는 리움미술관 상설전시 '고미술  소장품' 전시회 소개합니다.

 

| 리움 상설전 & 오디오가이드 무료, 티켓팅 필수

리움미술관 전시의 경우 상설전은 무료로, 특별전은 유료 또는 무료로 관람이 가능합니다. 제가 방문한 날 특별전은 필립 파레노 '보이스'전시회가 M2에서  열리고 있었는데요. 저는 유료 티켓으로 상설전 입장 했습니다.

만약 리움미술관의 무료 전시인 상설전만 관람한다고 해도 로비에서 티켓팅 후 입장이 가능합니다.

 

리움 '필립 파레노 보이스 후기' 예매, 할인, 도슨트, 오디오가이드

리움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프랑스 출신의 작가 필립 파레노의 국내 첫 개인전인 보이스 관람후기 입니다. 그의 대표작품 40여점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로 전시회 후기는 물론 도슨트, 티켓할

www.a4b4.co.kr

 

| 로툰다 or 로톤다 (rotunda)

리움 미술관 M1 전시실은 총 4층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엘리베이터를 타고 4층으로 올라가서 다시 한 층씩 내려오는데요. 나선형의 계단을 내려오면서 한 층 한 층 이동이 가능합니다. 계단은 아니지만 미국 뉴욕의 구겐하임 미술관이 생각나더라는...

 

 

리움미술관 M1의 전시구성입니다.

4층의 고려청자로 시작해서, 분청사기와 백자...불교미술 및 금속공예 까지 약 120여점의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리움 M1 4F : 푸른빛 문양 한 점 

 

청자는 전 세계에서 중국과 한국 등 극소수의 나라에서만 제작되던 매우 특별한 자기이다. 깨끗하게 걸러낸 점토로 그릇을 만들고 그 위에 푸른색의 투명한 유약을 씌워 구워내는데, 전라남도 강진과 전라북도 부안에서 집중적으로 생산되었다. 특히 12세기부터 13세기 전반에 걸쳐 가장 우수한 청자들이 만들어졌다.

 

728x90


우리를 사로잡는 청자의 가장 큰: 특징은 우아하고 세련된 형태와 은은하고 신비로운 푸른빛이다. 청자의 푸른빛을 고려 사람들은 비색( 쓰)이라 표현하며 각별히:여겼는데, 그중에서도 은은한 기품이 느껴지는 것을 최상급으로 꼽았다. 청자의: 비색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현대 유화를 통해서도 청자의 미묘한 색감 변화를 느껴 볼 수 있다.

여기에 다양한 장식 기법이 더해지면서 청자는 더욱 다채로운 모습으로 발전했다. 고려 사람들의 창의성이 유감없이 발휘된 상감청자는 경탄을 자아낼 만큼 아름다워, 가장 자랑할만한 우리 문화재이기도 하다.

 

리움을 대표하는 고려청자 두 점, 교과서에서도 만났던...

청자동채 연화문 표형 주자

고려, 13세기, 점토(粘土), 총 높이 32.5cm, 국보

 

표주박 모양을 본떠 만든 몸체에 연꽃잎을 감싸 장식한 주자로 고려청자에 사용되는 대부분의 장식 기법을 하나로 조화시켰다는 점에서 만든 이의 창의성이 돋보이는 작품이다. 구리 안료를 사용해 테두리를 붉게 장식한 연꽃잎에서는 화려함을, 연봉오리를 안고 있는 동자의 표정을 통해서는 명상적이고 서정적인 분위기도 느낄 수 있다. 

 

이 밖에 선을 새기는 음각, 장식을 도드라지게 표현하는 양각, 표면에 흙물을 올리는 퇴화 등의 장식 기법이 함께 사용되었다. 수많은 고려청자 가운데서도 예술성과 호화로움이 단연 뛰어난 작품으로 고려 시대 최고 상류층인 왕실과 귀족이 사용했을 것으로 여겨지는 최고급 청자이다.

 

청자상감 운학모란국화문 매병

고려, 13세기, 점토(粘土), 높이 31.2cm, 보물

 

 

형태가 아름답고 안정감이 돋보이는 고려 중기의 작품이다. 표면에는 구름을 헤치고 하늘을 나는 학을 배경으로 모란과 국와를 가득 상감하였는데, 이처럼 전면을 상감으로 화려하게 장식한 예는 극히 드물다. 학과 구름 하나하나가 붓으로 그린  듯 자연스럽고, 국화와 모란의 구성도 억지가 없어 자연미를 조화롭게 장식한 솜씨가 놀라울 정도이다. 해맑은 청자의 색을 하늘로 삼아 땅의 꽃과 하늘의 학이 어우러진 정경에서 고려인이 꿈꾸던 이상향을 보는 듯 하다.

 

리움미술관 4층 '푸른빛 문양 한 점' 전시실은 빛에 약한 미술품들이 많다 보니 실대는다소 어둡고 음침한 분위기를 주기도 하는데. 무엇보다도 작품에 집중된 조명과 배치를 볼 수 있다.

 

청자상감 기사명 포류수금문 대접

고려, 1329년, 점토(粘土), 높이 7.1cm, 입지름 20.9cm, 굽지름 7.3cm

고려 14세기에는 그릇 일부에 생산된 해를 뜻하는 간지(干支)가 표시된 상감청자가 제작되었다. 간지를 표시한 이유는 세금으로 청자를 거두어들일 때 중간에 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히 관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그릇은 바닥에 ‘기사(己巳)’라는 명문이 있어 1329년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릇 안쪽은 갈대와 버드나무, 물새로 장식하였고, 바깥쪽은 당초문을 바탕으로 중간중간 국화를 상감하였다. 장식도 아름답지만 제작된 시기를 정확히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한 대접이다.

 

청자철화 초문 반

고려, 12세기, 점토(粘土), 높이 9.8cm, 입지름 40.2cm, 굽지름 29.4cm

 

물을 담을 수 있는 넓고 깊은 몸체에 편평한 테두리가 달린 청자이다. 이런 형태의 청자를 반이라고 부르는데, 반은 고려 전시기에 걸쳐 제작되었던 종류로 추정되지만, 현재 전하는 것은 이 작품과 같이 12세기의 것이 많다. 이 작품은 안바닥 중앙과 테두리 세 곳에 철 안료로 간결하게 당초문을 장식했다. 무심한 듯 투박한 기형도 좋지만, 짙은 철안료 장식 또한 잘 어우러진 작품이다.

 

청자퇴화 국화문 합

고려, 13세기, 점토(粘土), 높이 3.5cm, 몸체지름 7.8cm, 굽지름 4.3cm

 

용기와 뚜껑이 같은 크기로 꼭 맞고, 납작한 모양을 하고 있는 종류를 합이라고 부른다. 화장용구로 사용되었는데, 내용물이 함께 전하는 경우는 드물다. 이 합은 평면과 사선, 직선이 교차하며 만들어 내는 단정한 형태 뿐만 아니라 동심원과 별 모양과 같은 독특한 문양 구성 또한 돋보이는 작품이다. 백색과 흑색을 내는 흙 물로 장식 공간을 만들고, 그 사이를 국화와 점선문으로 마무리하였다. 여러 점과 선이 한데 모여 만들어내는 일체감이 특별하게 다가오는 수작이다.

 

청자양각 모란당초문 기와

고려, 12세기, 점토(粘土), 41.0x27.2cm

 

수막새와 암막새가 짝을 이루는 청자 기와 일괄품이다. 수막새는 앞면을 모란문과 연속된 구슬문양으로 장식하였다. 암막새는 앞면에 율동적인 덩굴 문양을 도드라지게 표현하였다. 청자기와의 존재는 『고려사(高麗史)』 세가(世家) 의종(毅宗) 11년 조에 “양이정(養怡亭)을 신축하여 청기와를 이었다”라는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이 기와도 기록에 즈음한 1157년 전후에 제작되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리움 미술관 M1 4F : 푸른빛 문양 한 점 전시관 한 공간에는 수십개의 청자 잔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어떤 잔은 가까이서 감상이 가능하지만 일부  작품은 거리를 두고 감상할 수 있습니다. 

 

청자 잔ㆍ잔탁

고려, 11-12세기, 점토(粘土)

 

고려 시대 만들어진 잔과 잔 받침은 차를 마시거나 술을 마실 때 사용했다. 차를 마시기 위한 잔은 대체적으로 크기가 조금 더 크며, 술을 마시기 위한 잔은 크기가 작으며 굽이 조금 높은 경향을 보인다. 최고급 잔의 경우 금이나 은으로 제작하였지만, 청자로 이를 번안하여 제작한 잔도 고급품으로 사용되었다. 정신을 맑게 하는 차 뿐 아니라 흥취를 느끼게 하는 술도 담아 마신 청자를 통해 고려 사람들이 누렸던 여유를 만날 수 있다.

 

다소  좁게 느껴지는 공간이지만 기존 우리에게 알려진 화려하고 크기 있는 청자가 아닌 작은 크기의 청자들을 한 공간에서 만나볼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반응형

 

리움 M1 3F : 흰빛의 여정

분청사기는 15-16세기에 우리나라에서만 제작된 독특한 자기로, 한국미의 원형을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는다. 고려 말 상감청자의 전통을 바탕으로 조선초기부터 본격적으로 제작되었는데, 그 형태와 장식이 점차 다채로워지고 각 지방의 정서에 어울리는 특색이 가미되었다. 이렇게 여러 세기에 걸쳐 다양한 지역과 계층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동안 깔끔한 형태에 정교한 무늬를 새겨 넣은 작품이 있는가 하면, 거칠고 투박한 모양에 단순한 무늬가 자유롭게 표현된 작품도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오면서 분청사기는 지금 우리에게 익숙한 질박하고도 자연스러운 분위기를 갖게 되었다.


 조선은 절제된 형태와 순백의 유색, 정결한 장식이 더해진 격조 높은 백자문화도 발전시켰다. 백자는 순백의 흙으로 형태를 빛어 단정하게 다듬고 그 위에 빛깔이 있는 안료로 그림을 장식한 후 표면에 맑고 투명한 유약을 입혀 구워낸다. 이렇게 완성된 백자에는 온유하면서도 엄정한 기품이 담겨 있다. 초기에는 왕실 등 지배층의 취향에 맞게 만들어졌지만, 점차 사용이 확대되어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자기로 자리를 굳혔다. 백자는 전국 각지에서 생산되었지만, 경기도 광주 관요에서 왕실용으로 제작된 백자를 최고로 꼽는다. 이처럼 흙을 재료로 이룩해낸 공예 예술은 오늘날 한국 현대미술의 추상성과 맞닿아 특별한 울림을 선사한다. 

 

분청사기상감 용문 매병

조선, 15세기, 점토(粘土), 높이 29.6cm, 입지름 6.0cm, 굽지름 10.8cm

 

고려 상감청자의 전통을 잇는 분청사기 매병입니다. 분청사기는 ‘분장을 한 회청색 사기’라는 의미이지만 조선 초기 상감분청사기는 이 작품처럼 분장을 하지 않아 사실상 청자에 가깝습니다. 매병 중앙에 과감하게 새겨 넣은 용은 몸을 힘차게 휘감으며 왼쪽을 향하고 있고, 얼굴은 흑백의 선으로 간결하게 표현해 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용의 표현은 14세기 전반 고려청자 때부터 이어져 온 것으로, 그 연원을 더 거슬러 올라가면 원나라에서 새롭게 제작되기 시작한 청화백자로까지 이어집니다.

 

분청사기인화 승렴문 병

조선, 15세기, 점토(粘土), 높이 23.2cm, 입지름 3.1cm, 굽지름 4.4cm

 

가늘고 긴 목과 펑퍼짐한 하부를 동시에 갖고 있는 병이다. 몸체 외면은 도장을 찍는 기법으로 새끼줄과 같은 문양을 빽빽이 시문하였는데, 도장의 세로 길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일곱 개의 문양대가 형성되었다. 목 아래의 첫 문양대는 가로선을 그어 명확히 구분하였고, 목은 문양없이 비워놓아 분위기를 단숨에 전환하는 점이 매력적이다. 인화 분청사기가 널리 제작되던 15세기 전중반의 예를 잘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분청사기철화 초화문 장군

조선,16세기,점토(粘土), 높이 18.8cm, 입지름 4.9cm, 굽 13.6x8.8cm

 

굽이 붙어 있는 원통형의 장군으로 기면을 가득 채운 철화 문양이 거침이 없으며 화려해 보인다. 거친 붓으로 두텁게 흰 흙을 분장한 후 입 주변에 테두리를 둘렀는데, 그 아래로 덩굴 분양을 몸체 가득 시문하였다. 측면 한쪽은 또 다른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굽을 추가해 붙였고, 다른 측면에는 연꽃을 도안화하여 장식하였다. 이처럼 철안료를 사용하여 분청사기를 장식한 예는 충청남도 계룡산 가마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분청사기조화 모란문 편병

조선, 15세기, 점토(粘土), 높이 21.3cm, 입지름 5.6cm, 굽지름 7.7cm

목이 잘록하고 몸체는 원반을 합쳐 세워놓은 듯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것을 편병이라고 한다. 이 편병은 흰 흙을 얇게 칠하고, 조화 기법으로 모란 잎을 좌우 대칭되는 구도로 그린 뒤 그 위로 꽃봉오리가 소담하게 피어나는 모습을 정갈하게 표현하였다. 측면은 상하 두 단으로 구획하여 바람개비 모양의 꽃 문양을 시원스럽게 장식했다. 질박한 형태와 담백한 문양의 어울림이 좋아 분청사기 특유의 맛이 잘 살아 있는 작품이다.

 

 

백자상감 연화당초문 병

조선, 15세기, 백토(白土), 높이 31.2cm, 입지름 7.4cm, 굽지름 9.6cm

 

조선 초기 백자 중에는 고려 상감 기법의 전통이 녹아있는 ’흑상감 백자’라 부르는 부류가 있다. 이 작품은 흑상감 백자의 하나로 조선 초기의 전형적인 병에 덩물과 결합한 연꽃을 표현하였다. 구불구불 뻗어가는 덩굴의 움직임은 매우 가볍고 경쾌한 반면 중앙에 배치한 연꽃은 상감으로 흑색을 입혀 묵직하게 중심을 잡아주고 있다. 흰 바탕과 검은색 문양의 명료한 색 대비가 만들어내는 차분하고 정갈한 분위기가 일품이다.

 

백자청화동채 운룡문 호

조선, 19세기, 백토(白土). 높이 30.4cm, 입지름 11.4cm, 굽지름 10.9cm

 

구름 속을 헤치고 등장하는 용의 모습을 박력 있게 표현해낸 조선 후기의 호입니다. 용과 구름으로 장식한 백자 호는 조선 초부터 의례용 왕실 백자로 특별히 제작하여 관리해왔지만, 조선 말에 가까워서는 민간에서도 사용하는 인기 있는 장식이 되었습니다.

 

이 호는 위쪽과 아래쪽에 보조적인 문양은 생략하고, 몸체 중앙의 용과 구름에만 집중했기 때문에 힘찬 기운이 더욱 잘 전달됩니다. 부분부분 짙은 동 안료를 활용해 채색 효과를 냈는데, 이러한 변화 또한 왕실백자와는 다른 특징입니다.

 

백자청화 화조문 호

조선, 18세기, 백토(白土), 높이 26.2cm, 입지름 12.1cm, 굽지름 12.2cm

 

청화백자의 장식으로 꽃과 새가 결합한 예는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다양한 예를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 호는 넓게 펼쳐진 몸체 면을 화폭 삼아 꽃나무와 그 위에 앉아 있는 새 두 마리의 도상을 앞, 뒤로 그려 넣었습니다. 여기에 그린 꽃은 모란이나 매화인 경우가 많으며, 가지 위의 새는 서로 마주 보고 앉아 있어 서로 정답고 화목한 모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자철채투각 포도문 화분대

조선, 19세기, 백토(白土), 높이 26.0cm, 굽지름 19.4cm

 

조선 문인들은 식물을 화분에 심어 가까이에 두고 감상하며, 식물이 상징하는 고매한 인품과 학자적 경지를 닮고자 노력했다. 이 백자는 화분을 받치는 용도로 사용된 것으로 몸체 전면에 베풀어진 화려한 투각 기법이 빼어나다. 몸체 중앙에는 네 송이의 포도가 잎, 덩굴과 함께 투각 되었다. 포도와 덩굴을 철안료로 채색하여 잎이 더욱 밝은 기운으로 다가오는 것이 특징이다.

 

백자 대호

조선, 18세기, 백토(白土), 높이 48.0cm, 입지름 21.5cm, 굽지름 19.0cm

 

형체가 당당하고 표면의 마무리가 깔끔한 백자 항아리로 18세기 청화백자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전형적인 형태이다. 상단은 달항아리의 절반과 같고 하단은 내려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데 이러한 형태를 입호(立壺)라고 부른다. 몸체 상부는 당당하고, 아래는 늘씬함에도 불구하고 불안정한 모습이 보이지 않고, 오히려 전체적으로 힘이 맺힌 독특한 아름다움을 발산하는 것이 특징이다. 양감이 특출하고, 형태가 아름다운 대형 백자 항아리이다.

 

조선의 백자가 더 궁금하다면?

작년초 리움미술관에서 열렸던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관람후기 참고하세요.

 

 

[서울 전시회 추천]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 리움 미술관

지난 2월 28일 부터 5월 28일 까지 이태원 리움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전시회 관람후기 입니다. 현재 리움미술관에서는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회와 함께 오늘 소개하

www.a4b4.co.kr

 

백자연적

조선시대 서화의 발전과 함께 빠질수 없는 작품 중 하나가 바로 연적이다. 

리곳 리움미술관 M1 에서도 여러 연적을 만나볼 수 있다.

 

 

 

반응형

 

백자음각 거북이형 계영배 받침

조선, 19세기, 백토(白土), 높이 6.0cm, 길이 11.6cm, 굽 9.0X6.6cm

 

네모진 몸체의 거북이가 두 마리의 학으로 장식된 타원형의 잔 받침을 등에 이고 있는 독특한 형태의 백자입니다. 본래는 잔 받침 위에 계영배(戒盈杯)라는 특수하게 고안된 잔까지 있는 것이 한 세트이지만 현재 잔은 전하지 않습니다. 계영배는 ‘가득 차는 것(盈)을 경계(戒)’하는 잔이라는 뜻으로 잔에 술을 일정 이상 지나치게 따르면 잔 내부의 관을 통해 전부 빠져나가게 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빠져나온 술은 받침의 구멍을 통해 거북이 몸체에 저장됩니다.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기 시작했으나 조선 수요층의 기호가 반영된 기술적이고도 재미난 백자입니다.

 

 

오늘은 리움미술관 상설  전시관 4층과 3층의 작품을 만나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2층과 1층의 서화와 불교미술 수개합니다.

 

서울 중심부인 이태원에 이렇게 잘 관리되고 꾸준히 운영되는 미술관이 있다는 것도 복!!!

 

728x90
728x90

최근 너무나도 핫한 이탈리아의 조각가이자 행위예술가인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회 다녀 왔습니다. 이번 전시회는 이태원 리움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데요. 오늘은 리움 미술관 주차 요금 및 주차장 소개와 함께. 리움 전기차 충전소 정보고 공유합니다.

 

 

| 만차 & 대기할 수 없는 리움 주차장 입구

사진에 보이는 곳이 리움미술관 주차장입구입니다. 역시나 주차공간은 소문과 같이 만차 상태입니다.

직원 분께서 주차 차량이 한대 출차하면 입구 만차 표시를 치우시고 입차를 받고, 입차하면 다시 막고 하는 작업을 반복하시는데요. 다른 주차장처럼 주차장 입구에 길게 대기줄을 서지 못합니다. 그냥 빙빙 돌다가 운 좋으면 입장하는 방법입니다. 리움 주차장 대기 순서는 없다는...

 

| 지하 주차장 주차장 리프트 이용

리움 주차장은 지하 1층과 지하 3층에 있는데요. VIP나 초대형 차량 등 특수한 차량을 제외하고는 지하 3층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리움 지하주차장 이동은 차량용 주차장 리프트를 이용해세 셀프로 이동하셔야합니다. 운전자와 동승자 탑승해서 같이 이동이 가능하고요. 엘리베이터 공간과 길이도 넓어서 대형 SUV 차량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막상 위에서는 만차 이지만 리움 미술관 지하 3층 주차장으로 내려오니 상당히 여유있어 보입니다. 빈 공간도 많이 있고 주차장 차량 간격은 아주 넓지도 좁지도 않더라는, 큰 어려움 없이 주차합니다.

 

반응형

 

| 리움 미술관 전기차 중전소 정보

사진과 같이 3대가 동시 충전이 가능한 전기차 충전 시설이 리움 미술관 지하에 위치해 있습니다.

 

리움 전기차 중전 아답터 방식은 AC상, DC 차데모, DC콤보를 지원합니다. 테슬라 전용 슈퍼차져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지하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리움 박물관으로 이동합니다.

 

| 엘리베이터도 하나의 작품

리움미술관 지하 3층 주차장에서 지하 1층 전시장으로 이동하는데요.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또한 하나의 작품입니다. 지하에 주차를 하지 않았더라도 엘리베이터 한 번 타고 이동해 보시기를 추천 드립니다.

 

엘리베이터 내부는 '토요히사 쇼조'의 보색잔상이라는 작품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엘리베이터에 탑승하면 내부 흰색 조명이 붉은 색으로 바뀌면서 이동하게 되는데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합니다. 직접 탑승해 보세요

 

728x90

 

| 리움 미술관 주차요금 

리움 미술관 주차장 이용은 무료입니다. 입장시관과 상관 없이 주차요금은 없습니다. 사실 리움미술관에서 진행하는 특별전과 상설전시, 야외 작품들을 감상한다고 하면 하루 종일 있어도 시간이 부족합니다.

주차 시간 및 주차요금 부담 없이 관람할 수 있는 부분은 상당해 매력적인 부분 중 하나입니다.

 

728x90
728x90

7월 16일까지 리움미술관에서 전시 예정인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 WE 전시회 관람후기 공유합니다. 또한 전시회예약팁과 주차정보, 오디오가이드 대여 등 관람정보 공유합니다..

 

| 한남동 리움미술관 M2 : 100% 사전예약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는 한남동 리움 미술관에서 오전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전시되고 있습니다. 100% 사전예약제로 운영되며, 한 시간 단위로 마우리치오 카텔란 예약이 가능합니다. 가격은 무료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매 관련 정보는 아래 지난 포스팅 확인해 주세요.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매 성공팁 및 티켓가격 @ 리움미술관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이탈리안 출신의 세계적인 조각가이자 행위예술가인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애 성공팁 공유합니다. |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바나나로 유명한 마우리

www.a4b4.co.kr

 
 

| 동훈과 준호 (2023)

전시장 로비에 전시되어 있는 작품입니다. 그냥 무관심하게 지나간다면 그의 작품인지도 알 수 없는 것이지만, 거리나 일반장소가 아닌 리움 미술관이다 보니 눈에 잘 띄기는 합니다.

미술작품이어서 그런지, 노숙자여서 그런지. 주변에는 사람이 없네요.

 

| 디지털 가이드, 신분증 필수

리움미술관에서는 갤럭시S21+로 세팅괸 오디오 가이드를 무료 대여가 가능합니다. 이어폰도 유선이 아닌 골전도 무선 이어폰이 제공되어 상당히 편하게 작품 감상이 가능한데요.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회 오디오 가이드 대여를 위해서는 신분증을 맡기셔야 합니다. 운전면허증이나 주민등록증, 명함도 가능하네요. 꼭 챙겨 가세요.

디지털 가이드는 목에 걸고 이용하는 방식인데요. 사양은 엄청 빵빵한 갤럭기21이지만 다소 무거운 불편함도 있네요. 그래도 완벽한 작품 감상을 위해서는 필수입니다.

 

드디어 전시장에 입장합니다. 저희는 토요일 오후 2시에 예약했는데, 대기줄도 없었고요 전날 전송된 문자메시지 접속을 통해 QR 체크인 후 바로 입장하였습니다. 기념으로 남길만한 실물 티켓이 없는 부분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었네요.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은 이탈리아 출신의 예술가로 상당히 충격적이고 실험적인 작품들을 선보이는 작가 중 한명입니다.  이번 리움미술관에서의 전시회는 그의 등단시기부터 현재까지 작업한 39점의 작품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 지하 1층 메인 전시장

리움 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장은 상당히 여유있게 전시되어 있습니다. 사람에 치이지도 않고 작품간 공간도 여유있어서 너무나 편하게 작품 관람이 가능했습니다.
전시장 가운데의 원형 카페트도 마우리치오 카텔란 WE 전시회에 전시된 작품입니다. 과거 전시에서는 사람들이 이곳을 밟고 지나갈 수 있어 많이 오염되었다고 하는데요. 관광객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모국인 이탈리아의 상황을 빗대었다고 하기도 합니다.

 

무제 : 얼마를 기다리면 누군가가 나올까?

이 작품의 사이즈는 이러하다.

 
 

보이드 2019

 

무제 : 폰타나의 공간개념이 생각나는 작품이지만... 쾌걸조로의 Z를 연상하게 한다. 그렇지만 지금은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생의 Z가 생각나가도 하는데. 당시 작가의 의도와는 다르게 나는 해석되더라는...

 

 

| 우리

이번 리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WE'와 동일한 제목의 작품입니다.
침대위 인물은 작가 본인으로 본인의 이중 자화살을 표현했다고 한다.

 

무제 : 진짜 살아있는 고추나무 모종이다. 과연 전시회가 끝나기 전까지 잘 살아 남을지...

 

노베첸토

마우리치오 카텔란 작품에는 동물 뼈다귀나 박제작품들이 만이 등장한다. 보는이의 주관에 다라 상당히 불쾌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특히 비둘기는...)
작가는 자연사한 동물을 합법적인 제작방식으로 진행된다고 한다.

 

무제 

이번 서울 리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회 대표작품 중 하나

 

작가가 리움미술관 도면을 보고 직접 전시장 구멍을 내고 작품 설치했다고 한다.

 
 

무제 :양철북을 치는 소년... 전시장에서 주기적으로 양철북을 치고 있는데. 귄터 그라스의 소설과 영화 '양철북'이 생각난다. 양철북 디자인도 동일해 보이는데...

 

그림자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어머니는 그가 어린 시절에 세상을 떠났다고 한다. 

 

그의 어머니가 영원하기를 바라는 것일까? 다소 섬뜩한 작품

 

무제
강아지 두 마리와 병아리 한마리 박제작품이다. 아기예수의 탄생을 표현한 작품이라고 하는데. 잘 모르겠다.

 

HIM
지하 1층 전시장 끝부분에 누군가가 무릅을 꿇고 앉아있다.
바로 아돌프 히틀러, 그의 잘못에 대해 사죄하지 않았기에 이런 작품을 만들었다고 하는데, 어찌보면 죄를 후회하는 것보다 본인을 사면하는 그런느낌, 전 누구누구가 생각나는...

 

무제 : 못에 매달려 무기력해 보이지만, 표정를 보고 있으면 묘한 느낌이 올라온다.

 

지하 1층 전시관람이 끝나고 1층 전시장으로 이동

 

마우리치오 카텔란 1층 전시장 끝에서 다시 만날 수 있다.

 

자세히 보면 미국 성조기에 검은색 칠을 한 것을 알 수 있다.

그 스틸판에 실탄사격을 한 것이라고 하는데. 멀리서 보면 은하수 같은 작품으로 보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현 미국사회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작품.

프랭크와 제이미 :
911 이야기라 하는데, 공권력의 무력함 뭐 그런... 어느 나라에서나 이 문제는 항상...

 

 

숨 : 노숙자와 반려견인지? 그냥 평범한 주인과 반려견인지...
대리석 작품이다. 요즘 작가들 중에서 대리석 사용하는 작가 만나기가...

 

마우리치오 카텔란의 갤러리스트 '마시모 드 카를로' 
미술계에서는 많은 작가거 갤러리에게 종속적인 관계를 가지지만, 작가는 이를 비꼬아 표현해 본 작품이다. 전시회마다 맛모 드 카를로는 고통받고 있지만 이 둘이 관계는 잘 유지된다고 한다.

유령 2021+ 발견된 작품

이 작품은 그가 작업한 작품은 아니다. 어느 시장에서 찾아낸 작품이며 해당 작품에 그가 추가 작업을 했다고 한다.

 

1층 전시회장 입구에서 이곳까지 오는동안 살 많이 쪘구나...

 

리움 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회 <<WE>> 마지막 공간인 2층으로...

 
전시장 입구부터 붉은 카페트와 섬뜩한 작품이 눈길을 끈다.

모두
9개의 카라라 대리적으로 조각된 9개의 작품이다. 
가까이서 보면 하얀 천으로 덮힌 시신이라는 생각이 바로 드는데. 일반 마네킹에 흰 천을 올련것 보다. 이렇게 대리석으로 조각한 작품이 더 차갑고 섬뜩하게 느껴진다는...

 

일반적으로 사냥꾼의 방에는 박제된 동물들의 머리가 걸려 있는데. 이곳에는 머리가 아닌 말의 몸통이 걸려 있다.
큰 느낌은 없는...

사랑이 두렵지 않다 : KKK

 

무제 : 프란체스카 우드먼의 사진작품에서 영감을 얻어 작업한...
아래 작품관 더불어 순교, 박제의 의미를...

찰리는 서핑을 안 하잖니 : 그의 학창시절을 표현했다고 한다.

 

아홉 번째 시간
운석에 맞은 교황이라... 더구나 존경받는 요한 바오로 2세...

보통 우리는 이런 현상을 천벌 이라고 하는데.

 
 

다람지가 왜 사람사는 공간에, 그것도 왜 권총 자살을...
이유를 생각해 보자.

 

코미디언
마우리치오 카텔란을 처음으로 알게 한 작품이다.
해외 전시회에서 다른 행위예술가가 바나나를 먹어 버리면더 더욱 유명해진 작품. 국내에서 과연 용자가 등장할 지...

 

무제 : 바티칸 시스티나 성당 내부의 축소공간
대기 시간이 좀 걸린다. 한 번에 다섯 명 정도 입장이 가능하고. 사람이 나오면 나온 사람만큼 입장한다. 이 조건은 커플이어도 얄짤 없는 조건!

미켈란 젤로의 최후의 심판도...

 
이것으로 리움미술관 마무리치오 카텔란 전시회는 끝...
그렇지만 다른 여러 전시회가 열리고 있으니, 오디오 가이드는 관람이 모두 끝나고 반납하자!

 

리딩룸
전시장 밖에 위치한 마무리치오 카텔란 리딩룸. 그의 도록들을 확인할 수 있는 공간.

 

아트숍에 그의 기념품은 많지 않더라는...

 
전시가 끝나고 '조선의 백자, 군자지향 君子志向' 전시회장으로 이동을...

728x90
728x90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이탈리안 출신의 세계적인 조각가이자 행위예술가인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애 성공팁 공유합니다.

 

|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WE>

바나나로 유명한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회 'WE'는 7울16일 까지 한남동 리움미술관에서 전시될 예정입니다.

전시회 티켓은 무료입니다. 사전 예약을 통해서만 입장이 가능합니다.

 

|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매관련 주의 사항

- 전시회는 100% 사전예약을 통해 진행됩니다.

-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티켓 가격은 무료 

- 마우리치오 전시회로 예약해야

예전에는 리움미술관에서 전시중인 전시회 하나만 예약해도 다른 전시회 관람이 가능했는데요. 이번 전시회는 각각 예약해야 전시회 관람이 가능합니다. 이달 초까지만 해도 상대적으로 예약경쟁이 적은 조선의 백자전 예약하고 관람하는 꽁수도 사용 못합니다.

 

- 본인확인 강화

요즘 너무 많은 인기로 암표까지 판매되고 있는데요. 현장에서 예약자와  방문자가 일치하지 않으면 입장이 불허됩니다. 최근 검사가 강화되었다고 하네요.

 

| 예약 오픈은 14일전 18:00시 > 예약 1분 컷

리움미술관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매는 14일 전 18시에 오픈됩니다.

저는 4월 1일 토요일 관람 예약을 위해 2주 전인 3월 18일에 예약성공 했습니다. 특히 주말예약은 1분 컷이니 예매시작 5분 전에는 미리 리움미술관 예약 사이트에 접속하시고 로그인 후 대기해 주세요.

조금이라도 늦으면 오른쪽과 같이 기약없는 대기를 해야 합니다. 보통 이후 접속하면 모두 마감이 되었고요.

 

반응형

 

 

리움미술관 온라인 예약·예매

 

ticket.leeum.org

 

| 10시 오픈 1시간 단위 총8회

이번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매는 오전 10시에 오픈 17시에 마감됩니다. 총 8회로 1회당 400명까지 입장 가능합니다. 하루에 3,400명 관람이 가능하네요.

 

| 최대 4명 예약 가능

앞에서 마우리치오 카텔란 티켓가격은 무료라고 말씀 드렸는데요. 하나의 ID로 최대 4장까지 예약이 가능합니다.

또한 관람일 당일 예약한 분이 직접 방문해야 티켓팅이 가능합니다. 워낙 암표 판매가 극성이어서...

 

| 예매성공 > 1분컷

18시 예약 열리고 약 30초 만에 예약 완료 했습니다.

이후 다시 접속하니 무한 대기상태가 되다가 역시나 모두 마감되어 있네요. 위에서 설명드린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시 예매팁 참고하시고 예약 성공하세요.

 

728x90

 

 

728x90

+ Recent posts